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체치수조사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tudies on Representative Body Sizes and 3D Body Scan Data of Korean Adolescents (한국 청소년의 대표 인체치수 및 3D 인체형상자료에 관한 연구)

  • Choi, Seung-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2
    • /
    • pp.227-232
    • /
    • 2016
  • 3D body scan data are used widely in various fields to make products and living spaces for superior human body fitness. Based on the 3D measurements of human bodies for teens in Size Korea 2013, this research provides a way of finding the representative body sizes and 3D body scan data. First, a multi-dimensional vector space consisting of many measurement items was projected onto a 2D vector space with circumference and length components via factor analysis. The representative body sizes and 3D scan data close to these values were obtained via the Mahalanobis distance in 2D space. Considering the adolescent growth pattern shown on this 2D space, males were divided into 4 age groups and females were divided into 3 age groups. Using the eigenbodies corresponding to the column vectors of the component score coefficient matrix, the representative body sizes of 13 measurement items (male) and 14 measurement items (female) for each age group were calculated. The representative body sizes and 3D scan data are very useful for modeling representative 3D human figures.

Body Shape Change with Aging -Focused on Elderly Males- (노화에 따른 체형변화 -남성 노인을 중심으로-)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43-1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이즈코리아에서 2015년 이루어진 제7차 인체치수조사 데이터 중 60대 남성의 치수와 2014년에 이루어진 고령자인체치수조사 데이터의 70대와 80대 남성의 치수를 분석하여 신체적인 노화가 주로 나타나는 연령 구간과 노화에 따른 노년 남성 체형의 변화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노년 남성의 경우 대체로 66-68세 사이와 75-77세 사이 그리고 84-85세 사이에 급격한 노화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60대와 70대에는 서서히 노화가 진행되다가 대체로 80대에 들어서면서 노화가 심화되어 신체적으로 체형의 변화가 급격히 나타나게 된다. 연령의 증가에 따른 노화의 현상으로 신체의 둘레, 너비, 높이 등에서는 변화가 심화되나 둘레, 너비, 높이에 비해 두께의 경우에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노년 여성의 경우에는 등이 굽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노년 남성의 경우에는 여성과는 반대로 뒤로 젖혀진 체형이 나타나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의복패턴 제작 시 앞중심길이와 등길이 설정에 있어서 노년 여성과는 반대로 등 길이를 짧게 하는 패턴상의 수정이 요구된다.

  • PD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3D Body Scanning vs. Manual Measurements in a Large-Scale Anthropometric Survey -Insights from the 8th Size Korea Project- (대규모 인체치수조사 사업에서 3차원 측정치와 직접측정치의 차이 분석 -제8차 사이즈코리아 사업을 중심으로-)

  • Sunmi Par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48 no.2
    • /
    • pp.233-253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three-dimensional (3D) body scanning and manual measurements, aiming to assess whether 3D scanning can replace traditional anthropometric tools, such as tape measures and calipers. Data from 4,478 participants in the 8th Size Korea Project were analyzed, covering 43 measurement items. Since Given that the 3D and manua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the same subjects in the 8th Size Korea Project,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more accurately between the two measurement methods more accurately. Using Applying ISO 20685-1(2018) standards, 15 out of the 43 items fell within allowable error limits. When classified into six types, "small circumferences" and "segment lengths" showed averages of 3.35 mm and 3.10 mm, respectively, within acceptable range. "Body heights" and "body depths" slightly exceeded the limit, with averages of 5.28 mm and 6.58 mm. "Body widths" and "large circumferences" surpassed the limit, with means of 16.77 mm and 16.18 mm. The study offers an objective basis to for validate validating 3D measurements' measurements' reliability and accuracy, addressing various industries' needs for information on the human body's dimensions information.

발측정을 위한 인체 족형 의사결정시스템 개발

  • 김시경;황인극;김진호;김용진
    • Proceedings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297-302
    • /
    • 2002
  • 족형 설계를 위한 발 치수의 측정과 관련된 국내 연구는 매우 부진한 형편이다. 발과 관련된 치수의 자료로는 1992년 공업진흥청(현 중소기업청)에서 실시한 국민인체 측정 조사 연구 (공업 진흥청, 1992)와 1997년 국민체위조사를 바탕으로 국민 치수 표준화 연구(기술표준원, 1999) 등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그리고 측정된 데이터는 주로 마틴식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 측정시 생길 수 있는 여러 오차, 즉 측정오차, 입력오차 등을 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측정시 생길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하면서 반복성과 재현성이 뛰어난 3D 측정기기를 선정, 사용하여 일반적인 신발제작자들이 필요로 하는 그리고 일반 논문에서 제시한 신발 제작시 요구되는 발 치수에 관련된 데이터를 얻기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전개하였다.

  • PDF

A Study of Apparel Sizing System for Korean Obese Women (비만여성의 의복치수체계 연구)

  • Yi, Kyo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12
    • /
    • pp.1979-1990
    • /
    • 2009
  • This study suggests apparel sizing systems for obese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Size Korea body measurement data were used for sampling the obese subjects by obesity judgment indices. A total of 7 obesity judgment indices frequently used in the clothing field were inspected and the measurement data of 499 females defined as "obese" by over 5 obesity judgment indic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total of 2,212 female body measurement data for the Size Korea Project were collected.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499 data of the obese women in the study. Except for all heights and some lengths correlating with heights, the measurements of obese women were larger than the entire group of females. Bust girth, hip girth, and height were selected as control dimensions of the outerwear covering the upper body; waist girth and hip girth were selected as control dimensions of the outerwear covering the lower body. In each crosstabulation table, 3cm pitches and 5cm pitches by bust girth, waist girth, and hip girth were compared in the aspects of coverage and coverage efficiency. Finally, sizing charts for outerwear cover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obese women were established in the study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coverage and the coverage efficiency. These Size charts were given by 5cm pitches as final sizing systems. Size number of outerwear covering the upper body was 10 and size number of outerwear covering the lower body was 9. In addition, the body measurements of control dimensions and referable dimensions for making garments are given.

A study on the apparel sizing system of adult women (성인여성 기성복의 치수 간격설정에 관한 연구)

  • 이진희;최혜선;박수찬;김진호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189-204
    • /
    • 1993
  • 산업화로 인한 급속한 경제성장과 증가하는 여성들의 사회진출은 의생활에서 보다 편 하고 간소화된 생활양식을 추구하게 되고, 이에따라 의복의 구입에 있어서도 맞춤복보다 는 시간, 경제면에서 유리한 기성복을 선호하게 되었다. 불특정다수를 위한 기성복의 생산에 있어서 개개인의 체형에 보다 적합성이 좋은 제품의 개발을 위해 다수인의 다항 목계측치에 근거한 치수체계의 설정은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가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9년 공업진흥청에 의해 제 1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되었으며, 1986년에는 제 2차 조사가 실시되어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 공업규격의 의류치수 규격이 제정 발표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연령에 따른 신체적 변화를 고려한 체형분류가 되어 있지 않으며, 제품 호수에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둔 체계였다. 1992년에는 제 3차 국민표준체위조사가 실시 되어 그 결과가 발표되었다. 의복은 인체계측에 의한 신체 각 부위의 치수와 형태를 기초로 2차원적인 소재에 적절한 원형을 사용하여 재단, 봉제과정을 거쳐 3차원의 입체 로 구성하고 인체에 대응시킨 것이므로 기성복에 대하여 소비자의 치수적합성을 만족시 키기 위해서는 체형의 특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특히,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은 출산후 중년에 접어들면서 신체적 특성이 변하여 체형이 바뀌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여성에대한 의류치수규격보다는 연령의 구분과 체형의 분류가 필요하다고 본다. 더우기 의류업체들의 판매대상의 세분화는 이를 더욱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체형의 분류는 의복 치수 규격에 적용되어 의복의 종류에 따라 대다수의 불특정 다수 에게 보다 잘 맞는 의복 치수를 제공할 것이며, 그 치수의 정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김성득(1991)은 소비자의 기성복에 대한 구매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규격치를 등간격 으로 하기 보다는 소비자의 분포밀도가 높은 곳일수록 규격치 간격들을 좁게 설정함으 로써 생산자 입장에서 총손실을 줄이고, 상대적 비용절감효과를 갖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기성복의 치수적합성을 높이기위하여 출산 후 중년에 접어 들면서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연령을 분류하고(18세-34세, 30세-51세), 각 연령 집단에 따른 체형을 각각 3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에 따라 의복 생산시의 총손실을 줄이기위한 상의, 하의생산시 필요한 부위별 최적규격치 간격을 제시하였다.

  • PDF

A field survey on actual condition of furniture company in KS (국내 교가구업체의 KS 규격에 대한 생산자 실태조사)

  • Kim, Jeong-A;Kim, Jin-Ho;Lee, Dong-Ju;Park, Jae-Hui;Gong, Seok-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35-13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교가구업체를 대상으로 현행 KS G 규격의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있는 집중적으로 연구, 개정할 설계 치수항목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근의 Size Korea 조사 결과를 감안할 때, 한국인의 신체 크기는 빠르게 증가해왔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현행 KS 가구 규격의 치수들이 적정한 지 파악하고, 개정할 부분이 있으면 산업현장의 의견을 들어 반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한국인 운전자의 성별, 체형, 신체 치수를 고려한 내수용 승용차 규격 개선에관한 연구

  • 신원경;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8.04a
    • /
    • pp.25-30
    • /
    • 1998
  • 본 연구는 점점 다양해지고있는 사용자들의 성별, 체형, 신체치수를 고려한 내수용 승용차 규격 개선 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존의 승용차 연구에서 특별히 고려되지 않은 여성 운전자를 대상으로 기초 연 구를 한 후 여러 운전자 체형에 맞는 승용차 규격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여성 운전자 들이 부적합한 자동차 규격으로 느끼는 여러 불편 사항을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여 규격 개선의 방향 을 분석한 후, 한국인 인체 치수자료를 이용하여 각 퍼센타일을 통합한 여성 운전자를 3차원 인체 모델 링 도구를 이용하여 모델링 한 후 주요 내수용 승용차의 실제규격과의 비교를 통한 비적합성 여부를 파 악한다. 그 결과에 의하여 한국인 운전자의 성별과 체형을 다양하게 고려한 내수용 승용차의 규격 개선 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n Approach to Measure Anthropometric Data of Simulated Human Hand Using Photogrammetry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한 손 치수 측정 방법에 대한 연구)

  • Chang, Ji Hong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9 no.5
    • /
    • pp.511-517
    • /
    • 2016
  • Anthropometric data of the hand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for the product design related with hand and manual operation in terms of user-centered design. Direct measurement, which traditionally uses anthropometric measuring tool, has a few disadvantages in cumulation of measuring time, possible errors in raw data, doubtful reliability between inspectors. Newly introduced 3D scanning technology overcomes those disadvantages; however, another disadvantages, such as, hight cost and immovability, have been introduced. In this study, photogrammetric approach was introduced for the measurement of anthropometric data in hand. In order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error during direct and indirect measurement, a simulated object was used and effectiveness of photogrametric measurement was confirmed for the collection of anthropometric data in h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