• Title/Summary/Keyword: 일사

Search Result 1,12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ffect of roof slope on the transmissivities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multispan glasshouse by a computer simulation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연동 유리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투과율에 미치는 지붕경사각의 영향)

  • 이석건;김용현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7 no.4
    • /
    • pp.324-329
    • /
    • 1998
  • Effect of roof slope on the transmissivities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using a computer simulation model developed by Kim and Lee(1997) was analyzed for 10-span glasshouse located in Seoul(37$^{\circ}$34' N), Chonju(35$^{\circ}$49' N) and Cheju(33$^{\circ}$31' N). Transmissivities of diffuse solar radiation in glasshouse with roof slopes of 15, 20, 24.6, 30 and 35 degree were calculated as 61.3, 61.6, 61.7, 56.8 and 58.6%, respectively. Transmissivities of direct solar radiation(TDSR) during the period except summer season were highly affected by the roof slope. During the winter season, TDSR in glasshouse with roof slopes of 30 and 35 degree were higher than those with other roof slopes. Also, during the period except winter season, TDSR in glasshouse with roof slope of 20 degree were higher than those with other roof slopes. Difference in TDSR with latitude was significant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to February. At this period TDSR were highly appeared at lower latitude. Effect of roof slope on TDSR in S-N greenhouse was smaller than those in E-W greenhouse. It is considered that direct solar radiation highly transmitted in the glasshouse with roof slope of 20 degree.

  • PDF

Economic Evaluation for Photovoltaic System using Insolation Data Analysis (일사량 데이터 분석을 통한 태양광발전 시스템 경제성 평가)

  • Kim, Yejin;Choi, Hyungcheol;Lee, SungH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86.2-86.2
    • /
    • 2010
  •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있어 일사량의 높고 낮음은 경제성 평가를 결정하는 주요인자로 작용하며 일사량은 지역적, 지형적 환경 조건의 차이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주암 저수지 수면에 설치된 수면태양광 일사량 계측자료와 지상에서의 주암댐 관리단 옥상에 설치된 일사량 계측자료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수면태양광의 일사량이 지상에서의 일사량 보다 약간 상회하는 패턴을 보이며 풍속, 기온 등 기타 데이터 분석 시 수면이 태양광발전에 있어 지상보다 더 유리하다는 점을 검증 할 수 있었다. 또한 취득한 데이터를 가지고 경제성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상보다 수면태양광이 더 경제성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Predict Solar Radiation for Photovoltaic System of Maritime City (해양도시의 태양광 발전을 위한 일사량 예측기법)

  • Won, Jong-Min;Do, Geun-Yeong;Lee, Jeong-Jae;Jeong, Su-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197-198
    • /
    • 2010
  • 태양광발전량의 예측에 대해 많은 선행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연간 또는 월별 총발전량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 주류였기 때문에 연간 또는 월별의 평균일사량을 바탕으로 발전량을 예측 비교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차원에서 전력생산 및 공급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시간 및 기상에 따란 변화하는 일사량과 그에 따른 발전량을 예측하여 효율적인 전력생산 공급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지만 기상예보에는 일사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상예보에 제공되는 운량을 이용하여 일사량을 예측할 수 있는 기법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도시인 부산을 대상으로 과거의 기상데이터 중 운량과 일사량을 이용하여 일사량 예측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Explainable Solar Irradiation Forecasting Based on Conditional Random Forests (조건부 랜덤 포레스트 기반의 설명 가능한 일사량 예측)

  • Moon, Jihoon;Hwang, Ee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323-326
    • /
    • 2020
  • 태양광 발전은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 수단으로 인식되어 수요와 필요성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최적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운영을 위해서는 정교한 전력수요 및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이 요구되며, 온도 및 일사량은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의 필수적인 입력 변수이다. 하지만, 한국 기상청의 동네예보는 일사량에 관한 예측값을 제공하지 않아 정교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어렵다. 이를 위해 일사량 예측 기법에 관한 많은 연구사례가 보고되고 있지만, 다수의 연구들은 충분한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일사량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초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불충분한 데이터 셋을 이용한 예측 모델 개발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사례는 불충분하다. 본 논문은 실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수집된 불충분한 데이터 셋을 이용한 단기 일사량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기상청 동네예보의 다양한 기상 요인들을 이용하여 일사량 예측 모델을 위한 입력 변수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조건부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일사량 예측 모델을 구성하며, 설명 가능한 일사량 예측뿐만 아니라 더욱더 많은 데이터 셋을 학습하기 위해 시계열 교차검증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은 다른 예측 기법들보다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일 뿐만 아니라 설명 가능한 예측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n evaluation of evaporation estimates according to solar radiation models (일사량 산정 모델에 따른 증발량 분석)

  • R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2 no.12
    • /
    • pp.1033-1046
    • /
    • 2019
  • To evaluate the utilization suitability of solar radiation models, estimated solar radiation from 13 solar radiation models we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measured solar radiation at 5 study stations in South Korea. Furthermore, for the evaluation of evaporation estimates according to solar radiation models, 5 different evaporation estimation equations based on Penman's combination approach were applied, and evaporation estimates were compared with pan evaporation. Some solar radiation models require only meteorological data; however, some other models require not only meteorological data but also geographical data such as elev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olar radiation model based on the ratio of the duration of sunshine to the possible duration of sunshine, maximum temperature, and minimum temperature provided the estimated solar radiation that most closely match measured solar radiation. Accuracy of estimated solar radiation also greatly improved when Angstrőm-Prescott model coefficients are adjusted to the study stations. Therefore, when choosing the solar radiation model for evaporation estimation, both data availability and model capability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When applying measured solar radiation for estimating evaporation, evaporation estimates from Penman, FAO Penman-Monteith, and KNF equations are most close to pan evaporation rates in Jeonju and Jeju, Seoul and Mokpo, and Daejeon respectively.

P&O Algorithm based on Variable Step Size for Improvement of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in Change of Insolation (일사량 변화 시 동적응답 특성 향상을 위한 가변 스텝 사이즈 기반의 P&O 알고리즘)

  • Sim, Woosik;Jo, Jongmi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11a
    • /
    • pp.24-26
    • /
    • 2018
  • 본 논문은 일사량 변화 시, 최대 출력점을 추종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동적 응답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변 스텝 사이즈 기반의 P&O (perturb & observe)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일사량과 PV (photovoltaic) 전류 관계로부터 일사량 변화에 따른 최대 전력점 전류 $I_{MPP}$변화 특성을 이용하며, 새로운 I-V 곡선에서 PV 동작점을 최대 출력점으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고속모드와 정상상태 부근에서 정상상태 효율 향상을 위한 가변 스텝 모드로 구성된다.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해 $500W/m^2$$1000W/m^2$ 일사량 증감 조건에서 제안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기법의 추종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MPPT 주기가 2초이고 일사량 $500W/m^2$$1000W/m^2$ 증감을 할 때 추종시간은 약 30초 정도이며, 정상상태 PV 전압변동은 약 0.1V로써 일사량 변화 조건에서 제안된 MPPT 기법의 알고리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 simulation model for the analysis of direct and diffuse solar radiation in glasshouse - Effect of orientation on the transmissivity of direct solar radiation in glasshouse - (유리온실내의 직달일사 및 산란일사 해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 동방위가 온실내의 직달일사 투과도에 미치는 영향 -)

  • 김용현;이석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11a
    • /
    • pp.1-7
    • /
    • 1997
  • 온실이란 식물 생육에 요구되는 태양광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하여 투명한 피복재가 사용된 구조물을 일컫는다. 온실내로 투과되는 일사량은 온실이 설치된 지역의 위도, 온실의 동방위 및 형상, 구조물의 재원, 피복재의 광학적 특성, 년중일수, 기상 조건, 지붕면의 경사각 등에 따라 변화된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 온실내의 일사량은 식물의 정상적인 생육에 제약이 되는 요소로 작용한다. (중략)

  • PDF

An Analysis of Observational Environments for Solar Radiation Stations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using the Digital Elevation Model and Solar Radiation Model (수치표고모델과 태양복사모델을 이용한 기상청 일사 관측소 관측환경 분석)

  • Jee, Joon-Bum;Zo, Il-Sung;Kim, Bu-Yo;Lee, Kyu-Ta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0 no.2
    • /
    • pp.119-134
    • /
    • 2019
  • In order to analyze the observational environment of solar radiation stations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we used the digital elevation model (DEM) and the solar radiation model to calculate a topographical shading, sky view factor (SVF) and solar radiation by surrounding terrain. The sky line and SVF were calculated using high resolution DEM around 25 km of the solar stations. We analyzed the topographic effect by analyzing overlapped solar map with sky line. Particularly, Incheon station has low SVF whereas Cheongsong and Chupungryong station have high SVF. In order to validation the contribution of topographic effect, the solar radiation calculated using GWNU solar radiation model according to the sky line and SVF under the same meteorological conditions. As a result, direct, diffuse and global solar radiation were decreased by 12.0, 5.6, and 4.7% compared to plane surface on Cheongsong station. The 6 stations were decreased amount of mean daily solar radiation to the annual solar radiation. Among 42 stations, eight stations were analyzed as the urgent transfer stations or moving equipment quickly and more than half of stations (24) were required to review the observational environment. Since the DEM data do not include artifacts and vegetation around the station, the stations need a detail survey of observational environment.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according to Integrated Solar Radiation Control by Growth Stages (딸기 생육단계별 일사비례제어 급액 방법에 따른 딸기 생육 비교)

  • Kim, So Hui;Roh, Mi Young;Choi, Gyeong Lee;Lim, Mi Young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31 no.4
    • /
    • pp.279-285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proper irrigation standards by growth stages using integrated solar radiation (ISR) for strawberry hydroponics cultivation. The irrigation methods were automatically controlled when it reached ISR values based on the external solar irradiance. The ISR standards were set at 150 J·cm-2 and 200 J·cm-2, and as the last treatment, ISR value was changed from 200 J·cm-2 to 150 J·cm-2 according to growth stage. The timer-automated irrigation system was applied as a control. The monthly average irrigation frequency of 150 J·cm-2, growth stages (150 J·cm-2) treatment in March were 5.6 times, that of 200 J·cm-2, growth stages (200 J·cm-2) treatment in December were 2.7 times, and that of timer system was 3.6-3.8 times. The water use efficiency (WUE) of timer was 19.8 g·L-1 lower than IS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between ISR and timer. The total yield and rate of marketable fruit of treatments by growth stages was the highest 328 g/10 a and 85.3 %, respectively. Therefore, in case of strawberry hydroponic cultivation, controlling ISR by growth stages was more helpful to improve yield rather than applying same ISR standard during cultivation.

Power Analysis According to Irradiation of PV System (태양광 시스템의 일사량에 따른 전력 패턴)

  • Hwang, Jun-Won;Park, Sang-Jun;Choi, Yong-Sung;Lee, Kyu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240-240
    • /
    • 2009
  •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는 매년 10[%]라는 세계 최고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온실가스배출량 증가율 역시 세계 1 위를 기록하고 있다. 세계기후협약 이행이 늦추어지고는 있지만 머지않아 우리도 여기에 참여하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어서 대체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1개 분야의 신 재생 어|너지 중에서 최근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로서 광을 조사시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발전방식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구성장치에 의해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햇빛의 방향에 따라 또는 태양전지에 입사하는 일사량의 정도에 따라 많은 발전전력에 차이가 있으므로 태양광 발전의 경우 발전단가가 높고 효율이 낮기 때문에 일사량에 따른 전력을 측정하여 효율적인 발전에 필요한 조건을 알아 보기위해 2007년 1년간의 실증운전을 통한 일사량과 전력발생량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또한 햇빛의 일사량은 시간대별, 일별, 월별, 년별로 각각 달리 측정되므로 각각의 일사량에 따른 전력패턴을 분석하여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일사량과 전력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