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플루언서 특성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초

버추얼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패션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모방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Virtual Influencers' Characteristics on Purchase Intentions Toward Fashion Produc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imetic Desire)

  • 신하람;염미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4
    • /
    • 2024
  • Virtual influencers, who are emerging as new players in digital marketing, impact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They promote positive perceptions and mimetic consumption of specific brands or products through interactions with follow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through the consumers' mimetic desire. As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five factors were set: reality, attractiveness, professionalism, trustworthiness, and curiosity.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the 8th to the 15th of August 2023, and 268 data points in total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4.3.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ll positively affected mimetic desire and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Moreover, it was found that mimetic desire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iv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fluencers and the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Mimetic desire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ity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and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veness, professionalism, trustworthiness, and curiosity and the purchase intention for fashion products. These findings further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influencers and consumer behavior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irtual influencers, mimetic desire, and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s. Consequently, leveraging virtual influencers strategically in digital marketing, the fashion industry can amplify positive brand perceptions, drive consumer engagement, and ultimately foster increased purchase intent.

가상 인플루언서의 지각된 매력과 사회적 거리가 정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ived Attractiveness and Social Distance of Virtual influencer on Information Acceptance Intention)

  • 김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309-314
    • /
    • 2022
  • 본 연구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이 소비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매력과 사회적 거리를 독립변인으로하여 정보수용의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제 소비자들이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해 매력적이라고 느낄수록, 사회적 거리를 가깝게 지각할수록 정보수용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가상 인플루언서를 매력적이라고 지각하는 경우에는 사회적 거리에 따른 정보수용의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가상 인플루언서가 덜 매력적이라고 인식하더라도, 사회적 거리를 가깝게 인식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을 때보다 정보수용의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상 인플루언서의 마케팅 전략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인플루언서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Influencers'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Job Burnout)

  • 김현경;모혜란;정나리아;신용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27-36
    • /
    • 2023
  • 최근 인플루언서의 글로벌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인플루어서가 주목을 받게 되면서 인플루언서의 근로 특성과 근로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소진에 조절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 보았다. 인스타그램을 통해 활동을 하고 있는 인플루언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통계처리와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감정부조화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는 채택되었으며, 표면행동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외에 변수들과 직무소진간의 관계에 유의한 상호작용을 가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라이브커머스에서 가상실재감의 효과와 결정요인 연구: 라이브쇼핑 매체 및 인플루언서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and Determinants of Virtual Presence in Live Commerce: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Live Shopping Media and Influencers)

  • 최수정;김태경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1호
    • /
    • pp.23-51
    • /
    • 2023
  • Purpose: Live commerce is a new type of electronic commerce in combination with live streaming services. It is expected to increase virtual presence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by overcoming a lack of social interactions between sellers and buyers which have been raised as a limitation in electronic commerce. Drawing on the studies of communication media, this study examines how live commerce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virtual presence which consists of telepresence and social presence. Telepresence refers to a buyer's perception that he or she is present at the physical shopping mall during live shopping streaming whereas social presence refers to a buyer's perception of social interaction with a seller which is human warm, social, sensitive, and personal. In this study, we verify key determinants of virtual presence and its consequence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roposes virtual presence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buyers' trust in products and further purchase intentions. Furthermore, we verify influential factors of virtual presence from the technical and influencer perspectives of live commerce. Design/methodology/approach: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analysis is conducted with a total of 250 data collected on users with experience in the TaoBao live streaming shopping platform. Finding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elepresence and social presence are increased by visibility, media richness and attractiveness in the context of live shopping streaming. Second, buyers' trust in product trust and purchase intentions are positively influenced by telepresence and social presence. Finally, buyers' trust in product has a direct, positve effect on their purchase intentions. Overall, the findings offer new insights into the studies of electronic commerce by introducting the concepts of virtual presence and media richness from the literature of communication media in the field of live commerce.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과 소비자 태도의 관계: 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veness of virtual influencer and Consumer attitude: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Immersion)

  • 장성복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1호
    • /
    • pp.86-94
    • /
    • 2023
  • 최근, 가상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와 브랜드 홍보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특성 중, 매력성에 집중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을 살펴보고 매력성이 몰입을 매개할 때 브랜드 태도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설을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가상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마케팅 콘텐츠를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이 브랜드 태도와 광고 태도의 관계에서 몰입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이 브랜드 태도와 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몰입을 매개할 때도 소비자 태도를 긍정적으로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의 매력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학문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스타트업 관련 최근 국내 연구 동향: 연구 변수들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Recent Domestic Research Trend Over Startups: Focusing on the Social Network Analysis of Research Variables)

  • 길창민;양동우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2호
    • /
    • pp.81-97
    • /
    • 2022
  • 본 연구는 스타트업 관련 국내 등재 논문들에 활용된 변수들을 분석하여 스타트업 관련 최근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대상 논문은 스타트업을 제목에 포함한 국내 등재 논문으로서 스타트업이라는 용어를 제목에 포함한 2013년 첫 등재 논문부터 2020년까지의 논문 108편이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전체 변수들에 대하여 클러스터링 및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변수들 간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시각화툴은 Gephi를 활용하였다. 변수들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첫째, 독립변수는 주로 스타트업의 내부적 요인에 대한 것과 외부적 환경에 대한 변수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초기 기업의 특성, 조직의 혁신성 등 스타트업의 특성으로 인하여 주로 내부적 요인, 예컨대 기업내부역량, 마케팅4P전략, 기업가정신, 협력방법, 변혁적 리더십, 기업특성, 린스타트업전략, 사내커뮤니케이션, 가치지향성, 과업갈등, 관계갈등, 지식공유 등에 대한 분석이 비중을 더 많이 차지한다는 점이다. 둘째, 종속변수는 주로 성과에 관련한 것으로서 상위 개념으로 클러스터링 하면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즉 스타트업은 매출 등 재무적 성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어려운 상황이므로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성과, 예컨대 경영성과, 팀성과, SCM성과 등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점은 스타트업을 주제로 한 등재 논문수가 많지 않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특정한 연구주제보다는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접근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는 주제들도 등장하는데, 린스타트업전략, 크라우드펀딩, 인플루언서, 액셀러레이터 등은 시대상을 반영하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소셜네트워크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 방법을 활용한 스타트업 회사의 트위터 팔로워 네트워크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Twitter Follower-Networks of Startup Companies Employ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 류승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4호
    • /
    • pp.199-209
    • /
    • 2019
  • 기업의 소셜미디어 활용이 빠른 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성공적인 소셜미디어 활용전략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은 새로이 시장에 진입하여 신속하게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확대하고 미래고객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큰 스타트업 회사에게 더욱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타트업 회사의 소셜미디어 활용의 특징을 보여주는 지표를 탐색적으로 조사, 분석하는데 두고 있다. 주요 지표는 전반적인 소셜미디어 관련 활동을 보여주는 지표와 소셜미디어 서비스을 통해 형성된 소셜네트워크 구조의 특성과 관련 지표를 포함한다. 스타트업 회사의 이러한 지표를 좀 더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잘 갖춰진 기존 회사의 지표와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여러 소셜미디어 서비스 중 트위터를 선정하고, 트위터 REST API를 통해 측정지표와 관련된 데이터와 팔로워네트워크(follower-network)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 각 회사의 소셜네트워크 구조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소셜네트워크분석기법이 활용되었으며, 클러스터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스타트업 회사와 기존 회사의 측정지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측정지표에서 스타트업 회사와 기존 회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특징적인 분석결과의 하나로 스타트업 회사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인플루언서 (influencer)를 팔로워네트워크에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스타트업 회사를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네트워크 모듈성(modularity)과 추이성(transitivity)이 기존 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타트업 회사의 소셜네트워크 안에 기존 회사에 비해 내부결속력이 높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커뮤니티가 존재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스타트업 회사의 이러한 특징은 잠재고객 및 비즈니스 파트너와의 효과적인 정보교환을 촉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향후 일반적인 스타트업 회사의 소셜미디어 노력은 어떻게 인플루언서를 확보할 것인지, 또한 어떻게 내부결속력이 높은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것인지에 초점을 두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