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터넷 쇼핑동기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Effect of Customer's Emotion Experienced during Internet Shopping On Shopping Behavior According to Internet Shopping Motivation (인터넷 쇼핑동기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특성과 고객감정 및 행동과의 관계)

  • Kim, Sang Hee;Kim, Kyung Ae;Park, Man Suk;Yang, Ji Hoo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0 no.1
    • /
    • pp.1-37
    • /
    • 2011
  • Prior researches on Internet shopping have focused on cognitive, technological factors, but this research is focused on emotions experienced during internet shopping. Examines emotion types experienced during internet shopping and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emotional response and effect of emotions on internet shopping behavior, specifically focusing on shopping motivation difference. The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323 internet shoppers, indicate that emotion types experienced during internet shopping and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emotional response and emotional response influencing internet shopping behavior are difference among shopping motivation. Theses results provide insights on internet shopping mall management according to shopping motivation.

  • PDF

The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Motivation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Consumers in Beijing (인터넷쇼핑동기가 정보탐색의도,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북경소비자를 중심으로)

  • Zhao, Na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6 no.1
    • /
    • pp.221-23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ternet shopping motivations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o achieve this goal,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in parall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es of internet shopping of Chinese consumers were found to be in four dimensions, "seeking convenience," "seeking low-cost," "seeking variety" and "seeking pleasures", in order of large proportions, respectively. Second, Among these four internet shopping motivations "seeking convenience,""seeking variety" and "seeking pleasures" were found to have direct,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But "seeking low-cost" has no positive effects on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Third,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was found to have direc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urth, Customer satisfaction has an direct an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Internet Shopping in Japan: Shopping motivation, Perceived Risks, and Innovativeness (일본의 인터넷 쇼핑 실태에 관한 연구: 쇼핑동기, 지각위험, 혁신성을 중심으로)

  • Park, Cheol;Kang, You Ri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
    • v.2 no.1
    • /
    • pp.91-114
    • /
    • 2011
  • The market size of e-Commerce in Japan was 15 trillion Yen in 2006, and B2C Internet shopping sales were over 6.57 trillion in 2009. Lakuten is a representative Internet shopping company whose market share is 45%. Lakuten has over 70,000 online stores and Japanese shoppers trust them based on the fair competition rule and pre-control system on e-commerce. Japanese consumers accept new technology rapidly and highly use Internet and mobile channel. This research analyse online shopping behaviors of Japan, a big e-commerce market. Internet shopping inten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by Internet shopping motivations, perceived risks, shopping innovativeness were analyz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64 Japanese consumer was performed and ANOVA,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have done by SPSS 12.0. As the results, Internet shopping intentions were higher in groups of olders, higher innovativeness. House wives' satisfaction of Internet shopping is highest. High innovativeness group showed higher internet shopping motivation of economics, connivence, hedonic, and social. Student, women, and low income group perceives high risks to Internet shopping.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 PDF

오픈마켓의 이용만족도의 선행요인과 결과;쇼핑동기, 이용빈도, 구전, 재구매 의도를 중심으로

  • Yu, Jae-Hyeon;Park, Cheol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559-564
    • /
    • 2007
  • 최근 온라인 소매업을 선도하고 있는 업태는 오픈 마켓이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을 바탕으로 오픈 마켓 사이트에서의 쇼핑동기, 만족도, 이용빈도, 재이용의도, 구전간의 인과모델을 제시하고 실증하였다. 그 결과, 쇼핑동기는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만족도는 이용 빈도, 재이용의도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오픈 마켓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토의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마지막에 제시하였다.

  • PDF

Purchasing Behavior Analysis on Internet Shopping Mall of Iranian Young Adults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이란 젊은 성인층의 구매 행태 분석)

  • Sahraeidolatkhaneh, Atieh;Han, Kwan 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6
    • /
    • pp.73-81
    • /
    • 2016
  • The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allows customers to search for information and purchase products and services via direct contact with internet markets. Purchasing through the internet is not a real experience of purchasing, but is based on some pictures,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of products. To improve E-commerce environment in Iran, purchasing behavior of Iranian young adult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is analyzed in this stud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motivation of internet shopping and the selec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 is investigated, and statistical tests were applied between these factors and other variables such as gender, job, age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tests showed that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on one of the shopping mall selection factor (i.e., abundant information about products); also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on the one of the shopping motivation factor (i.e., possibility of comparing products). Besides, there is a job difference (student or non-student) on the factor of 'Purchase frequency per month'. Other facts are also found that Iranian consumers are not sure about a product's quality, so they refuse to buy products such as foods, clothes and other products. Additionally, they are dissatisfied about the safety of internet shopping malls.

Purchase Motives,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Decision Making Styles of Online Clothing Shoppers (온라인 의류 소비자들의 쇼핑동기, 정보원 사용과 의사결정 유형)

  • Lee, Jung-Eun;Lee, Kyu-H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6
    • /
    • pp.880-892
    • /
    • 2009
  • An overflow of information leads consumers to be easily distracted and to neglect the information being provided to them. E-tailers have to select types of information sources and provide their consumers with the most appropriate information. This study was done to specifically contribute to the research in proposing strategies of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Internet merchant to the e-shoppers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the online purchase motives of consumers, the use of information sources, and decision making styles. This research categorizes the use of information sources into information sources concerning online stores and information sources concerning products. The uses of information sources relative to online stores are classified into the neutral, human, and marketer-oriented sources. The uses of information sources concerning the products are classified into the online and offline source.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suggestions for e-tailer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stores as well as products to the consumers with adaptable strategies.

A Study on Information Search and Impulse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Internet Clothing Shopping Motives (인터넷 의류 쇼핑동기에 따른 정보탐색과 충동구매행동 연구)

  • 임현정;홍금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8
    • /
    • pp.1065-107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sumers' internet clothing shopping motives and its relation with information search and impulse buying behavior. Also, this study examines how these variables affect internet shopping satisfaction. An on-line survey was made to collect data, and the replies from 940 people, who had an experience of apparel shopping on line,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As the results of factor, internet shopping motives comprised 4 factors: pleasure shopping motive, economy shopping motive, and information search shopping motive. 2. Consumers usually visited 3 different sites to shop clothing and they spent about 15-30 minutes at the malls. 3. Pleasure shopping motive and ongoing information search influenced on impulse buying behaviors. 4. Ongoing information search, economy shopping motive and impulse shopping behavior g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internet shopping satisfaction. 5.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in terms of internet shopping motives: convenience group, economy pursuing group, and pleasure pursuing group.

Investigating Korean College Students' Internet Use Patterns and Motivations, and Exploring Vulnerability of Internet Dependency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형태와 이용동기 그리고 인터넷 중독 가능성에 관한 연구)

  • Song, Jong-Gil;Choi, Yong-Ju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16
    • /
    • pp.71-107
    • /
    • 2001
  • 미국에서 이루어진 인터넷 중독 현상에 대한 초기 연구는 인터넷 중독을 알코올중독과 같은 개인의 정신적 질병으로 간주하는 의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나 사회현상으로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사회과학자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밝히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 인터넷 이용과 초고속 인터넷 망 보급속도에서 세계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우리의 경우에도 인터넷 이용에 따른 많은 부정적인 현상들이 나타남으로써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일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이들 연구들은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인터넷 중독정도를 측정하는 차원에 머물고 있다. 즉,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분석하는 차원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10대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연령층의 인터넷 이용특성을 파악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00년에 발표된 한국전산원 통계수치에서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집단으로 조사된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1) 이들의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밝히고 (2) 이들 변인들과 인터넷 중독과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며 (3) 인터넷 중독의 정도와 중독요인을 조사하고 (4) 마지막으로 인터넷 이용이 다른 미디어 이용과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0년 5월 8일부터 19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서울시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시간에 설문지를 배포하고 응답자가 설문지에 답하는 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556명의 설문지 가운데 유효한 512명의 설문지가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1) 인터넷 이용패턴 (2) 인터넷 이용 동기 (3) 인터넷 의존도 (4)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 이용정도 (5) 인터넷 이용 이후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정도 (6)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통계 분석 후 나타난 몇 가지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이용동기와 인터넷 이용과의 상호관련성 이용동기를 요인 분석한 결과, 6개의 이용동기가 나타났는데 오락이 가장 주요한 동기였으며 다음으로 교육/정보, 현실도피, 외로움, 쇼핑, 그리고 성적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동기들을 인터넷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성을 통계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성적 만족이 6가지 요인 가운데 가장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이용동기 분석에서 두 번째 높게 나타난 교육/정보 역시 성적 만족 다음으로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이 10대들의 인터넷 이용형태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행하지 못한 이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인터넷 이용동기와 인터넷 서비스와의 상호관련성 '오락은 게임, 토론그룹, 전자메일, 채팅과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보는 검색과 쇼핑, 현실도피는 게임과 토론그룹, 외로움은 토론그룹, 전자메일과 채팅, 쇼핑은 온라인 쇼핑과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성적 만족과 관련해서 게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주로 이용하지만 성적 만족을 위해 전자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인터넷을 이용한 후 응답자들의 전통적인 미디어(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편지, 전화) 이용이 감소되었으며 친구, 가족, 이성친구와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역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같은 감소가 인터넷 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터넷 중독 정도와 중독 요인 10대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인터넷 중독 현상이 대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응답자의 28.5%가 중독집단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가진 잠재적인 인터넷 의존자(Moderate Internet Dependent)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이용동기 가운데 오락, 외로움과 현실도피가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이용시간 역시 주요변인으로 분석되었다. 흥미 있는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인터넷 중독과 밀접한 관련 있는 인터넷 서비스로 조사된 게임과 채팅이 주요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이용동기와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 조사 결과에서처럼 전자메일서비스는 인터넷 중독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의류상품의 인터넷 쇼핑에 관한 연구

  • Go, Eun-Ju;Hwang, Seung-Hui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203-234
    • /
    • 1998
  • 본 연구 목적은 인터넷 쇼핑의 현황(구매품목, 횟수, 동기, 결제 방식, 가격, 카달로그 이용여부)을 조사하고, 인터넷 쇼핑의 구매자와 비구매자의 특성(인터넷 사용 관련 사항,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비교하며,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을 조사하여,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과 구매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법으로서 편의 추출된 인터넷을 사용하는 소비자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빈도, 평균, 표준편차)와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매 경험자가 가장 많이 구입한 품목이 남성상의 단품과 넥타이와 스카프의 구매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사용 관련 상황으로 구매자는 인터넷 사용에 대해 전반적으로 비구매자 보다 훨씬 더 편리하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매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남성이고, 학력이 높으며, 전문직종으로, 한달 구매 지출비가 11${\sim}$20만원이고 한달 총수입이 높은 사람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쇼핑시 소비자의 만족/불만족 요인으로 주문처리 정확성, 인터넷 사용 용이성, 구매편의성/신뢰성, 상품의 다양성/합리성, 주문 방법의 편의성/경제성, 선호성, 상품의 혜택추구성의 7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넷째, 소비자 만족/불만족 요인 중에서 주문처리 정확성 요인과 상품의 혜택추구성 요인이 구매 의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A Study on Customer Segmentation of Mobile Internet (무선인터넷 서비스 고객의 세분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 Hedonic과 Utilitarian 동기를 중심으로)

  • 오인영;박철;정수연;이연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2.11a
    • /
    • pp.373-387
    • /
    • 2002
  •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본 연구자는 사용자들이 휴대폰을 이용해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때 어떠한 동기를 가지고 사용을 하는지에 대해 실증연구를 하였다. 설문조사는 무선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무선인터넷의 접속 시작 단계부터 과금이 되므로 접속을 위해 버튼을 누르는 행위 자체를 서비스의 소비(consumption)로 정의하였다. 사용동기는 내생적이며 즐거움을 추구하는 hedonic한 측면과 어떠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한 실용적인 utilitarian한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종전의 소비에 대한 hedonic/utilitarian 측면에 대한 연구는 유선인터넷 이용과 소비자 쇼핑행동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이들 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무선인터넷 서비스 사용동기에 대한 모형을 추출하였다. 두 가지 동기요인에 의해 무선인터넷 고객집단을 네집단으로 세분화하여 이들의 휴대폰 보유실태, 무선인터넷 사용실태, 속성 중요도 평가 및 만족도, 인구통계적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하는 연구자들과 서비스 제공업체에 무선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들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