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의 신세대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2002 한.일 국민교류년 기념' 한국과 일본의 신세대의 복식업화에 대한 연구 - Street Fashion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othing Culture for New Generation of Korea and Japan)

  • 백샘이;간호섭
    • 복식
    • /
    • 제53권3호
    • /
    • pp.31-4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contras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fashion in new generations of Korea and Japan. We also intended to help clothing companies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in this new generation. As the method for street fashion analysis. various literature, internet information and new media materials were utilized. Key observations obtained are as following First, they pursue a complex image. New generations seem to admix images from different areas to create a synthetic image, rather than adopting a single image; Second, practicality is an important factor. They Pursue a sense of their own unique trend: Third, distinction. The difference in society value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is incorporated. The Korean new generation considers the traditional moral principles as important social values. In contrast the Japanese new genera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open sexuality culture ; Fourth. public ownership and sharing of the culture. There is a gradual deviation from a dominating unidirectional influence from one country on another. Now the two countries are influencing each other ; Fifth, sense. There are numerous fashion items and generalized total coordination. New generations express more active and creative fashion sense in those fashion items.

한국(韓國) 신세대(新世代) 패션에 관(關)한 연구(硏究) - 일본대중문화(日本大衆文化)의 영향(影響)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Fashion of the New Generation in Korea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Japanese Popular Culture -)

  • 이희승;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1호
    • /
    • pp.83-10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lements of Japanese popular culture portrayed in Korean new generation fashion at the current point of time, when Japanese popular culture is first being opened to Korea. And the another purpose is to look into the fashion consciousness of them, which is made up of these aspects. The new generation plays the leading role in further excelling the culture of our society. They are the generation of sense and sensibility, the generation of "me", the generation of information, and the generation of individuality. Even before Japanese popular culture was officially opened, the new generation was already accepting fashion, comics and animation, video games, music, broadcasting, food, etc. The Japanese cultural elements that show most in Korean fashion are street fashion and the fashion of celebrities. These are mostly brought in by fashion magazines, the internet, satellite TV, the new media of cable TV, and street shops. The aspects of Japanese popular culture in Korean new generation fashion are many and varied. Such examples in fashion are : vintage style, school-girl style, sexy causal style, black coordination, soft avant-garde style. It can be said that the fashion consciousness of Korean new generation could be plac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variety of fashion. Next, the internationalism of fashion. Third, the information of fashion, and last, the play value of fashion. Interest has peaked in Japanese culture after the official opening, and this study has explored the very same aspects which can be seen in Korean new generation fashion. This study was meant to help make a responsible and sturdy new generation fashion culture which can help face the new millennium.

한·일 양국 신세대의 소비문화에 관한 비교연구 :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및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umption Cultures between the Korean and the Japanese New Generations : laying emphasis upon their lifestyle characteristics & leisures)

  • 최석신;가타가미 히로시;이광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4권4호
    • /
    • pp.75-96
    • /
    • 2002
  • 본 연구는 같은 동양문화권에 속하면서도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한국과 일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특성과 여가시간 활용을 비교 분석하므로써 양국대학생들의 소 비문화를 추론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새로운 세대로 지칭되는 대학생들은 이미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세분시장으로서 마케터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지만, 국가간 시장을 세분화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과연 효과적인가를 탐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라이프스타일은 AIO 분석에 근거하여 의생활분야, 구매 및 쇼핑분야, 가치관분야, 정보추구분야, 인터넷 광고분야 등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영역별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두 2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양국 대학생 집단은 모두 18개 부문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5개 부문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여가 및 시간활용에서는 양국 대학생 집단간에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많았으며, 인구 통계적 요인이 국적과 상호작용을 통해 여가활동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다른 소비자 집단의 특성을 이해하고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시간 활용에 따라 차별화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국제적인 마케팅전략수립을 위해 효과적인 시장세분화 기준을 제공하고 소비패턴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가계 식품수요 요인의 계량분석 - 한국과 일본의 비교 - (Econometric Analysis on Factors of Food Demand in the Household :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 조광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1-383
    • /
    • 1999
  • 본 논문은 한일 양국의 가계에 있어서의 식품수요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종래의 수요모델에 코호트(cohort, 행동을 같이 한 집합체) 분석적인 생각을 도입하여 한일 양국의 식품수요 형태분석을 하였다. 여기에 제시한 새로운 수요분석 모델은 소비지출과 가격이 식료수요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 이외에 세대주 연령효과나 출생연도와 같은 비경제적효과 등도 계량한 것이 특징이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일 양국의 식품수요의 품목군별 탄력성을 보면 유지류, 음료, 조리식품의 수요탄력성은 한국보다 일본이 더 탄력적이었지만, 다른 모든 품목은 일본보다 한국이 탄력적이었다. 곡류, 육류, 외식의 외부화 식품의 소비지출과 가격탄력성은 한국의 큰 품목과 일본의 큰 품목이 서로 상충하고 있어서 일정한 경향 파악이 곤란하다. 그러나 신선식품에 대한 소비지출과 가격의 탄력성은 모두 일본보다 한국이 크다. 2. 식품에 대한 지출액은 세대 구성원의 연령을 반영하여 비교하여 볼 때 한국과 일본의 결과가 비슷하였다. 즉 세대주 연령이 젊은 계층의 가족에는 유아가 있기 때문에 유란류의 지출액이, 또한 중년층에서는 청소년이 많기 때문에 과자류의 지출액이 다른 연령계층에 비하여 많았다. 한국은 연령계층이 높을수록 2세대 가족이 많기 때문에 다수 품목에 지출액이 많고, 일본의 중년층은 과자류를 포함하여 특히 곡류, 육류 등의 에너지 식품이나 외식의 지출액이 많다. 그러나 연령이 높은 계층에서는 세대 구성원이 거의 성인이며 평균연령이 높기 때문에 곡류, 육류, 외식 등의 지출액이 적었지만 어패류, 야채류 등의 전통식품이나 조리식품의 지출이 많았다. 3. 식품소비의 패턴은 세대주 출생연도별로 비교하면 한일 양국 모두 구세대일수록 주식 중시의 경향을 나타내고 신세대일수록 축산물, 유지류, 외부화 식품의 비중이 높았다. 그러나 품목 구성의 세대간 차이는 한국에 있어서는 매우 크지만 일본의 경우는 비교적 작았다. 따라서 식생활의 서구화, 외부화는 세대교체에 동반하여 한국에는 급속히 진행하지만 일본은 점진적으로 진행한다고 볼 수 있다. 4. 가계 식품 수요의 장기 변화에 미치는 요인은 소비지출, 가격, 세대주 출생연도, 연령 등의 네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효과를 요인간으로 비교하면 한일 양국이 함께 가격의 효과가 가장 작다. 그러나 그 이외 요인별 효과의 상대적 중요성은 양국간에 다른데 한국은 소비지출의 효과가 출생연도나 연령 효과보다 크지만 일본은 경제적 요인인 소비지출보다 세대주의 출생연도나 연령 등의 비경제적 요인의 효과가 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