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 체형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중년남성 수트디자인에 따른 연상디자인 시각효과에 관한 연구

  • 박순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6-4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20∼5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중년 남성의 의복디자인에 따른 시각효과를 연상디자인적인 면에서 고찰하여 중년남성의 체형에 가장 적합한 의복디자인을 규명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중년남성의 체형을 균형화 시키는 연상디자인 시각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는 신사복 정장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중년남성이 외출복으로 착용하는 정장스타일의 수트를 선정하여 의복디자인의 형태구성요인이 다르게 조합된 연상디자인 시각효과를 분석한다. 그리하여 체형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의복의 형태구성요인을 파악하여 사회적 상황에서 중년남성들이 표출하고 싶은 시각적 느낌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체형에 대해서 적절하며 또한 효과적인 의복디자인을 제시하고자한다. 또한, 이와 관련된 소재에 따른 시각적 평가가 다르게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어 소재별 시각효과, 여밈 및 단추 수의 변화, 체형에 따른 시각효과의 차이에 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

도시 지역 중년여성의 비만도에 따른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태도 비교 연구

  • 정인경;권성옥;이일하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76-1076
    • /
    • 2003
  •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 및 식생활 습관의 서구화로 비만 유병율이 증가하면서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 그러나 신체적 매력 중에서 날씬함을 너무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의 영향으로 자신의 체형을 왜곡되게 인식함으로써 이에 따른 신체에 대한 불만족은 무분별한 체중조절을 시도하도록 자극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리한 체중조절은 신체적·심리적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젊은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으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체형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체형인식 경향을 파악하고 체중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중년여성 249명으로 일반사항, 체형인식 및 체중조절태도, 이상식행동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8.5세였으며 평균 비만도(BMI)는 22.7로서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비만도에 따른 체중군별 분포는 정상체중군이 72.9%로 가장 많았으며, 저체중군이 6.7%, 과체중군이 20.4%이었다. 자기 체형에 대한 인식도를 체중군별로 비교해본 결과, 정상체중군의 40.1%만이 자신의 체형을 ‘표준체형’으로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을 뿐, 8.1%는 ‘마른 체형’으로, 51.7%는 ‘살찐 체형’으로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의 37.5%는 자신의 체형이 ‘표준체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체형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80.9%가 ‘표준체형’이라고 응답하였으며, 8.7%는 ‘마른 체형’을, 10.4%는 ‘살찐 체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체형에 대해 조사대상자의 55.8%가 ‘불만족하다’ 고 응답한 반면 ‘만족하다’ 고 응답한 경우는 11.1%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도는 체중군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과체중군이 저체중이나 정상체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지난 1년 동안의 체중 감량 경험 여부를 조사해본 결과, 과체중군의 77.1%, 정상체중군의 65.3%, 저체중군의 62.5%가 체중감량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감량 이유를 묻는 문항에 과체중군과 정상체중군의 경우 ‘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반면 저체중군의 경우 ‘체중이 증가되었기 때문에’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아 체중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의 53.8%가 체중감량을 하는 중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저체중군이 과체중이나 정상체중군에 비해 체중감량에 따른 부작용 경험자의 비율이 높았다. 이상식행동을 측정한 결과, 과체중이나 저체중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이상식행동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세부요인별로 비교해 보았을 때, 체중조절에 대한 집착과 식이조절점수는 과체중군이 가장 높았으나, 섭식통제 관련 식행동 점수는 저체중군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중년여성들의 경우 대부분이 자신의 실제 체형에 대하여 그릇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체중군의 경우 건강보다는 외모 때문에 무리한 체중감량을 시도하고 있었으며 이상식습관과 관련된 식행동 점수가 높은 경향을 보여 영양 및 건강 상태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중년여성들에게 자신의 체형과 이상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표준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in Sweetfish from Korea-1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total lipid components (한국산 은어의 지질성분에 관한 연구-1 총지질성분의 비교)

  • MOON Soo-Kyu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6 no.3
    • /
    • pp.235-240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proximate composition and total lipid components by size and various tissues in sweetfish(Plecoglossus altivelis). Lipid contents of the small and large sweetfish in viscera were $43.2\%\;and\;52.8\%$, respectively. Total lipid contents of the small and large sweetfish were consisted of $3.84{\sim}46.90g/100g$ neutral lipid, $0.86{\sim}4.38g/100g$ phospholipid, respectively.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total lipid, sweetfish showed higher content in saturates such as 16:0, 18:0($43.78{\sim}48.29\%$), and lower content in polyenes such as 18:2n-6, 22:6n-3($13.13{\sim}17.10\%$), and the large sweetfish was somewhat higher in ratio of polyenes compared with the small one. The major fatty acids were 16:0, 18:1n-9, 16:1n-7, 18:2n-6, 22:6n-3, 18:0 and 14:0, in order.

  • PDF

Relationship of Rhythmic Exercis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among Women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와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 Song, Kang-young;Koo, Kyoung-ja;Kim, K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8-16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와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9년 서울 경기도 지역 2009년 서울 경기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스포츠센터, 일반동호회, 지역동호회, 댄스학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리듬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20~50대 성인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추출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운동 참가여성은 비참가여성에 비해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리듬운동 참가기간은 체형, 만족, 유연성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참가강도는 체형과 근력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리듬운동참가기간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참가빈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정도는 신체이미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 PDF

A New Method for Imputation of Missing Genotype using Linkage Disequilibrium and Haplotype Information (결측치가 존재하는 유전형 자료에서의 연관불균형과 일배체형을 사용한 결측치 대치 방법)

  • Park Yun-Ju;Kim Young-Jin;Park Jung-Sun;Kim Kuchan;Koh Insong;Jung Ho-You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2
    • /
    • pp.99-107
    • /
    • 2005
  • In this paper, wc propose a now missing imputation method for minimizing loss of information linkage disequilibrium-based and haplotype-based imputation method, which estimate missing values of the data based on the specificity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genotype data. Method for imputing data is needed to minimize the loss of information caused by experimental missing data. In general, missing imputation of biological data has used major allele imputation method. but this approach is not optima]. 1'his method has high error rates of missing values estimat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otype data are not considere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data. In this paper, we show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our model methods and major imputation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missing values.

An Analysis of Body Shapes in Aged Abdominal Obese Women for Apparel Pattern Design (복부비만 노년 여성의 의복패턴설계를 위한 체형연구)

  • Kim, Soo-A;Choi, Hei-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12 s.159
    • /
    • pp.1690-169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useful in designing apparel patterns for aged abdominal obese women. The body measurements of 318 women were taken at random, whose ages were over 60 and fields of action were colleges, sports centers, or business sites in Seoul and the neighboring districts. A total of 33 features in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were used fer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analysis using anthropometry. The collected measurement data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using the SPSS 12.0 program for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t-test,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s a result of analysis for measurement data. It was revealed that 251(about 79 percent) women of total subjects(n=318) have a characteristic of abdominal obese body type and elderly women of these group usually had big abdomen rather than hip. The criteria of abdominal obesity based on waist-hip ratio, WHR(=0.85). 2. Aged abdominal obese women have shown much larger size in most body measurements except items of some vertical length, such as bust ponit-bust point, font interscye, back interscye with circumference and depth of armscye, bust, waist, abdomen and hip while showing no difference in height, biacrominal breadth, hip width, neck shoulder point to breast point, crotch length. 3. Vervaeck index(=100.1) and Rohrer index(=1.7) indicated that the abdominal obese women were fat in overall body. And aspect ratio of waist(=0.86), abdomen(=0.92) and hip(=0.75) also appeared high that the shape of cross sections in those regions was similar to a figure of circle 4. In view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hip circumference and the rest measurement items, and between hip circumference inclusively of the abdomen protrusion and the rest measurement items, there were found some differences for each group. In case of Group (abdominal obese group), the former is smaller than the other. 5. In case of Abdominal obese women, hip circumference inclusively of the abdomen protrusion is more mutually related to the rest items related to make apparel pattern as waist circumference, depth of armscye and so on than what hip circumference is. This result indicated which must be considered hip circumference inclusively of the abdomen protrusion to make apparel patterns for abdominal obese women unlike women of common body types.

Effect of the Fatty Acid Synthase Gene for Beef Quantity Traits in Hanwoo Breeding Stock (한우 Fatty Acid Synthase (FASN) 유전자 반수체형의 후대검정우 육량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Wook;Lee, Jun-Heon;Kim, Jin-Ho;Won, You-Seog;Kim, Nae-Soo;Kim, Kwan-Suk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2 no.1
    • /
    • pp.9-16
    • /
    • 2010
  • A previous study has shown that the g.17924G>A polymorphism of fatty acid synthase (FASN) is associated with un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in the Hanwoo beef,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ithin FASN gene on the selection phenotypes of Hanwoo breeding stock. A total of 925 progeny test steers were used to genotype g.11280G>A, g.13125T>C, and g.17924G>A polymorphisms and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found among g.11280G>A, g.17924G>A, and carcass traits, such as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and beef quantity index.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g.13125T>C and carcass traits. Although the degree of linkage disequilibrium (LD) was not strong among g.11280G>A, g.13125T>C, and g.17924G>A in the LD analysis, four major haplotype classes were formed with the genotypic information within the FASN gene; the frequencies of the halpotypeswere -GCG-[0.378], -ATG-[0.301], -GTA-[0.191], and -ACG-[0.063], respectively. Phenotypic association was performed among these haploptypes, and the haplotype 2 (-ATG-)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carcass weight when compared to the other haplotypes, i.e. haplotype 1 (-GCG-) and haplotype 3 (-GTA-). A copy number of the FASN haplotype 3 (-GTA-) had also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carcass weight of subjects. In conclusion, it was observed that two polymorphisms (g.11280G>A and g.17924G>A) and their haplotypes within the FASN gene are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carcass trai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the FASN polymorphisms for pre-selection program as genetic marker with improved carcass yield and beef quality of the Hanwoo sire at the Hanwoo Improvement Center as well as for commercial Hanwoo producers, the FASN genotypic information can be used for a part of selecting Hanwoo dam for superior calf production.

Accelerometer Compensation Algorithm for Distance Measurement (이동거리측정을 위한 가속도센서의 보정 알고리즘)

  • Lee, Byung-Hee;Park, Myung-K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d
    • /
    • pp.2345-234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형으로 생산된 가속도센서를 적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데 있어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고, bias drift error에 따른 적분 누적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random noise를 감소시키고 위치추정을 위한 데이터 융합에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Kalman Filter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가속도 데이터를 상대적 위치 데이터로 변환하여 거리측정에 적용하였다. 또한 가속도센서를 관절형 로봇에 부착시켜 실험하여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보상 알고리즘을 사용했을 때의 zero drift error과 누적오차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Measures of Agreement betwee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BMI and that of CDRS in Women university students (여자대학생의 BMI와 신체상평정척도(CDRS) 분류기준에 대한 일치도 검정)

  • Nam, Duck-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2
    • /
    • pp.519-527
    • /
    • 2016
  •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measures of agreement between BMI classification standard and that of 9-point contour drawing rating scale(CDRS), verifying their usefulness for the application to the filed, examining university students'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ir bodies, and offering correct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torted recognition of their bodies. In order to examine the measures of agreement between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BMI and that of CDRS, and the women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their body images depending on BMI, Cross tabulation was carried out, and ${\chi}^2$,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d kappa statistics were calculated. As the analysis results, the classification standards of CDRS and BMI judged by general female colleg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the correlation was high with ${\rho}=.719$(p<.001) and an average level of confirmity with ${\kappa}=.506$(p<.001). Based on these results, regarding body shape, sizes and shapes according to racial characteristics need to be controlled later.

Development of a Student Chair for Promoting the Physical Growth and Safety (신체발육과 안전 증진을 위한 학생용 의자 개발)

  • Jung Hwa Shik;Jung Hyung Shik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7 no.2
    • /
    • pp.29-39
    • /
    • 2005
  • 우리의 식생활 및 주거 환경이 향상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학생들의 체격이 커지고 체형 또한 점차 서구화 되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초${\cdot}$${\cdot}$고등학교에서는 학생 자신의 체격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는 고정형 의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신체발육에 지장을 초래 할 수 있으며 특히 요통과 같은 허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 자신의 체격에 맞게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학생용 의자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조절형 의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학생용 의자의 다리부분에 풀림과 조임이 가능한 금속제 나사형식의 높이조절봉을 도입하여 공구가 필요 없이 손으로 회전시켜 좌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또한 의자 등받이는 전${\cdot}$${\cdot}$${\cdot}$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착석 시 좌판의 깊이와 등받이의 높낮이를 동시에 한번의 동작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였다. 한편 개발된 조절형 의자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ISO 5970(Standards for tables and chair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과 비교하여 수용능력에 따른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피실험자 40명을 대상으로 fitting trials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개발된 조절형 의자는 두가지 평가 기준에 적합하였으며 실용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향후 이를 각급 학교 및 학원에 보급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이상체형 형성을 억제하여 신체 발육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학습효과 또한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