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터넷전자투표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Mobile Voting Scheme Providing Voting Fairness Assured by Candidates (후보자들에 의한 선거의 공정성을 제공하는 모바일 투표 기법)

  • Yun, Sung-H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2
    • /
    • pp.161-169
    • /
    • 2012
  • It requires a lot of costs and manpower to manage the election system. The electronic voting scheme is needed to make the election system to be economic and fair. Especially, wide spread use of smart phones and wireless networks makes the mobile voting is of major concern. In mobile voting scheme, a smart phone user can vote regardless of the places. In this paper, the mobile voting scheme is proposed where candidates can guarantee fairness of the election system. We analyze mobile voting requirements and create the mobile ID which has legal binding forces and PKI based digital signature keys. In the proposed scheme, a voter's ballot is signed by all candidates using undeniable multi-signature scheme. During the counting stage, the multi-signature on the ballot is not verified without help of all candidates.

Review of the principle of election - Focusing on the Estonia e-voting case (선거의 원칙에 대한 재고찰 - 에스토니아 전자투표 사례를 중심으로)

  • Moon, Eun-Young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9 no.4
    • /
    • pp.67-90
    • /
    • 2022
  • The March 2022 presidential election held at the peak of the COVID-19 pandemic drew flak for undermining the principle of universal suffrage by failing to guarantee properly the voting rights of confirmed and quarantined persons. Guaranteeing their voting rights requires thinking about e-voting that can fundamentally overcome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of current paper voting polling stations. The question is how to deal with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contradicting or violating the principles of equality and direct and secret suffrage due to the expansion of universal suffrage.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is, we looked at the case of Estonia, which has been holding 11 national elections without any problems since the introduction of e-voting in 2005. Estonia was successfully building trust in the system, government, and society through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routinization of the overall socio-technical system of e-voting, along with political and constitutional agreements on the principles of elections. Therefore, we should not only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voting in term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level but als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trust by mediating conflicts between election principles from a normative point of view to reach a social consensus.

Campus e-Voting System on campus based on Block Chain Security Technology (블록체인기술 기반 캠퍼스 e-투표 시스템)

  • Yang, JunHo;Jin, MinGoo;Lee, KyungHee;Cho,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8.08a
    • /
    • pp.67-70
    • /
    • 2018
  • 블록체인 기술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나갈 핵심기술로 거론되고 있으며 높은 보안성을 장점으로 가상화폐,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캠퍼스 내에서 진행되는 투표를 위한 전자투표시스템을 제작하고,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하였다. 기존의 분산원장네트워크를 활용하는 방식과 달리, 소규모 투표에 적합하도록 개인 간의 가상화폐 거래과정을 활용한 투표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블록체인기술기반 전자투표시스템의 단점인 초기 서버구축비용의 소요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The Technology and Trend of Anonymous Authentication (익명 인증 기술과 동향)

  • Lee, Yun-Gyeong;Han, Seung-Wan;Lee, Seok-Jun;Jeong, Byeong-Ho;Yang, Dae-Heon;Gwon, Tae-Gyeon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4
    • /
    • pp.19-29
    • /
    • 2008
  • 인터넷 이용이 활성화 되면서 각종 웹 서버에서의 개인정보 과다 수집 및 노출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인터넷이 우리 생활에 주는 편리함을 그대로 누리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익명 인증 기술이 있을 수 있다. 익명 인증은 익명성을 제공하는 디지털 서명을 이용한 인증 방법이다. 익명성을 제공하는 디지털 서명 방법은 전자화폐와 전자투표 시스템 등의 응용을 위해서 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인터넷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익명 인증 방법의 하나로써 연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익명성을 제공하는 전자서명 방법에 관하여 소개하고, 이들 전자서명 방법 중 익명 인증을 위해서 가장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그룹 서명 방법의 최근 연구동향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익명성 및 익명성 제어 모델 분석

  • 박해룡;김지연;천동현;전길수;이재일
    • Review of KIISC
    • /
    • v.14 no.6
    • /
    • pp.14-27
    • /
    • 2004
  •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유비쿼터스 컴퓨팅 능력이 발전됨에 따라 이러한 정보 인프라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핵심 기술로서 익명성 기술이 사용하고 있으며, 익명성 기술의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해서 익명성 제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국외에서는 이미 익명성 및 익명성 제어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ㆍ적용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전자투표 시스템 이외의 분야에서는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외 익명성 및 익명성 제어 모델인 익명 이메일 시스템, 익명 출판 시스템, 전자투표 시스템 및 익명 브라우징 시스템을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각 시스템별로 시스템 구성객체, 익명성 제공과 관련 없는 요구사항, 익명성 제공 서비스의 요구사항, 익명성 제어 서비스를 위한 요구사항을 기술하여 국내 익명성 및 익명성 제어 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 Fast and Secure Method to Preserve Anonymity in Electronic Voting (전자투표에서 익명성 보장을 위한 빠르고 안전한 방식)

  • Yang, Hyung-Kyu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4 no.1
    • /
    • pp.245-251
    • /
    • 2014
  • Mix network plays a key role in electronic voting to preserve anonymity and lots of mixnet schemes have been proposed so far. However, they requires complex and costly zero-knowledge proofs to provide their correct mixing operations. In 2010, Seb$\acute{e}$ et al. proposed an efficient and lightweight mixnet scheme based on a cryptographic secure hash function instead of zero-knowledge proofs. In this paper, we present a more efficient and faster mixnet scheme than Seb$\acute{e}$ et al.'s scheme under the same assumption. Also, our scheme is secure.

Anonymous Authentication Framework using Croup Signature (그룹서명을 이용한 익명 인증 구조)

  • Lee, Yun-Kyung;Chung, Byung-Ho;Kim, Jeong-Ny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699-702
    • /
    • 2008
  • 인터넷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각종 웹 서버에서의 개인정보 과다 수집 및 노출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인터넷이 우리 생활에 주는 편리함을 그대로 누리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익명인증 기술이 있을 수 있다. 익명인증은 익명성을 제공하는 디지털서명을 이용한 인증 방법이다. 익명성을 제공하는 디지털서명 방법은 전자화폐와 전자투표 시스템 등의 응용을 위해서 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인터넷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익명인증 방법의 하나로써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익명성을 제공하는 전자서명 방법 중 그룹서명 방식에 관하여 소개하고, 그룹서명을 이용한 익명인증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Digital Politics of Korea and the Realization Condition and Issues of the e-Party (한국의 디지털정치와 전자정당의 실현 조건과 과제)

  • Noh, Kyoo-Sung;Park, Young-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 no.1
    • /
    • pp.9-2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olitical discussion and the success conditions on the digital democracy and issues for introducing e-party of Korean parties, and to propose alternatives for solving these issu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 actual conditions of the digital politics, analyze on results of e-party driving of Korean parties, review issues for introducing e-party of Korean parties, and propose alternatives for solving these issues. Proposed conditions on digital politics and e-party development will contribute to the prosperity of the Korean politics. In near future, an empirical study on the standpoints of voters politicians will be follow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