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 노드

Search Result 45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of Monitoring Nodes and the Coverage of Normal Nodes for Behavior-based Attack Detec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행위 기반 공격 탐지를 위한 감시 노드의 연결성과 일반 노드의 커버리지 분석)

  • Chong, Kyun-Ra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12
    • /
    • pp.27-34
    • /
    • 2013
  • In wireless sensor networks, sensors ne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send their sensing data to the administration node and so they are susceptible to many attacks like garbage packet injection that cannot be prevented by using traditional cryptographic approaches. A behavior-based detection is used to defend against such attacks in which some specialized monitoring nodes overhear the communications of their neighbors to detect bad packets. As monitoring nodes use more energy, it is desirable to use the minimal number of monitoring nodes to cover the whole or maximal part of the network. The monitoring nodes can either be selected among the deployed normal nodes or differ in type from normal nodes.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n algorithm for selecting the predefined number of monitoring nodes needed to cover the maximum number of normal nodes when the different types of normal nodes and monitoring nodes are deployed. We also hav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how the number of monitoring nodes and their transmission range affect the connection ratio of the monitoring nodes and the coverage of the normal nodes.

Distributed Localization for Reducing Error Propag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센서네트워크에서 에러 전파를 고려한 분산 위치 추정 기법)

  • Kim, Taeyoung;Shon, Minhan;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068-1069
    • /
    • 2010
  •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저가의 센서 필드를 구성하기 위해 센서노드의 위치 추정은 매우 중요하다. 소수의 위치를 알고 있는 센서노드인 앵커노드를 이용하여 모든 일반노드들의 위치를 알게 하는 방법으로 DRLS이 있으며, 이 기법은 이전의 기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확한 위치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DRLS는 이웃하는 앵커노드가 없는 일반노드의 경우 위치 추정 정확도를 심각하게 낮추는 에러 전파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DRLS의 에러전파를 줄이기 위한 Distributed Localization for Reducing Error Propagation (DLREP)를 제안한다. DLREP는 각 일반노드들이 DRLS를 이용하여 위치 추정을 한 뒤 한 번의 추가적인 브로드캐스트를 더 수행하여 각 일반노드가 추가적인 앵커노드의 위치 정보를 얻게 한다. 그리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앵커노드 위치를 중심으로한 초기 위치의 회전을 통해 일반노드의 에러전파가 된 위치에 대한 수정을 가한다. DLREP는 위치 측정이 완료된 DRLS에 적용되어 더 정확한 센서노드의 위치 추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보된 위치 추정 기법이다.

An Improved DV-Hop Localization Algorithm in Wireless Ad Hoc Networks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향상된 DV-Hop 기반 위치인식 알고리즘)

  • Lee, Sang-Woo;Lee, Dong-Yul;Lee, Chae-W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 /
    • v.46 no.4
    • /
    • pp.69-78
    • /
    • 2009
  • DV-Hop algorithm is not accurate in estimating geographic location of nodes because the average size for one hop is calculated without considering of the positioning error. In this paper, a novel algorithm based on DV-Hop algorithm is proposed for the approach to estimating the average size of a hop by minimizing anchor's positioning error using Least Square Error with other anchors. Moreover, unknown nodes have their own average size for one hop to compensate for the location error of the unknown occurring as more than the minimum hop counts to the distanc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more accuracy than DV-Hop has in positioning.

Multihop Range-Free Localization with Virtual Hole Construction in Anisotropic Sensor Networks (비등방성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 홀을 이용한 다중 홉 Range-Free 측위 알고리즘)

  • Lee, Sangwoo;Kim, Sunw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1
    • /
    • pp.33-42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multihop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 to estimate the physical location of a normal node with local connectivity information in anisotropic sensor networks. In the proposed algorithm, a normal node captures the detour degree of the shortest path connecting an anchor pair and itself by comparing the measured hop count and the expected hop count, and the node estimates the distances to the anchors based on the detour degree. The normal node repeats this procedure with all anchor combinations and pinpoints its location using the obtained distance estimates. The proposed algorithm requires fewer anchors and less communication overhead compared to existing range-free algorithms. We showed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over existing range-free algorithms through MATLA simulations.

CHS : Cluster Head Self-election algorithm in WSNs (센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헤드 자가 선출 알고리즘)

  • Choi, Koung-Jin;Jung, Suk-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534-537
    • /
    • 2009
  • Clustering protocol of Wireless sensor networks(WSNs) can not only reduce the volume of inter-node communication by the nodes's data aggregation but also extend the nodes's sleep times by cluster head's TDMA-schedule coordination. In order to extend the network lifetime of WSNs, we propose CHS algorithm to select cluster-head using three variables. It consists of initial and current energy of nodes, round information, and total numbers which have been selected as cluster head until current round.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Method for Detection and Management of Unusual node in Mobile Ad-hoc Networks Environment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성을 고려한 비정상 노드의 효율적인 탐지 및 관리기법 연구)

  • Hwang, Dong-Yeop;Kim, Ki-Hyung;Yoo, Seung-Wh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748-751
    • /
    • 2011
  • 본 논문은 비정상 노드의 이동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탐지 및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첫째로비정상 노드의 이동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가중치 관리서버를 분산 배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둘째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기법을 통하여 비정상노드의 이동을 탐지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탐지성능을 보인다.

A Node Movement Detection Scheme for Maintaining Routes in the MANET Environment (MANET 환경에서 지속적인 경로 유지를 위한 노드 이동 감지 기법)

  • Yu, Hyun;Ahn,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91-1194
    • /
    • 2007
  •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 (MANET)는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 없이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로 멀티 홉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ANET에서 경로 끊김이 발생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경로를 설정하고 있는 노드들의 이동이나 hidden terminal 과 같은 무선 채널 충돌 때문이다. 무선 채널 충돌처럼 노드들의 위상과 상관없이 패킷들의 충돌 때문에 경로 끊김이 발생하는 현상은 불필요한 경로 재설정이 유발된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제어 메시지의 과도한 생성은 전체 네트워크의 오버헤드를 증가시켜 성능 감소로 이어진다. 특히 일반적으로 MANET에서 사용하는 reactiv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는 더 많은 성능 감소가 일어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MANET의 이러한 불필요한 경로 재설정을 방지하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노드 이동 감지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HELLO 메시지와 이웃 노드 테이블을 이용하여 무선 채널 충돌과 같은 현상을 예측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성능 분석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노드 이동 감지 기법이 기존 방법들에 비해 패킷 전송률과 라우팅 오버헤드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 결과를 보였다.

  • PDF

A Locaton Mapping method Using node Signal Strength in Ad Hoc Network (Ad Hoc 네트워크에서 신호세기를 이용한 전체 노드 위치 추정 방안)

  • 김영락;우매리;김동학;황도삼;김종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15-818
    • /
    • 2003
  • Ad Hoc 네트워크는 이동하는 노드들이 무선 환경에서 상호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이다. Ad Hoc 네트워크는 패킷 라우팅과 서비스 중에 노드들의 단절 현상이 발생한다. 각 노드들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면 이러한 현상을 미리 예측하여 회피하거나 복구하기 쉽다. 일반적으로는 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파악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CPS를 사용하지 않고 전체적인 노드들이 가지고 있는 상대적인 정보만을 이용하여 이동 노드들의 전체적인 위치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기존 시스템을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완가능 하므로 구축이 간단하고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PDF

Range-free Localization Based on Residual Force-vector with Kalman Filter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칼만 필터를 이용한 잔여 힘-벡터 기반 Range-free 위치인식 알고리즘)

  • Lee, Sang-Woo;Lee, Chae-W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4B
    • /
    • pp.647-658
    • /
    • 2010
  • Many localization schemes estimate the locations of radio nodes based on the physical locations of anchors and the connectivity from the anchors. Since they only consider the knowledge of the anchors without else other nodes, they are likely to have enormous error in location estimate unless the range information from the anchors is accurate or there are sufficiently many ancho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localization algorithm with the location knowledge of anchors and even one-hop neighbors to localize unknown nodes in the uniform distance from all the one-hop neighbors without the range information. The node in the uniform distance to its all neighbors reduces the location error relative to the neighbors. It further alleviates the location error between its actual and estimated locations. We evaluate our algorithm through extensive simulations under a variety of node densities and anchor placement methods.

The Implementation of Graph-based SLAM Using General Graph Optimization (일반 그래프 최적화를 활용한 그래프 기반 SLAM 구현)

  • Ko, Nak-Yong;Chung, Jun-Hyuk;Jeong, Da-B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4
    • /
    • pp.637-644
    • /
    • 2019
  • This paper describes an implementation of a graph-base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SLAM) method called the General Graph Optimization. The General Graph Optimization formulates the SLAM problem using nodes and edges. The nodes represent the location and attitude of a robot in time sequence, and the edge between the nodes depict the constraint between the nodes. The constraints are imposed by sensor measurements. The General Graph Optimization solves the problem by optimizing the performance index determined by the constraints. The implementation is verified using the measurement data sets which are open for test of various SLAM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