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 지하구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onsideration of the Stage-Discharge Relation in Spiral Intake (나선식 유입구 수위-유량 관계 검토)

  • Rhee, Dong-Sop;Kim, Cha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94-898
    • /
    • 2007
  • 지하방수로는 도시의 지하에 대규모 수로 터널을 시공하여, 도시 지역에 발생한 집중 호우를 초기에 배제하여 제내지 침수 피해를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구조적 홍수 피해 경감 대책이다. 효과적으로 침수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지하에 설치되어 토지 수용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일본 등지에서 최근 주요 홍수 방어 대책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하방수로 유입부는 크게 접근수로, 유입구, 수직 갱도(vertical shaft)로 구분되며, 접근 수로를 통하여 유입된 흐름은 유입구를 통하여 가속된 후 수직 갱도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지하방수로의 배제 능력을 평가하기위해서는 유입구에서의 유량 및 흐름 특성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나선식 유입구(spiral intake)는 지하방수로 유입구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일반적으로 접근수로 수위를 측정하여 유입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 모형 실험을 통하여 나선식 유입구에 대한 수위-유입량 관계를 검토하였다. 평탄한 입구를 가지는 안내벽이 있는 형식의 나선식 유입구 모형을 이용하여 수위-유입량 관계를 검토하였다. 또한 측정된 수위 및 유입량을 바탕으로 기존 연구자들이 제시한 안내벽이 없는 형식의 나선식 유입구에 대한 수위-유입량 관계와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안내벽이 있는 형식의 나선식 유입구는 안내벽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유량 배제 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integrity assessment of utility tunnels using coupled pulse-impact echo method (결합된 초음파-충격 반향 기법 기반의 일반 지하구 구조체의 건전도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in Kim;Jeong-Uk Bang;Seungbo Shim;Gye-Chun Cho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5 no.6
    • /
    • pp.479-493
    • /
    • 2023
  • The need for safety management has arisen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years of operated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tunnels and utility tunnels, and accidents caused by those aging infrastructures. However, in the case of privately managed underground utility ducts, there is a lack of detailed guidelines for facility safety and maintenance, resulting in inadequate safety management. Furthermore, the absence of basic design information and the limited space for safety assessments make applying currently used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challeng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s using ultrasonic and impact-echo techniques to assess the quality of underground structures. Thickness, presence of rebars, depth of rebars, and the presence and depth of internal defects are assess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box-type general underground structures.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ology, different conditions of concrete specimens are designed and cured to simulate actual field conditions. Applying ultrasonic and impact signals and collecting data through multi-channel accelerometers determine the thickness of the simulated specimens, the depth of embedded rebar, and the extent of defects. The predicted results are well agreed upon compared with actual measurements. The proposed method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safety diagnostic methods applicable to general underground structures in practical field conditions.

Investigation on the Stage-Discharge Relation in Inclined Spiral Intake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 수위 유량 수위-관계 검토)

  • Rhee, Dong-Sop;Kim, Cha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09-1812
    • /
    • 2008
  • 지하방수로는 도시의 지하에 대규모 수로 터널을 시공하여, 도시 지역에 발생한 집중 호우를 초기에 배제하여 제내지 침수 피해를 줄이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구조적 홍수 피해 경감 대책이다. 효과적으로 침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지하에 설치되어 토지 수용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일본 등지에서 최근 주요 홍수 방어 대책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하방수로 유입부는 크게 접근수로, 유입구, 수직 갱도(vertical shaft)로 구분되며, 접근 수로를 통하여 유입된 흐름은 유입구를 통하여 가속된 후 수직 갱도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지하방수로의 배제 능력을 평가하기위해서는 유입구에서의 유량 및 흐름 특성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inclined spiral intake)는 지하방수로 유입구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나선식 유입구의 한 형태로 유입구의 외측 또는 중앙선을 따라서 일정한 경사를 주어 사류 유입 흐름을 유도함으로서 유량 배제 효율을 높인 형태이다.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도 일반적인 나선식 유입구와 마찬가지로 접근수로 수위를 측정하여 유입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 모형 실험을 통하여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에 대한 수위-유입량 관계를 검토하였다. 평탄한 입구를 가지는 안내벽이 있는 형식의 유입구 모형을 이용하여 수위-유입량 관계를 검토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n the Discharging Efficiency of Inclined Spiral Intakes by Changing Inclination (경사 변화에 따른 나선식 유입구 방류 효율 검토)

  • Rhee, Dong-Sop;Cho, Gil-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87-687
    • /
    • 2012
  • 최근 도입 필요성이 계속하여 높아지고 있는 지하유입시설 유입구로는 유입구 효율과 성능으로 인하여 와류식 유입구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 나선식 유입구(spiral intake)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초기에 활용되었던 원형 유입구(circular intake)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형식이다. 형상은 복잡하지만 구조물 내부에서 와류(vortex)를 안정적으로 형성시키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선식 지하방수로 유입구가 사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유입구 내부에서도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유입 유량에 따른 수위의 변화가 다른 유입구 형식에 비하여 비교적 안정적으로 예측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약 지하방수로 유입구 내부에서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도수 현상 등에 의한 수위 상승 현상 등이 발생할 경우 지하유입시설 내부로 안정적으로 유량을 배제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또한 도수 현상이 발생하는 동안 과도한 유량이 유입될 경우 다시 본류로 흐름이 역류할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 형상에 따른 수위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검토할 종경사형 나선식 유입구(inclined spiral intake)는 일정한 바닥 경사를 도입하여 사류 흐름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속시켜 유입구 내부에서의 도수 현상을 방지하는 형식으로 유입구 바닥의 외측 또는 중앙선을 따라서 일정한 경사를 주어 사류 유입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함으로서 유량 배제 효율을 높인 형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입구 외측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진 종경사형 나선식 유입구 모형을 이용하여 경사 변화에 따른 방류 효율을 검토하였다.

  • PDF

Investigation on the Stage-Discharge Relation in Inclined Spiral Intake for the Various Inclination (유입구 경사 변화에 따른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 수위-유량 관계 검토)

  • Rhee, Dong-Sop;Kim, Cha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903-1907
    • /
    • 2009
  • 최근 도입 필요성이 계속하여 높아지고 있는 지하방수로 유입구로는 유입구 효율과 성능으로 인하여 와류식 유입구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 나선식 유입구(spiral intake)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초기에 활용되었던 원형 유입구(circular intake)를 대신하여 사용되는 형식이다. 형태적인 복잡성에 도 불구하고 형식상의 특성으로 인하여 와류(vortex)를 안정적으로 형성시키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나선식 지하방수로 유입구가 사용되는 가장 큰 이유는 유입구 내부에서도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유입 유량에 따른 수위의 변화가 다른 유입구 형식에 비하여 비교적 안정적으로 예측 가능하기 때문이며, 만약 지하방수로 유입구 내부에서 수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도수 현상 등에 의한 수위 상승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경우 지하방수로 내부로 안정적으로 유량을 배제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또한 도수 현상이 발생하는 동안 과도한 유량이 유입될 경우 다시 본류로 흐름이 역류할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 형상에 따른 수위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 진다. 본 연구에서 검토될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inclined spiral intake)는 일정한 바닥 경사를 도입하여 사류 흐름을 보다 안정적으로 가속시켜 유입구 내부에서의 도수 현상을 방지하는 형식으로 유입구 바닥의 외측 또는 중앙선을 따라서 일정한 경사를 주어 사류 유입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함으로서 유량 배제 효율을 높인 형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입구 외측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사(5.0 %, 7.5 %, 10.0%, 12.5%)를 가진 나선식 종경사형 유입구 모형을 제작하여 유입 유량 변화에 따른 유입구 내부에서 수위-유량관계를 확인하였다

  • PDF

Problem Analysis and Repair Techniques of Underground Concrete Box Structures (지하 박스 콘크리트 구조물(지하철)의 결함 원인 및 대책)

  • 변근주;오병환;신용석;송하원;원대연;남진원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2
    • /
    • pp.70-76
    • /
    • 2002
  • 지하철, 고속철도, 신공항, 공동구, 지하보도, 지하차도, 하수도, 도로 및 철도 등 의 지하구조에는 일반적으로 박스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건설되고 있다. 1990년 대 중반 이후 시공 및 사용중인 지하 박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 등의 문제점이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지하 박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크게 결함(defect), 손상(damage), 열화(deterioration)의 3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원인은 구조물에 균열(cracking), 누수(leakage), 처짐(deflection), 부동침하(settlement) 재료분리(segregation) , 박리(delamination), 부식(corrosion), 박락(spalling)등의 현상으로 나타난다.(중략)

Soil Surface Fixation by Direct Sowing of Zoysia japonica with Soil Improvement on the Dredged Soil Slope (해저준설토 사면에서 개량제 처리에 의한 한국들잔디 직파 지표고정 공법에 관한 연구)

  • Jeong, Yong-Ho;Lee, Im-Kyun;Seo, Kyung-Won;Lim, Joo-Hoon;Kim, Jung-Ho;Shin, Moon-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4 no.4
    • /
    • pp.1-10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rowth of Zoysia japonica depending on different soil treatments in Saemangeum sea dike, which is filled with dredged soil. Zoysia japonica was planted using sod-pitching method on the control plot. On plots which were treated with forest soil and soil improvement, Zoysia japonica seeds were sprayed mechanically. Sixteen months after planting, coverage rate, leaf length, leaf width, and root length were measured and analyzed. Also, three Zoysia japonica samples per plot were collected to analyze nutrient contents. Coverage rate was 100% in B treatment plot(dredged soil+$40kg/m^3$ soil improvement+forest soil), in C treatment plots (dredged soil+$60kg/m^3$ soil improvement+forest soil), and D treatment plots (dredged soil+$60kg/m^3$ soil improvement), while only 43% of the soil surface was covered with Zoysia japonica on control plots. The width of the leaf on C treatment plots (3.79mm) was the highest followed by D treatment (3.49mm), B treatment (2.40mm) and control plots (1.97mm). Leaf and root length of D treatment was 30.18cm and 13.18cm, which were highest among different treatments. The leaf length of D treatment was highest followed by C, B, and A treatments. The root length of D treatment was highest followed by C, A, and B treatments. The nitrogen and phosphate contents of the above ground part of Zoysia japonica were highest in C treatment, followed by D, B, and A treatments. The nitrogen and phosphate contents of the underground part of Zoysia japonica were highest in D treatment, followed by C, A, and B treatments. C and D treatments showed the best results in every aspect of grass grow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dentify the cost effective way to improve soil quality for soil surface fixation on reclaimed areas using grass species.

Stability analysis of an existing utility tunnel due to the excavation of a divergence tunnel emerging from double-deck tunnel (복층터널의 분기터널 굴착에 따른 지하 공동구의 안정성 분석)

  • Nam, Kyoung-Min;Choi, Min-ki;Kim, Jung-Joo;Jafri, Turab H.;Yoo, Han-Kyu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9 no.2
    • /
    • pp.231-248
    • /
    • 2017
  • Government plans to construct a double-deck tunnel under a portion of Gyeongbu Expressway that will solve traffic problems and could also be used as a flood storage facility. Divergence tunnels connect the main tunnel to the urban areas and their construction effects on adjacent structures at shallow depth need to be analyzed. This study primarily includes the numerical analysis of construction effects of divergence tunnels on utility tunnels. The utility tunnel was analyzed for three cases of volume loss applied to the divergence tunnel and two cases of the angle between main tunnel and divergence tunnel ($36^{\circ}$ and $45^{\circ}$).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the volume loss was applied and the shorter the distance was between utility tunnel and divergence tunnel, the more the utility tunnel was affected in terms of induced displacements, angular displacement and stability. The worst scenario was found out to be the one where the angle between main tunnel and divergence tunnel was $36^{\circ}$ and the distance between divergence tunnel and utility tunnel was 10 m, resulting in the largest displacement and differential settlement at the bottom of the utility tunnel. A relationship between the angular displacement and the distance to diameter ratio was also established.

Analysis of Stream Characteristics at Tangential Intake Structure of Deep Underground Strom Water Tunnel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의 접선식 유입구 흐름특성 분석)

  • Kim, Jung-Soo;Kim, So-Young;Choi, Tea-Soon;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04-604
    • /
    • 2012
  • 국지성 집중호우에 따른 도심지 내수 침수 피해의 주원인으로 하수관거의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강우가 침수피해의 주요 원인이며, 도심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유출되는 시간이 짧아 저지대의 피해는 불가피하다. 2010년과 2011년에 100년 이상의 강우사상이 서울시에 연이어 나타나면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지역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광화문 거리의 연이은 침수는 현재 서울시의 하수관거의 용량과 빗물펌프장 및 저류조 시설로 구성된 기존 수방대책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광화문 일대의 배수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효자배수분구 빗물배수터널을 계획하고 있다. 일본, 미국 및 유럽 등지에서는 대심도 지하수로 시설에 대한 수리실험 및 수치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하방수로가 건설되어 국지성 집중 강우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에는 대심도 지하방수로 시설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지하방수로 설계 지침 및 기술적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시설에서의 흐름특성 분석에 관한 수리실험 및 수치해석 등의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실험의 물질적 및 시간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3차원 유체거동의 특성분석에 많이 사용되는 Fluent 6.3 모형을 이용하여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시설의 접선식 유입구에 대한 흐름특성을 수치모의 하였다. 접선식 유입구 및 수직갱(drop shaft)에 대한 기하 모형의 격자망은 수치해석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그림 1과 같이 6면체 격자로 구성하였다. 맨홀 내의 다상유동을 고려하기 위하여 VOF(Volume of Fluid) Scheme을 적용하였으며,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비정상류, 1st order implicit method를 사용하였다. Fluent에서의 난류 흐름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난류 운동에너지와 난류 에너지 소산율 $\epsilon$의 전달 방정식을 도입한 k-$\epsilon$ 난류 모형을 채택하였다.

  • PDF

Comparison Analysis of Ready to Use Time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Fire Hydrant of Fire-fighting Water Facility (소방용수시설의 공설소화전 종류에 따른 사용 준비시간 비교분석)

  • Jeon, Jai-In;Kong, Ha-S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5 no.4
    • /
    • pp.87-9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paration time of fire-fighting water for public fire hydrants and ground, underground fire hydrants. The equipment preparation time for stage 1 was 20.50 seconds for ground type and 24.67 seconds for underground type.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 in preparation time is that an underground fire hydrant requires additional standpipes to connect to the main conduit of Paru and the underground hydrant, which open the manhole cover. Water tank Maintenance joint with water hose male coupling of the second stage was similar to that of the ground type of 48.50 seconds and underground water tipe of 49.00 seconds. This is because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fire hose to the maintenance tank of the water tank car is the same. In the third stage, the water pipe connection was 43 seconds for ground type and 174.33 seconds for underground type. The reason why the time for connecting the water pipe to the fire hydrant is large difference is that the underground fire hydrant is opened by opening the manhole cover, After connecting the stand pipe to the fire hydrant, the additional process of connecting the water pipe to the stand pipe is required, which is considered to have greatly increased the time required. The opening of Water Control Valve and spindle Valve in the fourth stage was 66.50 seconds for the ground type and 78.83 seconds for the underground type. This differenc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pindle of the ground fire hydrant is located on the main body and can be easily opened, but the underground type is located next to the main body under the manhole and requires additional time to connect the opening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