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체공진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ubjective Estimation of Comfort of a Seated Human Body due to the Vertical Vibrations (인체진동의 주관적평가에 관한 연구)

  • ;Griffin, Michael J.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4a
    • /
    • pp.69-74
    • /
    • 1998
  • 차량에서 인체가 노출되는 진동환경으로서 좌석과 바닥에서의 진동사이에 위상차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인체의 반응을 주관평가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인체가 진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인체와 좌석으로 구성되는 진동시스템의 공진주파수와 관련된 2.5, 3.15, 4, 5, 6.3 Hz의 주파수에서, 진동의 크기를 각각 0.25, 0.4, 0.63, 1.0, 1.6m/s$^{2}$로 변화시켜 가며 위상차가 인체의 안락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두 진동간의 위상차는 진동량이 적을수록, 또 주파수가 낮을수록 인체의 안락성에 악영향을 미쳤다. 진동의 진폭이 0.25m/s$^{2}$ 일 때 위상차가 180.deg.인 경우의 불편함은 0.deg.인 경우보다 2.5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가장치가 장착된 의자의 경우에는 좌석과 바닥진동의 위상차이가 안락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인체-좌석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를 선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공진반사 및 플렉시블 광 바이오센서 기술

  • Heo,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106-106
    • /
    • 2012
  • 인체 내 소량의 생체성분을 감지하는 바이오센서 기술은 질병 진단뿐만 아니라 예방 및 관리로 의료서비스 확대 및 의료비 감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술이다. 광 바이오센서는 광학적인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생화학물질들의 상호 반응을 검출해 낼 수 있는 바이오센서로 현재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형광물질, 발색물질 등의 발광물질을 인식물질에 표지하여 인식물질과 분석물질과의 반응 유무를 표지된 발광물질의 광 신호를 감지하여 분석물질을 검출해내는 표지식 광 바이오센서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 방법은 민감도는 우수하지만 분석 시간이 매우 느리고, 고가의 분석 장비를 필요로 하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생화학 반응 유무를 표지물질 없이 광학적 방식으로 직접 측정해내는 비 표지식 광 바이오센서 기술이 최근 들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표지식이면서 분광기 없이 분석 가능한 공진 반사광 바이오센서 기술에 관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공진 반사광 바이오센서는 광파장 이하의 주기를 가진 주기적 공진 격자 표면에서 일어나는 항원-항체 반응에 대한 공진 반사 파장을 측정하여 원하는 바이오물질을 고감도로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이다. 또한, 인체 내장을 위하여 플렉시블 기판 상에 GaN LED를 집적하여 전립선암 바이오 마커 검출에 대한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a WBAN Repeater Antenna for MICS and ISM Bands (MICS와 ISM 대역을 위한 인체 통신 중계용 안테나 설계)

  • Lee, Ho-Joo;Kwon, Kyeol;Lee, Soon-Yong;Choi, Jae-H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3 no.3
    • /
    • pp.314-319
    • /
    • 2012
  • In this paper, a repeater antenna operating at MICS and ISM bands is proposed and the antenna performance including the human body effect is investigated. The proposed antenna is composed of a ZOR(Zeroth Order Resonator) and a loop antenna. A loop antenna is operated at ISM band and a loop antenna capacitively coupled with a ZOR acts as an antenna for MICS band. Simulat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human body on antenna performance when a human body is located in the near field of an antenna. According to the simulated and measured results, the proposed antenna has -10 dB $S_{11}$ bandwidth wide enough to cover both MICS and ISM bands. The measured peak gains are -28.53 dBi and 3.85 dBi at MICS and ISM band, respectively. The dual band and radiation properties of the proposed antenna are well suited for the WBAN repeater system.

Resonant Frequency Recovery of Resonator for Magnetic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Inserted into Dielectric Material (유전체에 삽입된 자기공진형 무선전력전송 공진기의 공진주파수 복원에 관한 연구)

  • Kang, Seok Hyon;Jung, Chang W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9 no.12
    • /
    • pp.992-995
    • /
    • 2018
  • The wireless charging of body-embedded medical instruments and wireless power transfer to various inside dielectric-materials is still a future technology that has not yet been achieved. This paper proposes methods for controlling the capacitance of the resonators and installing air pockets on the top and bottom sides of the resonators for optimal design, which considered efficiency and resonant frequency in accordance with the electromagnetic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medium. In futu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utilized as the basic research data to design and restore resonant frequency of resonators embedded in various dielectric environments.

A Study on Slot Coupled Capacitor Resonator for 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in Earlobe (귓불에서 비침습 혈당관찰을 위한 슬롯결합 커패시터 공진기 연구)

  • Yun, Gi-H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8 no.4
    • /
    • pp.279-285
    • /
    • 2017
  • In this paper, the resonator with a parallel plate capacitor is newly proposed around sub-microwave frequency band and applied to earlobe for 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the human biological tissue. The capacitor including the earlobe as dielectric material is connected to inductive slot in the ground plane of the microstrip line. Based on the simulation, one port resonator circuit is designed and fabricated as a prototype. Three step glucose concentration levels(0, 250, 500 mg/dL) was tested, and its reflection coefficients($S_{11}$) were measured. Owing to high Q resonator more than 100, resonant frequency shift of about 9 MHz per glucose level of 250 mg/dL has been successfully measured. This proves that the proposed sensor is applicable to a blood glucose sensor.

평판형 급집전코일의 공진주파수 변화를 이용한 접촉식 무선충전 시스템

  • Lee, Byeong-Hun;Kim, Hyeon-Jae;Im, Chun-Tae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0.11a
    • /
    • pp.60-6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 등에 적용하기 위해, 평판형 급전코일과 집전코일의 접촉 유무에 따라 공진주파수가 변화하는 접촉식 무선충전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급집전코일에 대해 코일의 형상과 위치별 급집전효율 및 EMF(ElectroMagnetic Field)의 영향을 연구했다. 평판형 집전코일은 어레이 형태로 바닥에 설치되는데, 입력전원에 대해 각각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집전코일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진주파수가 입력전원의 주파수를 크게 벗어나서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최소화된다. 집전코일이 급전코일 어레이 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급전코일의 공진주파수가 입력전원의 주파수와 일치하게 되어 전력이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집전코일이 덮고 있는 부분만 급전코일 어레이에 전력이 공급되므로, 급집전 효율이 높고 인체에 대한 자기장 노출이 작아져서, 경제적이고 안전한 무선충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 PDF

Vital Sign Sensor Based on Second Harmonic Frequency Drift of Oscillator (발진기의 2채배 고조파 주파수 천이를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센서)

  • Ku, Ki-Young;Hong, Yunseog;Lee, Hee-Jo;Yun, Gi-Ho;Yook, Jong-Gwan;Kim, Kang-Wo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7 no.3
    • /
    • pp.299-306
    • /
    • 2016
  • In this paper, a vital sign sensor based on impedance variation of resonator is proposed to detect the respiration and heartbeat signals within near-field range as a function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resonator and subject. The sensor consists of an oscillator with a built-in planar type patch resonator, a diplexer for only pass the second harmonic frequency, amplifier, SAW filter, and RF detector. The cardiac activity of a subject such as respiration and heartbeat causes the variation of the oscillation frequency corresponding impedance variation of the resonator within near-field range. The combination of the second harmonic oscillation frequency deviation and the superior skirt frequency of the SAW filter enables the proposed sensor to extend twice detection range.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sensor placed 40 mm away from a subject can reliably detect respiration and heartbeat sig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