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 전통디자인의 원리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패션상품에 나타난 일본 전통 디자인의 원리 (Japanese Traditional Design Principal Appeared in Fashion Goods)

  • 이경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7-34
    • /
    • 2006
  • Flexibility, love of symbols, small size-these are all qualites that accompany the proclivity towards compactness in Japanese culture. They developed and have been refined to an unusual level in Japan partly out of the necessity to use limited space economically, but these qualities also characterize the aesthetic preferences of the people. Because space is so precious, it receives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every aspect of life. Over the centuries Japanese have devised innumerable ways to use space that are ingenious in their successful combination of pragmatism, harmony, and beauty. Folding, stacking, rolling, nesting, carrying, consolidating, miniaturizing and transforming are some of the techniques for living that have created the compact culture. Folding allows a one-dimensional object to be placed in prescribed small space. Stacking objects of the same shape makes use of vertical space, saving valuable horizontal space. Rolling an object reduces it to a tidy cylinder without creasing it, creating yet another form of repose for functionally flat things. Nesting several identically shaped objects of graduated sizes is known as ireko. Carrying things by hand makes them available for any occasion, by plan or on impulse. Consolidating is to bring together the multifarious systems of living into an integrated whole. Miniaturizing things is a way to bring even the universe down to the scale of a human hand. Transforming the face of things is another notable propensity in the Japanese life style. Each one is put to use in countless ways, suggesting principles and conceptions that encapsulate the wisdom of tradition. In this study I wishes to investigate the principals of Japanese traditional design and the applied case in fashion goods.

  • PDF

해외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의 재현 특성 (Characteristics of Representing Korean Traditional Garden Style made in Foreign Countries)

  • 김경돈;한갑수;윤영활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39-47
    • /
    • 2003
  • 해외에 조성된 한국 전통조경의 특성과 디자인 성향을 파악하고자 해외에 설계, 시공되어진 대표적 한국성 정원 3개소를 선정하였다. 즉 프랑스 파리공원의 한국정원과 일본 오오사까의 쓰르미공원, 요꼬하마의 관자정 등이다. 이들 세 공간에 대해 한국고유의 디자인 원리와 image성, 경관구성요소 등의 한국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본에 조성된 두 곳은 직설적 공간 재현을, 프랑스 파리공원은 직설과 은유적 공간 재현방법을 응용하여 전통을 재현 하고자 하였다. 도입된 시설 및 요소들은 정자, 꽃담, 다리 등의 전통 구조물과 조산(가산) 화계, 그리고 마당개념의 공간연출 등의 요소 및 기법이 공통적으로 응용되어 한국성 image를 표현하였다.

  • PDF

한국과 중국 및 일본의 궁중 전통 꽃꽂이 특징비교 (The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Flower Arts Used in Royal Court Ceremonies)

  • 홍훈기;이종석
    • 화훼연구
    • /
    • 제18권2호
    • /
    • pp.125-135
    • /
    • 2010
  •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꽃꽂이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과 궁중 행사 장식용으로 이용되었던 전통 궁중회화를 이용하여 조형의 요소와 원리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대선정은 한국의 조선, 중국의 명, 일본의 에도 시대로 한정하였다. 유사점은 한 중 일 모두 꽃꽂이의 기원을 원시신앙에 두었으며 조형적인 형태가 발생한 시점은 불전공화에 두었다. 이용된 소재는 아취가 있는 화목류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자연의 모습을 존중하고 심상적인 표현을 하였다(Fig. 1a-c). 기술적인 부분은 수제(水際)부분이 있었으며 선을 이용하여 한 가지에서 나온 것처럼 줄기를 모아 꽂았다(Fig. 2a-c). 차이점은 한국이 두 나라에 비해 소재의 수를 적게 사용하였고, 양감적이었으며, 도식화된 타원형으로 의궤에 계승되어 내려왔다(Hong, 2001). 또한 중국보다 조형적이었으나 일본보다는 자연미가 있었고 좌우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3a-c). 한국의 꽃꽂이는 여백 처리와 선의 각도 변화가 크지 않아 부드럽고 온화하였으며 규모는 일본보다 더 큰 형태를 선호하였다(Table 1). 또한 화목류의 단일 소재 사용으로 화려함 보다는 조용함과 소박함이 있었다(Fig. 4a-c). 반면 한국에 비해 중국과 일본은 비균제의 미가 발달하였으며 많은 종류의 소재를 사용하여 화려하였고 화기의 외부 형태도 섬세한 디자인으로 되어있었다(Fig. 1a-c). 중국의 특징은 다양한 소재로 화려함과 풍부함, 소재에 인공을 가하지 않은 자연의 미였다(Fig. 1b). 그러나 형식을 경계하여 조형적으로 일본처럼 접근하여 발전시키지 못했다. 일본은 한국보다 다양한 소재와 각도의 변화로 화려하며, 섬세한 여백의 분할로 인공적인 기교가 극치를 이루었고, 격식에 맞춰 곡선과 직선의 대비로 선이 날카롭고 강하였다. 또한 제한된 주지의 각도 변화로 여백이 많아 가벼웠으며, 불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1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