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체 성장량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Changes of Body Measurements in Teenage Boys: Focused on ages 13 to 18 (13-18세 남학생의 인체치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 Hyun, Eun-Kyong;Nam, Yun-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9 no.6
    • /
    • pp.58-7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crements of body measurements of the teenage boy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8 and provide a fundamental data for apparel manufacturers in order for them to make clothing that reflect the appropriate body characteristics of the teenage boys. The total of 1587 male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8, from the 5th Anthropometric survey of Korea (Size Korea) data,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changes in the body dimensions were analyzed with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anthropometric index mesurements. First, anthropometric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height related measurement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age, and that the boys between the ages of 13 and 15 experience dramatic growth. Standard deviation is the largest between the age of thirteen and fourteen which indicates that in these ages there is a wide difference in a growth rate Second, anthropometric index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in accordance with age, bust, waist and hip depth/width rate decreased; however, waist and hip depth/width rate increased at the age of 18. In accordance with age, upper body length rate increased, whereas lower body length rate decreased. Bust circumference, armhole length, and upperarm circumference rate increased gradually, whereas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Cannabinoids of Cannabis Against Human Skin Melanoma Cells (마자인의 카나비노이드가 인체피부흑색종세포에 미치는 억제효과)

  • Lee Ki-Nam;Kim Meung-Shin;Back Seung-Hwa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 /
    • v.2 no.1
    • /
    • pp.13-30
    • /
    • 1998
  • Geraniol (1), olivetol (2), cannabinoids (3 and 4) and 5-fluorou.a.il (5). were tested for their grow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SK-MEL-3 cell lines using two different 3-(4,5-dimethylthiazol- 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sulforhodamine B protein (SRB) assay. These compounds showed inhibitory activity in vitro in the micromolar range against SK-MEL-3 cell lines. In general, the antitumor activity of these compounds (1, 2, 3, 4 and 5) was in a dose-dependent over the micromolar concentration range $1\;to\;100{\mu}M$. The comparison of $IC_{50}$ values of these compounds in tumor cell lines shows that their susceptibility to these compounds decrease in the following order : OLVTL > CBG > CBD > 5-FU > CRNL in MTT assay, CBG > OLVTL > CBD > GRNL > 5-FU in SRB assay. Cannabinoids (3 and 4) and 5-fluorouracil (5) were tested for their cytotoxic effects on NIH 373 fibroblasts using two different MTT assay and SRB assay. These compounds exhibited potent cytotoxic activities in vitro in the micromolar range against NIH 373 fibroblasts. In general, the cytotoxic activities of these compounds (3, 4 and 5) were in a dose-dependent over the micromolar concentration range $1\;to\;100{\mu}M$. The comparison of $CD_{50}$ values of these compounds on NIH 373 fibroblasts shows that their susceptibility to these compounds decrease on the following order ; CBD > 5-FU > CBG in MTT assay and SRB assay. Cannabigerol (3) was shown the least cytotoxic activity on NIH 373 fibroblasts. Cannabigerol (3) exhibited the most growth-inhibitory activity against SK-MEL-3 cell lines.

  • PDF

Risk Assessment of Iron dichloride in OECD High Production Volume Chemicals Program (염화제일철에 대한 인체 및 생태 위해성평가)

  • Bae Hee Kyung;Kim Mi Kyoung;Ahn Kyung Sook;Choi Yeon Ki;Koo Hyun Ju;Kim Hyun Mi;Na Jin Gyun;Choi Kwang Soo;Kim Myung Ji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4 s.51
    • /
    • pp.375-383
    • /
    • 2005
  • 염화제일철은 2004년 OECD SIDS 프로그램으로 한국에서 위해성평가가 수행된 대량생산 화학물질로 1998년 화학물질 유통량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연간 100,000톤이 생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염화제일철의 인체 및 환경적 영향에 대한 독성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OECD테스트가이드라인에 따라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인체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급성경구독성시험과 급성경피독성시험에서 랫드의 반수치사량은 각각 300$\sim$2,000 mg/kg b.w.과 >2,000mg/kg b.w.이었다. 반복독성시험의 무유해용량 (NOAEL)은 수컷 랫드는 125mg/kg b.w./day, 암컷 랫드는 250mg/kg b.w./day였고, 생식 및 발생독성시험에서 무유해용량은 암수 랫드 모두 500mg/kg b.w./day로 관찰되었다. 약한 피부자극성을 보였으며, 안부식성 물질임이 관찰되었다. S. typhimurium과 E. coli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에서 최고 농도인 5,000$\mu$g/plate에서 유전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마우스를 이용한 생체내 (in vivo)소핵시험에서도 최고 농도인 50mg/kg bw/day에서 소핵유발빈도의 증가를 보이지 않아 본 시험물질은 돌연변이 유발 물질이 아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어류(Oryzis latipes), 물벼룩 (Daphnia magna), 조류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를 이용한 수생생물에 대한 급성독성시험 결과, 96시간 Oryzias latires의 반수치사농도는 46.6 mg/L이었고, 48시간 Daphnia magna의 반수영향농도는 19.0 mg/L이었다. 또한 Pseudokirchneriella subcapitata의 72시간 반수영향농도는 성장률을 이용한 계산법으로 6.9mg/L이었으며, 면적계산법으로는 3.8mg/L의 성장저해가 관찰되었다. 어류와 조류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pH의 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어류시험에서 pH중성시험용액에서는 100mg/L이상의 독성값을 나타내었고, 조류에서는 농도 12mg/L이상에서 pH 7아래로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화제일철은 생산 및 사용공정에서 작업자에게 흡입 혹은 피부로 노출될 가능성이 있으나 밀폐공간에서 사용되므로 노출이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3종의 수생생물의 독성결과로부터 염화제일철은 수생환경에서 중간정도의 해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직접적인 염화제일철의 소비자 노출은 없으나 환경중 노출이 우려됨에 따라 제19차 OECD대량생산화학물질 초기위해성평가회의에서 환경 분야에 대해서는 추가연구 후보물질로 권고되었고, 인체 분야에서는 인체에 대한 유해성과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추가연구 우선순위가 낮은 물질로 권고되었다.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Cs Using GIS (GIS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특성)

  • 정장표;이승훈;이승묵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62-64
    • /
    • 2000
  •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한 국민복지의 향상과 생활공간의 확대 등으로 인한 인간활동에서 발생된 인위적 화학물질은 여러 형태로 대기로 배출되고, 또한 여러 가지 화학반응을 일으켜 환경오염의 유발 및 악화를 초래한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보급의 급증으로 인한 유류 및 유기용제의 사용 확대로 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대기오염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VOCs는 오존전구물질 뿐만 아니라, 인체 위해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중략)

  • PD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s Increase in Rabbit Embryonal Implantation (배아착상에 대한 Epidermal Growth Factor 수용체의 동태)

  • Lee, Yu-Il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18 no.2
    • /
    • pp.181-187
    • /
    • 1991
  • Epidermal growth facter(EGF)는 내열성이 강하고 분자량이 6045 dalton인 단쇄상의 polypeptide로써, Cohen에 의해 생쥐의 악하선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 여러학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 인체의 EGF는 urogastrone이라고도 불리우며, 인체의 소변에서 처음 검출되었고 분자구조 및 생리작용이 생쥐의 EGF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EGF의 자세한 작용기전은 확실히 규명되어있지는 않지만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시키며 위산의 분비를 억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EGF receptor는 분자량이 170,000${\sim}$180,000dalton인 세포표면의 polypeptide로써 인체, 쥐, 닭, 소 등의 세포막조직에 특이하게 결합되어 있다. 최근 수년동안 몇몇 학자들에 의해 EGF가 배아와 태아 및 태반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chorionic gonadotrophin과 placental lactogen의 분비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가정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배아착상에 대한 EGF의 작용여부에 관해서는 발표된 문헌이 없어 저자는 radioreceptor assay를 이용하여 EGF receptor binding과 토끼의 배아착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임신경과에 따른 착상부위와 비착상부위의 자궁 및 태아측 태반과 모체측 태반을 분리취득하고 receptor binding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임신군과 비임신군의 자궁조직의 membrane fraction으로부터 specific한 EGF receptor binding이 관찰되었다. 2. 착상전 임신 3일에 자궁조직의 EGF receptor수는 4.72 +0.16($10\;mol/{\mu}g$)로 비임신시보다 의의있게 증가되어 있었고(p<0.01), 착상시기인 임신 7일에는 착상된 부위에서 20.33+6.58로 훨씬 더 높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p<0.05). 3. 착상이후 가장 먼저 취득된 임신 14일의 태아측 태반은 모체측 태반의 1.39+0.49에 비해 훨씬 높은 11.94+1.97의 EGF receptor 측정치를 보였다 (p<0.01). 4. 이상의 소견들로 보아 EGF가 토끼의 배아착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러한 착상전후의 EGF의 작용은 태아측으로부터 일 것으로 예상된다.

  • PDF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XVII. Development and Egg Laying Capacity of Echinostoma hortense in Albino Rats ans Human Experimental Infection (한국의 장흡충에 관한 연구 XVII. 호르텐스극구흡충의 흰쥐내 발육, 충란산출양상 및 인체실험감염)

  • 서병설;전광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23 no.1
    • /
    • pp.24-32
    • /
    • 1985
  • The worm development and egg laying pattern of Echinostoma hortense (Trematoda; Echinosto-matidae) were studied in albino rats and the brief clinical course was observed in human volunteers. A total of 21 rats were infected with 20~69 metacercariae each and two humans were with 7 and 27 metacercariae,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loaches. For recovery of worms, the rats were sacrificed at irregular intervals from the 6th to 150th day after infection and the human volunteers were treated with praziquantel and purged with magnesium salt on the 26~27th day. The stools of the rats and humans were examined for the egg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worm recovery rate from the rats was not affected by the increase of infection time but varied individually; 9.1~50.0% (31.1 % in average). From humans, 14.3% and 37.0% (32.4% in average) of challenged were recovered. 2. In the rats, it was revealed that the worms rapidly grew for the first 14 days to become 7.59mm in average length and 1.17mm in average width but the growth became much slower thereafter until the 150th day; 7.95mm in length on the 21 th day, 9.04mm on the 28th day, 10.21mm on the 49th day and 12. 62mm on the 150th day. During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the growth of genital organs (male or female) was expressed as sigmoid curves whereas non-genital organs (such as suckers) was simply as straight lines. 3. The prepatent period of this fluke was 10~12 days in the rats and 16~17 days in men. After the start of oviposition, the egg production by the worms remarkably increased, reached maximum on the 32~33th day, followed by decrease thereafter. The maximum value of E.P.G./worm was 390. 4. The major subjective symptoms in human volunteers were abdominal pain and diarrhea during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The results show that human is as susceptible as the rats to E. hortense infection and the amount of egg production in the rats is greatly affected by the age of worms.

  • PDF

RF 스퍼터링법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Li[Li0.2Mn0.54Co0.13Ni0.13]O2 양극박막의 제조 및 전기적 특성

  • Im, Hae-Na;Gong, U-Yeon;Yun, Seok-Jin;Choe,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413-413
    • /
    • 2011
  • 최근 전기, 전자, 반도체 산업의 발전으로 전 고상 박막리튬전지는 초소형, 초경량의 마이크로 소자의 구현을 위한 고밀도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양극박막은 대부분LCO(LiCoO2)계열이 이용되고 있으나, 코발트는 높은 가격과 인체 유해성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낮은 용량(~140 mAh/g)등의 단점을 갖고 있어 향후 보다 고용량의 양극박막이 요구된다. 3원계 양극활물질 LiMO2(M=Co,Ni,Mn,etc.)은 우수한 충방전 효율 과 열적 안정성 뿐 아니라 277mAh/g의 높은 이론용량을 갖고 있어 고용량 양극박막으로의 적용시 고용량 박막이차전지 제작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 고상 박막 전지의 구현을 위하여 RF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Li[Li0.2Mn0.54Co0.13Ni0.13]O2 박막을 증착하였다. Li/MnCoNi의 몰 비율을 변화시켜 높은 전기화학적 특성을 갖는 분말을 합성하여 제조한 타겟으로 Pt/TiO2/SiO2/Si 기판위에 RF 스퍼터법을 이용하여 박막을 성장시켰다. 박막 증착 시 가스의 비율은 Ar:O2=3:1로 하고 증착 압력의 조절(0.005~0.02 torr)을 통하여 박막의 두께와 표면 특성을 조절하며 성장시켰다. 또한 박막을 다양한 온도에서($400{\sim}550^{\circ}C$) 열처리하여 결정화도와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증착 된 박막의 구조적 특성은 X-ray diffraction(XRD) 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로 관찰되었다. 박막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위하여 Cyclic voltammatry를 측정하여 가역성의 정도를 확인하고 WBC3000 battery cycler를 이용한 half-cell 테스트를 통하여 박막의 용량을 평가하였다.

  • PDF

Cytotoxic Effects of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in Human Cancer Cells (당귀로부터 정제한 Decursin의 인체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 Park, Kyung-Wuk;Choi, Sa-Ra;Shon, Mi-Yae;Jeong, Il-Yun;Kang, Kap-Suk;Lee, Sung-Tae;Shim, Ki-Hwan;Seo, Kwon-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6 no.11
    • /
    • pp.1385-1390
    • /
    • 2007
  • Anticarcinogenic-active compound was isolated and purified from Angelica gigas Nakai. The compound was identified as decursin ($C_{19}H_{20}O_5$; molecular weight 328) by mass, IR spectrophotometry $^1H-NMR$ and $^{13}C-NMR$. The proliferation decreased in a dose dependant fashion in the MCF-7 cells treated with decursin for 24 hours over the concentration of $20{\mu}g/mL$. The $IC_{50}$ value of the decursin treatment for 24 hours were 31.04, 33.60, 27,24, $20.45{\mu}g/mL$ in the SW480, 293, HepG2 and MCF-7 cells, respectively,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was stronger in the MCF-7 cells compared to other cells including 293 of human normal cells. The chromatin condensation, apoptotic body formation and DNA fragmentation were examined in the cells treated with decurs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inhibited the growth through apoptosis in MCF-7 cells.

대기압에서 발생시킨 헬륨 플라즈마에서의 산소함유량 증가에 따른 폐암세포의 세포내 활성 산소 종 및 세포주기 변화

  • Jo, Hye-Min;Kim, Seon-Ja;Jeong, Tae-Hun;Im, Seo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61.2-261.2
    • /
    • 2014
  • 저온에서 작동하는 대기압 플라즈마 젯은 생체 조직에의 플라즈마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이온과 전자, 활성 종, 전기장, UV 등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를 암세포에 처리하여 그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모세관 타입의 젯에 산소를 반응기체로 흘려주어 헬륨 내 산소 함유량에 따른 활성 산소종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대기압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 산소 종(OH, O, electronically excited O (1D), O2 ($1{\Delta}g$) 등)이 세포에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할 것이라 예상되어 인체의 폐암 세포[Human lung cancer cell, A549]에 펄스파의 헬륨-산소 플라즈마를 처리한 후, 세포 내 활성 산소 종의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적은 양의 산소를 추가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 산소 종의 농도가 증가되었다. 이때 플라즈마에서 발생되는 활성 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들은 광 방출 스펙트럼(Optical Emission Spectroscopy)로 확인하였고, 세포내 활성 산소 종은 DCF-DA 염색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헬륨-산소 플라즈마가 세포 성장의 어떠한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주기 변화를 분석한 결과, 플라즈마 처리 9시간 후부터 G2/M 주기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in Yeast: Efficacy Evaluation and Safety Assessment (Human growth hormone의 개발과 이에 따른 효능 및 안전성 평가)

  • Lee Sangkyun;Park Soo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oxicology Conference
    • /
    • 1997.10a
    • /
    • pp.38-42
    • /
    • 1997
  • Human growth hormone is known as one of the peptide hormones which is consisted of 191 amino acids derived from the pituitary gland in huma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supply inexpensive recombinant methionyl human growth hormones (rHGH) synthesized by the DNA technology in a yeast cell line and followed by the establishement of protein purification techniques. The next steps of the research were to study its physic-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properties, and to evaluate various preclinical aspcts including pharmacokinetics sutdy, general pharmacology study, general toxicity test, and specific toxicity tests. Clinical phase I, II, III studies were also done against growth hormone dficient children to reveal that growth promoting effects were similar compared with the natural HGH extracted from pituitary glands and commercially available rHGHs.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that (I) this yeast dervied rHGH have had excellent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in comparison with a natural HGH and other synthesized rHGHs, (2) we could not see any toxic side effects when very high doses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animals, and (3) this growth hormone showed effectiveness in the growth stimulating to growth hormone deficient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