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교차

Search Result 47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Change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in South Korea (우리나라의 일교차 변화에 관한 연구)

  • Heo, In-Hye;Lee,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7 no.2
    • /
    • pp.167-180
    • /
    • 2011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nges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DTR) by season and region in South Korea using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daily minimum temperature from 1954 to 2009. It also attempts to find what causes these changes.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distinctively increas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research period (1988~2009) than the first half of the year (1954~1987) leading decreases in DTR, while the rise in daily maximum temperature was not distinct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 DTR shows slightly increasing trend in spring. but decreasing trend in fall. The DTR is decreasing in urban region while it is increasing in rural area. The degree of the DTR decrease is bigger in large urban region than in medium-small urban region. The DTR in urban region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clouds in spring and tile duration of sunshine in fall. The DTR in rural area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clouds in spring and the number of days with precipitation in fall.

  • PDF

함양지역 지하수위 변동자료의 시계열 분석

  • 정재열;함세영;손건태;이병대;류상민;차용훈;류수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48-551
    • /
    • 2003
  • 부산 금정산 지역의 지하수위와 강우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자기상관함수와 상호상관함수를 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금정산 산성마을 주변의 19개 관측공 중 자동수위측정기가 설치된 4개 관측공(KJ2, KJ8, KJ15, KJ19)의 지하수위 자료와 부산지역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지하수위 및 강수량은 각각 1일 평균, 1일 누적 값을 이용하였다. 자기상관분석의 경우, KJ2와 KJ19의 경우 지연시간이 2일 이내, KJ8의 경우는 3일 이내에 0으로 수렴하며, KJ15의 경우는 지연시간이 8일째에 0으로 수렴한다.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교차상관분석결과, KJ2, KJ15, KJ19호 공은 지연시간이 0일 때 교차상관함수가 각각 0.6572, 0.6303, 0.7857이교 KJ8호 공은 지연시간이 1일 때 0.7141이다. 또한 대부분 짧은 지연시간에 교차상관함수가 0으로 수렴한다.

  • PDF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s on Flow Characteristics in a Crossroad due to Slope Variation (유입경사에 따른 도로 교차부에서의 흐름특성에 관한 수치적 및 실험적 연구)

  • Kim, Kyung-Hwan;Jeong, Woo-Chang;Lee, M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1-321
    • /
    • 2011
  •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하여 예측이 어려운 게릴라성 집중호우 등의 증가로 재해 및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도시지역에서의 홍수피해로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지역내로 유입되는 홍수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건물과 도로의 배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매우 복잡한 흐름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지역이 조밀한 건물군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홍수의 대부분은 도로와 교차점을 통해 흐르므로 도시지역 내에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도로 교차로에서의 홍수파의 전파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차로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도로가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교차로에서의 흐름은 유입되는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도로의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경우 상류 특성을 나타내나 이와 반대일 경우에는 상류 및 사류가 공존하는 복잡한 수면형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도지지역 내 도로 교차점에서 유입경사 변화에 따른 도로 교차부에서의 흐름특성을 수치모의 결과와 수리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Case 1은 수로의 유입경사가 3%일 경우 도로 교차로에서 수위 및 흐름특성을 수치모의결과와 비교한 결과 조도계수가 0.0086일 경우 RMSE 값은 X축에서는 0.0023, Y축에서는 0.0042로 수로중심에서의 수심분포가 잘 일치 하였으며, 흐름특성 또한 수치모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Case 2에서는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유입경사가 3%와 5%일 경우 도로와 교차점에서의 흐름특성을 수치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유입경사가 변화함에 따른 수면흐름특성을 모의하였다.

  • PDF

농업기술 - 다가오는 환절기의 가축질병 어떻게 관리할까요?

  • Jeong, Yeong-Hun
    • 농업기술회보
    • /
    • v.47 no.5
    • /
    • pp.40-41
    • /
    • 2010
  • 큰 일교차는 가축면역력 약화를 부른다. 낮과 밤의 일교차 약 $10^{\circ}C$ 전후의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약한 어린 가축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사불균형으로 질병 발생률이 높아진다. 가축에게 환경 스트레스를 낮춰주기 위해 아침 저녁으로 바깥의 찬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차단해야 하고 야간에는 축사보온, 낮에는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또한 양질의 사료공급은 물론 비타민, 광물질 등의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해 급여하고 호흡기 질병 및 설사병 등의 백신을 적기에 접종해 면역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PDF

Cross Correlation Analysis of Gamma Exposure Rates and Rainfall, Hours of Saylight, Average Wind Speed in Gangneung Area (강릉 지역 공간 감마선량률과 강수량, 일조시간, 평균풍속 사이 교차 상관성 분석)

  • Cha, Hohwan;Kim, Jae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7 no.5
    • /
    • pp.347-352
    • /
    • 2013
  •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ross correlation between Gamma exposure rates and Rainfall, Hours of daylight, Average wind speed using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rho}_{DCCA}$ and DCCA cross-correlation coefficient(DCCA ${\rho}$) method. Our data are measured simultaneous in Gangneung regional. First, we find the ${\rho}_{DCCA}$ between Gamma exposure rates and Rainfall is Day(3~7days) 0.57~0.48, Month(30days) 0.39, Season(90days) 0.34, Year(360days) 0.26, between Gamma exposure rates and Hours of daylight is Day -0.20~-0.23, Month -0.22, Season -0.17, Year -0.13, between Gamma exposure rates and Average wind speed is Day -0.10~-0.12, Month -0.11, Season -0.05, Year -0.05. Second, our finding is cross- correlation between Gamma exposure rates and Rainfall, is no cross-correlation between Gamma exposure rates and Hours of daylight, Average wind speed.

Development of Warrant for Scrambled Pedestrian Crossing (대각선 횡단보도의 정량적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 손규홍;장명순;김영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2
    • /
    • pp.105-122
    • /
    • 1997
  • 본 연구는 대각선 횡단보도의 정량적 설치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이상적인 조건에서의 교차로 각현시별 임계차선 교통량의 합($\sum_i$ CVi)을 600~1,800대로 변화를 주어 실험적 시뮬레이션 방법을 적용하였다. TRANSTY-7F 모형을 이용한 교차로 평균차량 지체도와 본 연구에서 정립한 보행지체모형을 이용한 교차로 평균 보행지체도와의 관계를 변수로 하여 대각선 횡단보도의 정량적 설치기준을 각 조건별로 산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동시신호시 교통량과 보행량의 비율이 1:1일 경우 대각횡단비율 20~40%에서는 $\sum_i$ CVi=1,050~1,150대 이하에서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시 지체도 감소에 대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둘째, 동시신호시 교통량과 보행량의 비율이 1:2일 경우 대각횡단비율 20~40%에서는 $\sum_i$ CVi=1,150~1,200대 이하에서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시 지체도 감소에 대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선행 좌회전신호시 교통량과 보행량의 비율이 1:1일 경우 대각횡단비율 20~40%에서는 $\sum_i$ CVi=600~750대 이하에서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시 지체도 감소에 대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넷째, 선행 좌회전신호시 교통량과 보행량의 비율이 1:2일 겨우 대각횡단비율 20~40%에서는 $\sum_i$ CVi=750~900대 이하에서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시 지체도 감소에 대한 편익을 얻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