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터넷 이용

검색결과 11,398건 처리시간 0.037초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형태와 이용동기 그리고 인터넷 중독 가능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ng Korean College Students' Internet Use Patterns and Motivations, and Exploring Vulnerability of Internet Dependency)

  • 송종길;최용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16권
    • /
    • pp.71-107
    • /
    • 2001
  • 미국에서 이루어진 인터넷 중독 현상에 대한 초기 연구는 인터넷 중독을 알코올중독과 같은 개인의 정신적 질병으로 간주하는 의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나 사회현상으로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사회과학자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밝히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 인터넷 이용과 초고속 인터넷 망 보급속도에서 세계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우리의 경우에도 인터넷 이용에 따른 많은 부정적인 현상들이 나타남으로써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일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이들 연구들은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인터넷 중독정도를 측정하는 차원에 머물고 있다. 즉,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분석하는 차원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10대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연령층의 인터넷 이용특성을 파악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00년에 발표된 한국전산원 통계수치에서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집단으로 조사된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1) 이들의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밝히고 (2) 이들 변인들과 인터넷 중독과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며 (3) 인터넷 중독의 정도와 중독요인을 조사하고 (4) 마지막으로 인터넷 이용이 다른 미디어 이용과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0년 5월 8일부터 19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서울시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시간에 설문지를 배포하고 응답자가 설문지에 답하는 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556명의 설문지 가운데 유효한 512명의 설문지가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1) 인터넷 이용패턴 (2) 인터넷 이용 동기 (3) 인터넷 의존도 (4)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 이용정도 (5) 인터넷 이용 이후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정도 (6)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통계 분석 후 나타난 몇 가지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이용동기와 인터넷 이용과의 상호관련성 이용동기를 요인 분석한 결과, 6개의 이용동기가 나타났는데 오락이 가장 주요한 동기였으며 다음으로 교육/정보, 현실도피, 외로움, 쇼핑, 그리고 성적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동기들을 인터넷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성을 통계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성적 만족이 6가지 요인 가운데 가장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이용동기 분석에서 두 번째 높게 나타난 교육/정보 역시 성적 만족 다음으로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이 10대들의 인터넷 이용형태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행하지 못한 이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인터넷 이용동기와 인터넷 서비스와의 상호관련성 '오락은 게임, 토론그룹, 전자메일, 채팅과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보는 검색과 쇼핑, 현실도피는 게임과 토론그룹, 외로움은 토론그룹, 전자메일과 채팅, 쇼핑은 온라인 쇼핑과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성적 만족과 관련해서 게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주로 이용하지만 성적 만족을 위해 전자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인터넷을 이용한 후 응답자들의 전통적인 미디어(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편지, 전화) 이용이 감소되었으며 친구, 가족, 이성친구와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역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같은 감소가 인터넷 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터넷 중독 정도와 중독 요인 10대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인터넷 중독 현상이 대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응답자의 28.5%가 중독집단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가진 잠재적인 인터넷 의존자(Moderate Internet Dependent)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이용동기 가운데 오락, 외로움과 현실도피가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이용시간 역시 주요변인으로 분석되었다. 흥미 있는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인터넷 중독과 밀접한 관련 있는 인터넷 서비스로 조사된 게임과 채팅이 주요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이용동기와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 조사 결과에서처럼 전자메일서비스는 인터넷 중독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인터넷 플로우와 인터넷 쇼핑의 추구 편익 및 지각 위험이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Internet Flow, Internet-Shopping Benefits Sought and Perceived Risk on the Purchase Behavior)

  • 김종훈;류진화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6년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53-282
    • /
    • 2006
  • 본 연구는 인터넷 플로우와 인터넷 쇼핑에 대한 추구편익 및 지각된 위험이 인터넷 구매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있다. 실증분석 결과 이들 세 선행변수는 현재의 인터넷 쇼핑 이용빈도와 향후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인터넷 플로우는 현재의 인터넷 쇼핑 이용빈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향후 이용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쇼핑에 대한 추구편익도 현재의 인터넷 쇼핑 이용빈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향후 이용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쇼핑에 대한 지각된 위험은 현재의 이용빈도에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향후 이용의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와 더불어 인터넷 쇼핑에 대한 현재의 이용빈도가 많을수록 향후 이용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성인 인터넷중독 및 스마트폰 이용 특성 (Adult Internet Addiction and Smartphone Use Characteristics)

  • 서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05-317
    • /
    • 2014
  • 본 연구는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특성 및 인터넷 이용 특성과 스마트폰 이용 특성을 파악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를 발굴하고, 교육, 예방 및 상담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0년도의 인터넷중독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 인터넷중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터넷이용 특성을 살펴보고, 인터넷중독자의 스마트폰 이용특성과 SNS 이용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39세 성인 중에 매일~최근 1주일 이내에 인터넷을 이용한 성인 4,787명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성별, 나이, 교육정도, 직업종류, 직업유무에서 인터넷중독자 집단과 일반사용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족 구성 및 생활 형태별 특성에서는 결혼과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이용특성에서 인터넷이용시간, 인터넷 최초 이용 시기, 인터넷 이용용도에서 중독자집단과 비중독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특성에서는 스마트폰 과다사용 인식,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인터넷 이용시간의 변화와 SNS 과다사용 인식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초등학생 아동들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경빈;이무식;나백주;홍지영;황지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205-1208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인터넷 사용에 대한 교육적 지도방안과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7월 1일에서 7월 24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동지역 4개교, 읍지역 2개교)를 무작위 추출하여 5, 6학년 학생 총 11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12.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대상자의 인터넷 중독 정도는 고위험군 55명(5.5%), 잠재적위험군 49명 (4.9%), 정상군 900명(89.6%)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 형제자매 유무, 학교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상자의 컴퓨터 사용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 정도는 최초 인터넷 이용 시기, 인터넷 이용용도, 하루 인터넷 사용 시간, 부모컴퓨터 사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넷째,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부적응인 경우는 '고위험군' 32명(58.2%), '잠재적위험군' 24명(50.0%), '정상군' 257명 (28.7%)으로 고위험군과 잠재적위험군이 정상군보다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다섯째,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학교생활 적응 정도, 성별,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 인터넷 이용용도, 인터넷 이용 상황, 어머니 직장 유무, 거주 지역, 부모 컴퓨터 사용여부, 최초 인터넷 이용시기이었다.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낮을 때, 남학생,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이 3시간 이상, 인터넷 이용 용도가 '게임', '스트레스가 쌓였을 때'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어머니 직장이 있는 경우, 거주 지역이 동지역, 부모님이 컴퓨터를 사용할 줄 모르는 경우, 최초 인터넷 이용 시기가 취학 전인 경우가 인터넷 중독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인터넷 중독 점수, 학교성적, 가정경제수준, 거주지역, 인터넷 이용용도, 학년이었다. 인터넷 중독 점수가 낮을수록,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가정경제수준이 잘 살수록, 거주지역이 동지역, 인터넷 이용용도가 '정보검색, 홈페이지관리/메신저', 5학년인 경우에 학교생활 적응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인터넷 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 수준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동들은 하루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생활 적응은 아동들이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인터넷사용률 증가와 최초 인터넷 이용 연령층이 점점 낮아지고 있음에 따라 인터넷 중독률이 자연스럽게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가 연계하여 아동들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며, 인터넷 중독경향이 높은 아동들이 학교생활 적응을 잘할 수 있도록 인터넷 중독 치료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인터넷 접근과 활용에서의 디지털 격차 (Digital Divide in Internet Access and Internet Usage in Korea)

  • 주용완;김유정;조찬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01-561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라 인터넷 접근, 인터넷 이용 정도 및 인터넷 서비스 이용 상의 디지털 격차가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인터넷이용자실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접근과 인터넷 이용(양적 이용 정도, 인터넷 서비스 이용)의 디지털 격차를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 접속(가정에서의 인터넷 접속, 초고속 인터넷 접속)과 인터넷 이용정도(적극적 이용, 정기적 이용, 비정기적 이용)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고용상태, 소득수준, 인터넷 접속 유형 등에 따라 디지털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서비스 이용(정보 활용, 커뮤니케이션 및 커뮤니티, 전자상거래, 인터넷 뱅킹)의 경우 고학력자 및 고소득층이며, 학생이고 젊은 연령층일수록 인터넷 서비스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서비스 활용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미디어 대체에 관한 연구: 전통적 미디어에 대한 인터넷 이용의 영향을 중심으로

  • 김진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4권
    • /
    • pp.37-67
    • /
    • 2004
  • 본 연구는 인터넷 이용수준이 전통적 미디어의 이용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수용지들의 미디어 소비 패턴에 대해 살펴보았다. 미디어 대체이론, 이용과 충족이론,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를 바탕으로 인터넷 이용이 전통적 미디어의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개인들의 정보와 오락 미디어 레퍼토리, 인터넷 레퍼토리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심리/태도적 변인과 인구통계학적 특징 등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18세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성별, 나이별, 지역별 층화표집방법을 이용해 표본을 추출하고 500개의 유효 서베이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데이터의 분석결과, 인터넷 이용정도가 다른 매체에 미치는 영향은 각 미디어별로 세 가지 다른 양상을-상호보완적 영향, 대체 치환의 영향, 그리고 영향을 받지 않음-보였으나 대체로 인터넷은 다른 미디어의 대체 미디어라기보다는 보완적인 매체로 현재 이용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 전반적인 미디어 이용시간 측면에서는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는 응답자일수록 오락과 정보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가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는 인터넷이 다른 미디어와 상호 보완하는 양상, 피들러(Fidler)의 미디어 변형이론 가운데 공존 공진화 현상을 보여주었다. 응답자들은 평균 2.01개와 2.25개의 오락과 정보 미디어 레퍼토리를 가졌으며 텔레비전, 신문, 인터넷을 두 미디어 레퍼토리의 3대 주요 미디어로 꼽았다. 또한 인터넷 레퍼토리와 사회적, 태도적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는 최근의 이용 충족이론과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에서 나타났던 결과들과 일치해 사회적, 심리 태도적 요인들이(친밀도, 접근성, 유용성, 여가시간) 미디어 레퍼토리의 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 PDF

소비자 특성이 무선인터넷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윤서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81-188
    • /
    • 2003
  • 2000년 말 현재 이동전화기가입자 중 약 $91\%$가 무선 인터넷 가능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말기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률은 매우 저조란 실적이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의 하나로서 본 연구는 소비자 특성인 무선인터넷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무선인터넷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설변수는 무엇인가? 2) 무선인터넷 단말보유자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어떻게 유형화되는가? 3) 무선인터넷 단말 보유자의 유형별 특성은 무엇이며 무선인터넷 인용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이 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무선인터넷 단말기 보유자 1500면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방식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통계학적인 변수 중에서는 연령과 직업, 결혼여부, 학생, 개인용돈 등인 무선인터넷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해 볼 때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징은 학생 중심의 젊은층이었다. 한편 성별이나 가족의 월수입은 무선인터넷 이용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무선인터넷 가능 단말 보유자 집단을 세분화해 본 결과 선구자형, 실용성추구형, 보수추구형, 자기과시형 둥 네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집단 간에 무선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 PDF

H.323 기반의 녹음장비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cording System Based on H.323)

  • 정정용;방혜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3)
    • /
    • pp.34-36
    • /
    • 2004
  • 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전달 기술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음성전달 기술을 이용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해 인터넷 전화라 부른다. 인터넷 전화는 비싼 전화요금 대신 인터넷 사용료나 매우 저렴한 요금으로 음성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저렴한 요금이라는 큰 장점으로 인해 콜센터나 일반고객들이 인터넷전화를 이용할 가능성이 커지게 되었고 시장의 변화에 따라 녹음장비도 인터넷 상의 음성을 녹음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의 음성전달 기술인 VoIP Protocol H.323 을 지원하는 단말간의 통화를 녹음할 수 있도록 녹음 장비의 핵심인 IP Packet을 Capture 하여 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모듈을 구현 하였다.인터넷의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전달 기술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음성전달 기술을 이용해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해 인터넷 전화라 부른다. 인터넷 전화는 비싼 전화요금 대신 인터넷 사용료나 매우 저렴한 요금으로 음성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저렴한 요금이라는 큰 장점으로 인해 콜센터나 일반고객들이 인터넷전화를 이용할 가능성이 커지게 되었고 시장의 변화에 따라 녹음장비도 인터넷 상의 음성을 녹음 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의 음성전달 기술인 VoIP Protocol H.323 을 지원하는 단말간의 통화를 녹음할 수 있도록 녹음 장비의 핵심인 IP Packet을 Capture 하여 음성데이터를 추출하는 모듈을 구현 하였다.

  • PDF

리눅스 기반의 인터넷 공유기 개발 (Development of Linux-Based Internet Sharer)

  • 장성균;고정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7-9
    • /
    • 2002
  •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각종 전자제품과 통신 장비의 보급이 가속화되면서 현재의 인터넷 주소체계로는 적절한 대응이 어려워졌고, 이러한 상황에서 IETF 가 인터넷 공유 기술을 공인하였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의 교체 주기도 점점 짧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이용하여 다수의 단말 사용자들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공유기를 개발하였다. 자원의 재활용을 위해 교체 후 방치되는 구형PC 의 보드를 이용하여 개발된 인터넷 공유기는 개인이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활용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한, 개발된 인터넷 공유기와 함께 사용자들이 손쉽게 인터넷 공유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공유기 유틸리티와 인터넷 공유기 소프트웨어도 함께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Internet Banking A Comparison of Theoretical Models

  • 옥석재;손지현
    • 통상정보연구
    • /
    • 제9권3호
    • /
    • pp.81-103
    • /
    • 2007
  • 인터넷의 확산과 함께 금융 산업에서 인터넷뱅킹의 등장은 은행 산업 전반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터넷뱅킹은 더 이상 단순한 정보시스템이 아닌 은행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국내 인터넷뱅킹 사용자의 증가로 인해 은행에서는 기존 인터넷뱅킹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인터넷뱅킹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전략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시스템 연구 분야에서 기술 수용에 대한 많은 연구들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던 계획적 행동 이론(TPB)과 기술 수용 모델(TAM)을 인터넷뱅킹 이용의도 분석에 적용시켜 인터넷뱅킹 이용 행위를 실증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인터넷뱅킹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TPB 모형과 TAM 모형을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인터넷뱅킹 이용의도에 관한 이론적 기초를 제시하고, 인터넷 환경에서 은행의 적극적인 인터넷뱅킹 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