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본규격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7 seconds

A Study on Technical Standard and Guard Band for Wireless Local Loop facilities at 260Hz Band (26GHz대 무선가입자회선용 무선설비의 가드 밴드와 기술기준 연구)

  • 박승근;조경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05a
    • /
    • pp.77-81
    • /
    • 2000
  •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guard band and technical standard for wireless local loop facilities will be used at 260Hz domestic frequency band. In order to determine guard band between wireless local loop providers, this paper analyze radio interferences from radio station used adjacent frequency band. The paper proposes draft Out-of-Block Emission Mask of for wireless focal loop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ITU-R Recommendation and ARIB Standard in Japan

  • PDF

Technical Trend of Terrestrial-DMB Receiver Chip Design (지상파 DMB 수신 칩 설계 기술 동향)

  • Lee, Ju-Hyeon;Gu, Bon-Tae;Kim, Seong-Do;Eom, Nak-Un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0 no.6 s.96
    • /
    • pp.1-14
    • /
    • 2005
  • DMB는 이동중에도 고품질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디지털방송 규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IT839 전략의 신 성장 산업인 디지털 TV와 함께 ‘8대서비스’ 품목에 포함되어 차세대 성장 엔진 사업으로 선정되었고 2005년 상반기에ETSI 표준으로 제정되었으며 2005년 12월 본 방송을 실시함으로써 세계 최초로 지상파 DMB 방송 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상파 DMB 방송은 실시간 전자 상거래, 교육프로그램, 데이터 방송 서비스, TV 쇼핑, 재난 방송 등 그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하여 미래 생활의 패턴을 변화시킬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한편 DMB 방송은 세계적으로는 유럽 노키아사의 ‘DVB-H’, 일본의 MBCo의 ‘위성 DMB’, 미국 Qualcomm사의‘MediaFLO’와 함께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다. 지상파 DMB 방송 수신을 위한 제품들은 전용 단말기 혹은 핸드폰, PDA 등에 장착되어 사용자에게 다가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수신 칩 셋 개발 노력이 뜨겁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지상파 DMB를 위한 칩 셋 기술과 칩 셋 개발 동향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한다.

A study on the Noise Reduction of Fork Lift Truck (지게차의 소음저감연구)

  • 김덕신;장한기;이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10a
    • /
    • pp.99-103
    • /
    • 1995
  • 소음저감 설계기술은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자동차, 항공기, 건설 장비, 선박, 심지어 가전 제품에 있어서도 소음 문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수출을 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소음 규제법을 만족시켜야 하며 제품의 경쟁력을 위해서는 그 이상의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소음 문제는 소비자의 제품구매 선택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일본의 경우 JIS 규격으로 건설 장비의 소음을 규제하고 있으며, 소음수준에 따라 일반 장비, 저 소음 장비, 초 저소음 장비로 구분하여 장비에 따라 건설 작업을 제한하기도 하며, 특히 초 저소음 장비 인증을 받은 것은 장비 사용 단가 및 사용에 있어 차등을 두어 혜택을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구미지역에서 소음규제로 사용되는 BITA 방식에 따라 지게차의 소음원 규명 및 소음 저감 대책을 논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IEC 62019 standard for Safety Test of Photovoltaic Inverter (태양광인버터 안전성 평가를 위한 IEC 62109 표준화 분석)

  • Lee, Jeong-Hyeon;Yoon, Yong-Ho;Park, jun-Suck;Kim, Jae-M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551-1552
    • /
    • 2015
  • 현재 태양광인버터의 안전성확보에 대한 기술기준이 IEC로부터 채택하게 됨과 동시에 독일, 일본, 미국 등 선진 각국에서는 안전성 확보용 기술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강제(Mandatary) 규격으로 적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국내 태양광인버터분야는 인버터의 성능만 수행하고 있는 상태이며, 안전성분야는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성능위주의 특성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보호 및 안전성을 중심으로 CE, UL 등의 해외인증에서 요구하는 기준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IEC 62109 표준화에 대한 정확한 기술기준 및 시험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 PDF

소형전동기의 국산화 개발

  • 임태빈
    • 전기의세계
    • /
    • v.38 no.12
    • /
    • pp.21-25
    • /
    • 1989
  • 국내 최초로 첨단 전자세라믹스 제품인 ZnO Varistor의 국산화 개발에 성공하여, 정부로부터의 신기술 제품 보호를 받는 등 인정을 받았으며 그 이후로도 제품의 성능 및 신뢰성 향상등의 연구개발을 지속하여, 미국의 UL, 캐나다의 CSA등 외국의 유수 안전규격을 획득,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의 광범위한 수요업체에의 납품은 물론, 미주와 구라파지역을 비롯하여, 홍콩, 싱가폴, 대만 등의 아시아 지역 등 많은 나라에 수출을 시작하고 있다. 아쉬운점이 있다면 국산화 개발이 이루어지자 일본 등의 기존 MAKER들이 가격을 대폭 인하함에 따라, 가격경쟁이 치열해져, 개발비 및 초기 설비투자비의 부담을 상대적으로 크게 안고 있는 국산개발 업체로서는 힘겨운 가격경쟁을 해야하는 등, 국산화 개발이라는 명분 외에는 기업의 투자효과를 크게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러한 면이 정부 등에서 고려되어, 첨단기술 등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거나 기술축적이 필요한 중요기술들의 국산화 개발시에는 보다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시책과 수요업체의 관심이 있어야 할 것이다.

  • PDF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증기 발생기 전열관 sleeve 보수 용접 연구

  • 정진만;권성옥;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961-966
    • /
    • 1995
  • 국내 상업적으로 운용증인 경수로 원자력 발전소중, 중기발생기의 건전성 유지를 위하여 보수 유지에 많은 비용을 소비하고 있다 특히 중기발생기 전열관으로 사용되는 inconel 600 재질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전열관 파손에 대한 보수 및 방지기술은 plugging, sleeving, shot penning, Ni-plating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 개발된 고출력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sleeving 보수 기술이 개발되었다.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보수 방식은 미국의 WH 및 일본의 MHI 등이 선정하여 실용화 단계에 있으며, 이는 광섬유로 전송이 가능한 Nd: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한국 원자력 연구소에서는 전열관 레이저 보수 용접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고 장비 및 기구를 개발하였으며, 고리 1 호기 전열관규격에(7/8") 3/4" sleeve tube를 삽입하여 약 50 m 떨어진 곳으로부터 원격 레이저 용접을 실험실적 규모로 실증 하였다.모로 실증 하였다.

  • PDF

닭고기의 발골포장과 구매 방법 - 닭고기의 포장방법 -

  • 대한양계협회
    • KOREAN POULTRY JOURNAL
    • /
    • v.15 s.168
    • /
    • pp.33-36
    • /
    • 1983
  • 브로일러의 소비신장이 눈에 띠게 증가하고 있다. 금년상반기에 육용계 배합사료 생산량은 약 30만톤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 37.25$\%$나 증가되었다. 정부에서도 육류소비구조 개선사업으로 닭고기의 소비증대를 위해 수입쇠고기 포장육을 20$\%$ 의무화 하였다. 우리는 아직도 포장이나 부분육에 대한 기준이 없어 규격과 품질이 다양해 불편하며 하루속히 그 기준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지는 일본의 도계품기준을 이미 소개한 바 있으며 이번 호에서는 미국 BNC (National Broiler Council)자료를 입수하여 미국의 포장방법과 부분별 용도를 소개하고 최근 TV, 라디오, 신문$\cdot$잡지 등에서 닭고기구매방법에 대한 문의가 많아지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요리법이나 부분육제품이 이에 맞게 생산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를 위해서 소개하고 그동안 가정에서 주부가 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중량단위가 우리와 달라 이해에 어려운 점도 있는데 이는 우리 현실에 맞게 앞으로 조정될 것으로 믿는다.

  • PDF

지상파 DMB가 ITU 국제표준으로 승인되기까지

  • Kim, Gyeong-M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6
    • /
    • pp.48-51
    • /
    • 2008
  • 우리나라는 Eureka-147 방식의 디지털 라디오를 이동 멀티미디어로 확장하기로 하고 지상파 DMB로 불리는 비디오규격을 개발하였다. 지상파 DMB의 국제표준화를 위해 우리나라가 2004년 3월에 시스템 개요와 필드 테스트 결과를 ITU-R에 기고함에 따라 ITU-R 내에서 본격적인 이동 멀티미디어 표준화 논의가 시작되었고 우리나라 지상파 DMB 외에 일본의 ISDB-T, 노키아의 DVB-H와 퀄컴의 FLO 등을 대상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시스템 표준으로 개발하게 되었다. 3년여에 걸쳐 각 국간의 첨예한 이해관계에 의한 의견충돌과 합의를 거쳐 표준안이 작성되었으며, 표준화 방식은 휴대수신용으로 한정하고 각 시스템들을 알파벳에 따른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 명명하였다. 우리나라 지상파 DMB는 유럽 진출을 염두에 두고 디지털 음성방식 A인 Eureka-147 과의 호환성을 강조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시스템 A로 이름을 붙이기로 하였다. 지난 4월에 열린 ITU-R SG 6 회의에서 이동 멀티미디어의 표준화를 최종적으로 결정되었고 이후 회원국의 동의회신 절차를 거쳐 2007년 12월에 지상파 DMB가 ITU에서 휴대이동방송 시스템 중 하나로서 승인되었다.

Developement of Class 1 Clean Room Devices (CLASS 1 초청정장치 개발)

  • Seo, Suck-Chung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18 no.2
    • /
    • pp.130-137
    • /
    • 1989
  • 본 논문은 1. 초청정기술의 현황, 2. 초청정장치의 요소기술, 3. 초청정장치의 개요, 4. 국부청정실의 기본계획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1. 초청정기술의 현황에서는, 본 연구수행의 방향설정을 위해 미국과 일본의 관련 학${\cdot}$협회의 동향 및 최근에 발표된 논문에 근거한 초청정기술의 연구경향과 과제 등을 파악 분석했다. 2. 초청정장치의 요소기술에서는, 초청정장치 개발에 필요한 미립자제거, 환경조건과 오염제어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Filter와 System Ceiling 방식, 온${\cdot}$습도, 진동, 정전기제어 기술에 관한 문제점과 대책에 대해 검토했다. 3. 초청정장치의 개요에서는, 초청정장치로써 대표적인 클린벤취의 관련규격, 설계요점 등을 검토하여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삼았다. 4. 국부청정실의 기본계획에서는 상기의 요소기술과 기초자료에 근거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Line 형의 클린터널 유닛의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 PDF

Analysis of Market and Technology Status of Major Agricultural Machinery (Tractor, Combine Harvester and Rice Transplanter) (핵심 농기계(트랙터, 콤바인 및 이앙기) 시장 및 기술 현황 분석)

  • Hong, Sungha;Choi, Kyu-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 /
    • v.31 no.1
    • /
    • pp.8-16
    • /
    • 2019
  • Alternatives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locally manufactured agricultural machinery 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has been proposed. This was done by analyzing the major agricultural machinery's price and market share as well as their performance and quality. In the Korean domestic market, the market share of Japanese agricultural machinery has been identified to be 14.5% for tractors, 31.1% for combine harvesters, and 35.8% for rice transplanters, and on track for further increase. Japanese manufacturers' domestic patent shares are 58.5% for tractors, 79.9% for combine harvesters, and 69.8% for rice transplanters, showing the dire need for Korean domestic firms to expand their technological rights. To strengthen the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machinery, therefore, researches that develop the fundamental and elemental technology to reduce the frequency of breakdown should be needed in the short term. To achieve thi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technology roadmap, promote greater cooperation between academia and industry, and systematically increase research funding. In addition, as a long-term solution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an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Equipment Technology Institute is strongly recommended to systematically support R&D for developing core technologies, particularly high-quality components that guarantee durability and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