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허가

Search Result 21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on-the-spot survey of Road occupation Information using mobile techniques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도로점용민원 현장조사 방안 연구)

  • Kim, Byung-Kon;Kim, Jin-Uk;Jeong, Seong-Yun;Kim, Young-Jin;Kim, Tae-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832-83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on-the-spot survey method of road occupation information. The on-the-spot survey method is proposed through the analysis of information searching function, document and process. The decision of road occupation permission and the grasp of illegal occupation status are closely connected with national rights and interests. To keep the road occupation permission and illegal occupation status, the easy acquisition of road occupation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But the person in charge of road occupation have a difficulty in obtaining occupation information because that information is still managed by paper drawing.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 the on-the-spot survey tool of road occupation using the occupation information that is managed by Construction Authorization & Permission System and the mobile techniques like UMPC.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fficiency on the authorization. permission. and public grievance of construction project has improved

  • PDF

Measuring the Public Service Quality Using Process Mining: Focusing on N City's Building Licensing Complaint Service (프로세스 마이닝을 이용한 공공서비스의 품질 측정: N시의 건축 인허가 민원 서비스를 중심으로)

  • Lee, Jung Seung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5 no.4
    • /
    • pp.35-52
    • /
    • 2019
  • As public services are provid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e-government, the level of public demand for public service quality is increasing. Although continuous measurement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traditional surveys are costly and time-consuming and have limita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nalytical technique that can measure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quickly and accurately at any time based on the data generated from public servic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quality of public services based on data using process mining techniques for civil licensing services in N city. It is because the N city's building license complaint service can secure data necessary for analysis and can be spread to other institutions through public service quality management. This study conducted process mining on a total of 3678 building license complaint services in N city for two years from January 2014, and identified process maps and departments with high frequency and long processing tim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re was a case where a department was crowded or relatively few at a certain point in time. In addition, there was a reasonable doubt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laints would increase the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complai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time required to complete the complaint was varied from the same day to a year and 146 days. The cumulative frequency of the top four departments of the Sewage Treatment Division, the Waterworks Division, the Urban Design Division, and the Green Growth Division exceeded 50% and the cumulative frequency of the top nine departments exceeded 70%. Higher departments were limited and there was a great deal of unbalanced load among departments. Most complaint services have a variety of different patterns of processes. Research shows that the number of 'complementary' decisions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length of a complaint. This is interpreted as a lengthy period until the completion of the entire complaint is required because the 'complement' decision requires a physical period in which the complainant supplements and submits the documents agai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possible to drastically reduce the overall processing time of the complaints by preparing thoroughly before the filing of the complaints or in the preparation of the complaints, or the 'complementary' decision of other complaints. By clarifying and disclosing the cause and solution of one of the important data in the system, it helps the complainant to prepare in advance and convinces that the documents prepared by the public information will be passed. The transparency of complaints can be sufficiently predictable. Documents prepared by pre-disclosed information are likely to be processed without problems, which not only shortens the processing period but also improves work efficiency by eliminating the need for renegotiation or multiple task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ocess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find departments with high burdens of civil complaints at certain points of time and to flexibly manage the workforce allocation between departm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tern of the departments participating in the consultatio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aints, it is possible to use it for automation or recommendation when requesting the consultation department. In addition, by using various data generated during the complaint process and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e pattern of the complaint process can be found. It can be used for automation / intelligence of civil complaint processing by making this algorithm and applying it to the system.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suggest future public service quality improvement through process mining analysis on civil service.

Consideration for Innovation of Future Nuclear R&D (미래 원자력기술 혁신방향에 대한 고찰)

  • Lee, Yeong-Jun;Kim, Su-Eun;Yun, Mi-Rae;Im, Chae-Yeong;Mun, Gi-Hwan;Lee, T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507-1522
    • /
    • 2017
  • 1950~60 대에 다양한 원자력 발전시스템 개념들이 제안된 후 경수로 시스템을 중심으로 기술이 성숙해오다, 2000년대부터 기술적 한계(고유안전성, 폐기물 발생 등)로 인해 기술진보의 장벽에 부딪혔다. 기술적 쇠퇴기를 극복하기 위해 크게 3가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번째는 기존 경수로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 고유안전성을 지니고,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 하거나 폐기물을 소멸처리할 수 있는 혁신 원자력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경우 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기존 경수로 시스템보다 경제적이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는 타 기술 분야와 접목하여 기존 시스템의 안전성과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대표되는 IT 기술이 기존 원자력 기술에 접목되는 방안인데, 인허가 문제를 극복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는 미래 기술에 원자력 기술을 접목하는 방안이다. 우주, 해양, 국방 등 거대 과학 분야 등 원자력 외 분야에 접목할 경우 인허나 등 기존체계에서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 혁신을 이룰 수 있다.

  • PDF

법정판결의 당위성과 리스크

  • 말콤리차드윌키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5 no.4
    • /
    • pp.286-289
    • /
    • 1983
  • 원자력발전이 수렁에 빠져 들어가게된 원인은 무엇이며 이를 타개하기 위한 대책과 묘안은 무엇일까\ulcorner 특히 원자력발전소의 인허가절차에 대한 법정과 반핵운동양상을 논하면서 이정표상 미국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 PDF

Construction of Housing Supply Statistics Information using GIS (GIS를 활용한 주택공급통계정보 구축 연구)

  • Lee, Joon-Won;Choi, Jun-Young;Kim, Yeon-Sik;Lee, Han-J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17-223
    • /
    • 2007
  • 지속적인 주택공급 증가에 따라 전반적인 주택보급률은 상승하였으나 주택하위시장별로 수급이 차별화되고, 수요자의 요구도 다양해짐에 따라 주택정책의 수립에 있어서 양적정보 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 세분화된 주택통계에 대한 질적 정보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이중 주택공급통계(housing supply statistics)는 건축물의 건설, 사용, 수선 및 보수, 폐기의 각 생애주기(life-cycle)별로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입주통계 등을 생산한다. 하지만 통계생산시 발생하는 누락 오기, 정보시스템의 미비 연계부족 등의 이유로 신속하고 정확한 통계 생산이 곤란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적 통계 생산방안을 모색하고자 주택공급통계를 중심으로 통계 및 시스템 현황을 분석하고 주택 통계와 GIS를 연계한 통합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시스템 정비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공공기관, 소수력발전 개발 주도

  • Lee, Jong-Su
    • 월간 기계설비
    • /
    • s.226
    • /
    • pp.42-52
    • /
    • 2009
  • 신재생에너지의 한 분야인 소수력발전은 지형이나 기후 등 자연적인 조건과 조화를 이루며 국내 부존 잠재량이 많아 보급효과가 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의 소수력 발전 부존량은 1,500MW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시장잠재량은 2030년까지 660MW로 예측되고 있다. 국내 부존량을 모두 개발하면 연간 70만M쪼, 약 700억원 규모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11년까지 소수력발전 보급목표량을 80MW로 정해 소수력발전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에 따른 지역에너지 보급사업, 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제도(RPS)와 발전차액지원제도로 소수력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공공기관에서 소규모 소수력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지만 본격적인 상용화에는 한계가 많다는 지적이다. 소수력 발전의 전체 시장 매출은 매년 비슷하지만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및 관련 기술개발, 인허가 절차의 획기적 개선 등을 통해 국내의 풍부한 부존량을 개발하면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세계 최고의 소수력 보급 국가인 중국의 경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소수력 발전소를 개발할 계획이어서 해외진출에 관심 있는 설비건설 업체라면 중국 시장을 노크해볼만 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번 호에서는 소수력 발전 기술 및 동향과 시공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Equipment qualification for Excitation Control System for Emergency Diessel Generator (원전 비상디젤 발전기 여자시스템 기기검증)

  • Lee, Joo-Hyun;Lim, Ick-Heon;Ryu, Ho-Seon;Shin, Man-Su;Huh, Tae-Ya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d
    • /
    • pp.1911-1912
    • /
    • 2006
  • 원자력 발전소가 전력계통으로부터 분리되어 외부전원으로 발전소 내부의 주요 보조기기들을 운전할 수 없는 상황에서 비상디젤 발전기는 원자력발전소의 핵심 냉각펌프 등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면 안 된다. 현재까지는 품질등급 Q-Class인 비상 발전기 여자시스템이 외국 기술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공급되었는데 비상발전기가 차지하는 역할의 중요성으로 인한 품질활동 절차, 규제기관의 인허가 획득 등의 문제 때문에 비상 디젤발전기의 여자시스템이 현재까지 국산 연구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원전 비상디젤 발전기 여자시스템의 국산개발에 필요한 시스템의 기기 검증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performance in water supply and low leakage (상수도관의 자재 성능 및 누수율 저감에 관한 연구)

  • Jung, Seung-Kwon;Lee, Jung-Min;Kim, Young-Jin;Kim, M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847-849
    • /
    • 2008
  • 상수도시설은 준공후 관련지자체에 이관 관리하는 시설로서 사용관종이 현재 다양하게 생산 보급되고 있어 관종 선정시 다각적인 측면에서 검토하여 채택하여야 한다. 최근 한국토지공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수도 관종은 대부분 택지개발계획 등 인허가 당시부터 관리주체인 지자체 등과의 협의과정을 거쳐 선정되는 경우가 많아 자재선택에 한계성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재 성능에 대한 공사내 명확한 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사가 시공하여 준공한 사업지구내 매설된 상수도 자재에 대한 샘플링조사를 통하여 적정한 관의 선정과 년도별, 관종별, 용도별 사용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기존 상수도관의 선정시 비교검토된 관의 제원(관의 재질 및 개요, 생산규격, 특성, 관접합 및 수밀성, 시공성, 경제성, 공사비, 관종선정(안) 결정)별 비교검토서를 보완 작성하고,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각종 상수도관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수도 관종 설계 및 시공에 대한 적용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

원전 계측제어시스템 사이버보안 기술동향

  • Lee, Cheol-Kwon
    • Review of KIISC
    • /
    • v.22 no.5
    • /
    • pp.28-34
    • /
    • 2012
  • 원자력발전소(원전) 계측제어시스템은 원전을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해 계측, 제어 및 보호,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설비로서, 2000년대에 들면서 아날로그 기술에서 컴퓨터와 데이터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기술로 변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은 원전에 많은 이점을 부여하였지만 한편으로는 최근 이란 핵시설 및 중국에서 발생한 사이버 사고를 통해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이 사이버공격으로부터 취약함이 입증되었다. 이에 따라 사이버보안 기술을 도입하여 원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원전 계측제어시스템의 최상위 설계요건으로 요구되는 안전성 확보는 복잡한 기기검증 절차와 긴 시간이 요구되는 인허가 과정 등으로 인해 사이버보안 기술을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원전 계측제어시스템의 특성을 살펴보고 현재 국내외에서 개발 및 적용중인 원전 사이버보안 기술동향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