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허가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f Cooldown Performance of Shutdown Cooling System of Korea Next Generation Reactor (차세대 원자로 정지냉각계통의 냉각 성능에 대한 연구)

  • 유성연;이상섭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8 no.4
    • /
    • pp.525-532
    • /
    • 1999
  • The standardized Korea Next Generation Reactor (KNGR) NSSS has developed in the basis of the ABB-CE System 80+ design concept. In this study, several regulatory requirements for the KNGR shutdown cooling system (SCS) operation are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echnical self-reliance for SCS design by supporting fundamental data such as SDCHX effective area and reactor CCW flow rate. Thermal power of KNGR would be increased to about 4,000 $MW_{th}$ in comparison with thermal power 2.825 $MW_{th}$ of UCN 3&4, therefore, SCS design data shall b recalculated by using the KDESCENT Code, which could evaluate cooling capability of SCS. It is found that SCS minimum flow rate is able to remove the primary sensible heat. Reviewing the major components such as heat exchanger, pump, value, and operating procedure, it is concluded as follows.

  • PDF

A Study on Policies for the Improvement of Groundwater Management (지하수 관리 선진화를 위한 정책제언)

  • Kim, Jinsoo;Lee, Gyu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1-331
    • /
    • 2016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하여 가뭄의 발생이 잦아지고 그 기간은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15년에는 충남 서부 지역에 제한급수가 실시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올해에도 일부 지역에 가뭄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뭄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해수담수화 및 지하수와 같은 대체 수자원 개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하수의 경우에는 단기간에 최소한의 비용으로 안전한 용수(用水)를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효용성이 높다. 그러나 지하수 역시 지표수와 마찬가지로 한정된 자원이며 생성과정에 상당한 시일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활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고려가 필요해 보인다. 우리나라 지하수는 개별법에 따라 5개 중앙부처 및 지자체에서 소관업무별로 관리하고 있어, 체계적 관리와 자료의 통합 연계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기본법 성격을 지닌 "지하수법"에서도 지하수 관리 등에 대해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법률에 따르도록 규정하여(법 제4조), 합리적 제도 개선에 한계가 있다. "온천법" 등 타법에 의한 지하수 개발 이용관련 인허가 사항을 "지하수법"으로 일원화하여 기본법으로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역별 사업별 관리는 개별 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는 등 체계적인 지하수의 개발 보전 정책이 필요하다. 국내 지하수 사용은 주로 관정(管井) 개발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무분별한 신규 관정의 개발은 지하수 고갈, 지반침하(sink hole)와 더불어 지하수의 수질 악화를 야기할 수 있다. 관정 개발의 실패로 발생하는 실패공은 노후 관정 및 폐관정과 더불어 방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오염물질 유입으로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오염된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하여 수질을 복원하는데 오랜 시일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불용공(不用孔)을 원상 복구하는 등 지하수의 개발에서 사후조치에 이르기까지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국토교통부는 지하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지하수 기초조사', '지하수 수위변동 실태조사' 및 '지하수시설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지하수 기초조사는 "지하수법" 제5조에 근거하여 1997년부터 실시되고 있으나, 예산 및 인력 부족 등으로 2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조사가 마무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지하수 수위변동 실태조사는 "지하수법" 제17조 등에 근거하여 시행되고 있는 반면, 지하수시설 전수조사는 근거 법률이 마련되어 미비하다. 지하수시설 전수조사는 전국의 모든 관정, 집수정(集水井), 지하댐(underground dam) 등의 지하수 시설을 대상으로 실시되므로, 조사의 방법, 대상, 시행 절차 및 주기 등에 대한 규정 마련을 통해 관련 자료를 지속적으로 보완 관리할 필요가 있다.

  • PDF

Safety Assessment of Aircraft Crash Accident Into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Facility - A Review With Focus on Structural Evaluation (사용후핵연료 건식저장시설의 항공기 충돌 구조안전성평가 연구 현황)

  • Lee, Sanghoon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17 no.2
    • /
    • pp.263-278
    • /
    • 2019
  • Since the 1970s, aircraft crash accidents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severest external events that should be evaluated for license application of nuclear reactors.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s, many countries have performed safety assessment against intentional or targeted aircraft crashes into nuclear related facilities. In some countries, assessment against targeted aircraft crash was enforced by regulation and considered an important task for license approval. Safety assessment against aircraft crash is a technically difficult task and many countries manage R&D programs to improve its reliability. In this paper, regulations of many countries regarding safety assessment against aircraft crash are summarized, separating regulations for accident aircraft crash and those for targeted aircraft crash. Research performed in various countries on safety assessment of nuclear facility against aircraft crash are summarized, with a focus on spent nuclear fuel dry storage facilities.

A Study on Predictive Modeling of Public Data: Survival of Fried Chicken Restaurants in Seoul (서울 치킨집 폐업 예측 모형 개발 연구)

  • Bang, Junah;Son, Kwangmin;Lee, So Jung Ashley;Lee, Hyeongeun;Jo, Subin
    • The Journal of Bigdata
    • /
    • v.3 no.2
    • /
    • pp.35-49
    • /
    • 2018
  • It seems unrealistic to say that fried chicken, often known as the American soul food, has one of the biggest markets in South Korea. Yet, South Korea owns more numbers of fried chicken restaurants than those of McDonald's franchise globally[4]. Needless to say not all these fast-food commerce survive in such small country. In this study, we propose a predictive model that could potentially help one's decision whilst deciding to open a store. We've extracted all fried chicken restaurants registered at the Korean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hen collected a number of features that seem relevant to a store's closure. After comparing the results of different algorithms, we conclude that in order to best predict a store's survival is FDA(Flexible Discriminant Analysis). While Neural Network showed the highest prediction rate, FDA showed better balanced performance considering sensitivity and specificity.

Groundwater management strategies for sustainability of field farming water supply (밭용수 공급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지하수 관리 전략)

  • Cha, Eunji;Hyun, Yunjung;Lee, Gu-Sang;Jeong, A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78-78
    • /
    • 2022
  • 농가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고소득 작물 재배,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영농형태가 논농사에서 밭농사로 전환되고 지역별 증감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밭 면적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한편, 밭작물은 논에 비해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고소득의 밭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시설재배가 늘어나면서 대부분 사계절 확보가 용이하고 수질이 양호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다. 지하수 수요 증가는 지하수위 저하와 지하수 고갈의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지하수 이용 실태를 분석하고 지하수이용 및 관리 제도 현황을 검토하여 지속가능한 밭용수 공급을 위한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진주시를 대상으로 경지유형에 따른 지하수 이용 특성 분석하여 지하수의 수요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하천 주변 저지대에 큰규모의 밭이나 집단화된 시설재배 지역이 분포하고 있고 지하수 관정도 밀집하고 있었다. 하천에서 떨어진 산간지역에는 지하수 관정이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지하수 수요는 공간적 위치 외에도 고품질 농업용수에 대한 요구도 원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밭기반 용수공급 관련 사업과 지하수 자원확보 관련 법제도 등을 고찰하여 밭의 위치, 규모, 용수공급의 수요 특성 등을 고려하여 밭용수 공급을 위한 세 가지 지하수 관리전략을 제안하였다. 우선,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 실측 및 정보의 다각화를 통한 정보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둘째, 지하수 이용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수와 연계한 지하수 이용기반이 구축되어야 한다. 지표수 공급이 가능한 지역은 지표수를 우선 공급하거나 지하수와 혼합 또는 교차하여 공급하고 물공급 취약지역에서는 지하수 공급 기반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세 번째 전략은 농업용 지하수 시설의 공공관리 강화 및 관리 효율화이다. 특히 지하수이용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지하수 인허가 기준을 강화하고 용도별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밭용수 공급은 농가 소득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물이용의 지속가능성과 함께 농가 소득증대를 고려하는 공편인적 관점에서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f Database Setup for River Infrastructure Maintenance (하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에 관한 연구)

  • Kim, Kyoung-Min;Jung, Jae-Hoon;Lee, Tae-Hoon;Kim, Tae-Jeong;Lee, Seu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71-371
    • /
    • 2022
  •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은 하천정보의 표준화 및 전산화를 통한 정보제공과 하천에 관련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으로 5개의 지방국토관리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하천대장 및 부도, 구조물도 등의 다양한 하천 관련 정보를 정보화하여 인허가 및 하천기본계획 등의 하천업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국가 주요 기반시설을 생애주기 관점에서 관리하고 소요재원의 확보근거를 마련하고자 "지속 가능한 기반시설 관리 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최근에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국토안전관리원에서는 도로·철도·철도 하천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15종)의 노후화에 대비하여 전략적인 투자와 관리방식 도입을 목적으로 인프라 총조사 사업을 진하천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15종)의 노후화에 대비하여 전략적인 투자와 관리방식 도입을 목적으로 인프라 총조사 사업을 진행하고 관리를 위해서 기반터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과 기반터 시스템은 하천 기반시설의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다뤄진다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기반터 시스템은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과 달리 유지관리 측면에 대한 필요한 보수 주기, 필요 예산 등과 같은 정보를 산정할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가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하천과 기반시설의 코드를 연결하는 작업들은 현재 상황에서는 미흡한 실정이고, 유지관리와 시설물의 노후화를 가속화하는 홍수와 침수피해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 기반시설의 유지관리를 위해 하천, 제방, 인명에 대한 위험지수를 고려한 잠재 인명피해 위험도와 잠재 홍수피해 위험도를 평가기준으로 설정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이를 포함시킨 투자우선순위 평가기법을 도입하여 감가상각과 위험요소 등을 고려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redictive Models for the Tourism and Accommodation Industry in the Era of Smart Tourism: Focusing on the COVID-19 Pandemic (스마트관광 시대의 관광숙박업 영업 예측 모형: 코로나19 팬더믹을 중심으로)

  • Yu Jin Jo;Cha Mi Kim;Seung Yeon Son;Mi Jin Noh
    • Smart Media Journal
    • /
    • v.12 no.8
    • /
    • pp.18-25
    • /
    • 2023
  • The COVID-19 outbreak in 2020 caused continuous damage worldwode, especially the smart tourism industry was hit directly by the blockade of sky roads and restriction of going out. At a time when overseas travel and domestic travel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tourist hotels that are colsed and closed due to the continued deficit is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study, licensing data from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ion and Security were collected and visualized to understan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tourism and lodging industry. The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algorithm was applied to implement the business status prediction model of the tourist hotel, the performance of the prediction model was optimized using the ensemble algorithm, and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as evaluated through 5-Fold cross-validation. It was predicted that the survival rate of tourist hotels would decrease somewhat, but the actual survival rate was analyzed to be no different from before COVID-19. Through the prediction of the business status of the hotel industry in this paper,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grasping the operability and development trends of the entire tourism and lodging industry.

Review and Analys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Korean Hydrogen Charging Station in UAE (한국형 수소충전소의 UAE 구축을 위한 인허가 절차 검토 및 적용 방안 모색)

  • YOUNG-JI BYON;SEUNG HWAN KIM;GOANG SUNG JIN;YOUNG WOOK SEO;YOUNG SOON BAEK
    • Journal of Hydrogen and New Energy
    • /
    • v.34 no.6
    • /
    • pp.623-630
    • /
    • 2023
  • Recently, a hydrogen charging station-related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as signed between Korea Transport Institute and United Arab Emirates (UAE) Ministry of Transport in Abu Dhabi, creating a foundation for exporting green hydrogen charging stations and hydrogen powered public transit buses developed with Korean technology to Abu Dhabi. Reliabl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charging stations require a thorough review on associated standards and legal requirements.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analyze currently effective standards related to hydrogen production, hydrogen vehicle charging, and hydrogen charging stations. This paper specifically focuses on comparative analysis of hydrogen-related standards in the UAE and the Republic of Korea. Similar to UAE, Korean hydrogen charging station-related standards follow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standards. From real-life experiences in developing and operating charging stations, even more essence of ISO standards have been adopted in Korean standards than UAE. In particular, ISO standards related to fire prevention are additionally included in Korea. This paper also suggests procedural and administrative strategies for enabling application of Korean hydrogen charging station-related standards in UAE.

A Study on Standards for Hospital Bed and Operating Table (의료용 침대 및 수술대의 기준규격 연구)

  • Park, S.G.;Moon, I.H.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 /
    • v.3 no.1
    • /
    • pp.35-40
    • /
    • 2009
  • Electrically operated hospital bed and operating table are useful devices to care patients and to keep postures of them in medical treatment. However they have the risk of physical injury due to various functions and mechanisms consisting of them. In this paper we propose particular requirements for the safety and test methods of electrically operated hospital beds and operating table classified into medical devices. Each items are developed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developing internationally harmonized standards for the approval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 PDF

A Case Study on Implementing Highway Approval/Permission System in Construction CALS (건설CALS에서 고속도로인허가 시스템 구현 사례)

  • 윤주용;김민홍;이영재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4 no.3
    • /
    • pp.43-62
    • /
    • 1999
  • This paper is to analyze business activities of approval/permission (A/P) and to describe its problems. To conduct the A/P business activities currently,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complex business process and different business policies among the each organiz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he A/P system of highway construction CALS (Commerce at Light Speed). CALS, a top down vision of complete computing integration, promises to support electronic data exchange. The A/P system is designed to classified documents based on CALS standard and store them to database. The data register to the A/P system by the Internet, and each construction company can use the A/P system by Internet also. Benefits of the A/P system is reduction in junk documents for approval/permission actives, improvement in conduct and services life cycle suppo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