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 특성

Search Result 3,059,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n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and cognitive training effects (인지기능 및 인지훈련효과의 관련변인에 관한 예비연구)

  • Kim, Youngk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2
    • /
    • pp.343-351
    • /
    • 202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ed variables of cognitive function,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nd cognitive training effects. The cognitive training was composed of mete-cognitive education and cognitive task performing. Twenty older adults attended for 14 weeks and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Results show that their cognitive level was related with age, self-esteem and personality traits. And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was related depression, anxiety, personality traits, self-efficacy, self-esteem and subjective age, but it does not reflect objective cognitive impairments. Their cognitive test scores were enhanced after training in MMSE,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 and enhanced scores were related with age,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nxiety, self-efficacy, self-esteem, subjective age and personality traits. Findings suggest one'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state need to be considered for the effects of cognitive training.

A study on Cognitive faculties about Visual Information on Web Interface - With Emphasis on an Experiment with Visual Perception Measurement by Different Age Groups - (웹 인터페이스에서 시각정보의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 연령계층별 시지각 계측 실험을 중심으로 -)

  • 고광필;류시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5 no.4
    • /
    • pp.243-252
    • /
    • 2002
  • The enlarge the range of internet users require user centered design method what understanding of cognitive faculties about users by different age group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cognitive faculties about visual information on web interface by different age groups, presenting visual perception cognitive process model as an evaluation model and proposing an effective web interface design guideline, On the basis of analyzing cognitive faculties verified what each detail property of visual perception cognitive process model as form, color, space, movement and physiological, physical cognitive faculties had have individual cognitive faculties. As the result visual perception cognitive process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model of web interface and users' cognitive faculties analyzed in visual perception measurement by different age groups can be applied as a web interface design guideline.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makes a chance to extend a web designer's roles and establish a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usability of different age groups.

  • PDF

A Study of Automotive IP Design based on the Driver's Cognitive Characteristics (운전자의 인지특성을 고려한 자동차 IP 설계에 관한 연구)

  • Kang, Seon-Mo;Paik, Seung-Youl;Park, Peom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2
    • /
    • pp.81-91
    • /
    • 1998
  • 운전자의 안전과 감성적 요구사항이 중요시 되는 차세대 자동차의 IP(Instrument Panel) 설계를 위해 운전자으 인지특성을 고려하였다. 오디어 유닛과 HVAC(Heat,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등의 주요 IP 구성요소 설계에 중점을 두었으며, 운전자의 인지특성과 가장부합하는 형태의 IP를 도출하기 위해 인지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기존의 차량에 설계된 IP 궁성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버튼의 수와 배열, LCD패널의 위치등을 조합하여 총 16개의 IP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제작된 프로타입을 각각 0.2, 0.4, 0.6초의 간격으로 Tachisto scope를 이용하여 피실험자에게 제시한후, 인간의 인지 지도(Human cognitive Map)에 근거한 '그리가 방법(Drawing Method)'을 이용하여 그들의 단기기억(Short-term Memory)상의 정보를 주어진 답안지에 그리도록 하였다. 이 인지실험의 다구찌 분석을 통하여 운전자의 인지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IP형태를 제시하였다.

  • PDF

Place Context-Aware System Using Positioning Information and Image Data (위치 정보와 화상 데이터를 활용한 장소 특성 인지 시스템)

  • Kong, Taeho;Yeom, Sanggil;Choo, Hyu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424-425
    • /
    • 2016
  •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유 및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 그 중에서도 상황 인지 기술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상황 인지 기술은 인지할 수 있는 상황이 매우 단편적이며, 시스템을 원활하게 가동하는 데 필요한 사전 작업이 번거로운 등 여러 가지 제한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지 기술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위치 정보 기반 시스템과 화상 데이터 기반 시스템을 융합하여, 위치한 장소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상황 인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위치정보가 삽입되어있는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장소의 특성을 파악하고, 해당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특성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상황 인지 기반 서비스를 쉽게 구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쉽게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Analysis of Observation Characteristics by Cognitive Style : MEG Study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 특성 분석 : MEG 연구)

  • Yang, Il-Ho;Lee, Soon-Joo;Kim, Eun-Ae;Lee, So-Ree;Kwon, Suk-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0 no.8
    • /
    • pp.1097-110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F components patterns of observers who have different cognitive styles using magneto-encephalography (MEG). The task was developed based on the CSA (Cognitive Style Analysis) program. Eight right-handed,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voluntarily.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ERF components during the task, an MEG system with block design was used to measure magnetic signals in their brains. For examining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 by cognitive style, MEG ERF compon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four ERF components (M1, M2, M3, M4) were observ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ason for different observation characteristics by cognitive styles was verified in the neurophysiological methods. This study will have implications to establish theories on scientific observation and cognitive styles.

Menu design for touch screen interface with regard to task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processes (터치스크린 환경에서의 작업 특성 및 인지 과정을 고려한 메뉴 디자인)

  • Kong, Byung-Don;Min, Jung-Sang;Myung, Ro-H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763-768
    • /
    • 2009
  •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에 따른 사용자의 작업 특성 및 이와 관련된 인지 과정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손가락을 직접 사용하는 새로운 작업 환경인 터치스크린을 적용하는 다수의 기기들은 바뀐 작업 환경에 대한 고려 없이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입력 방식에서의 메뉴 구조를 그대로 따르고 있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움직임 및 인지적 과정을 야기시켜 사용성의 저하를 가져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 손가락 작업 환경의 물리적 특성 및 이에 따른 사용자들의 보다 단순한 인지 과정을 고려한 동적인 메뉴 구조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동적인 메뉴구조에서 보다 빠른 작업 수행 경향을 보였으며, 인지적 과정에 있어서도 그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 터치스크린 환경에서의 작업 특성 및 인지 과정을 고려한 동적인 메뉴 구조는 정적인 메뉴 구조보다 일반적인 사용자 중심의 메뉴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n Colour Perception according to the Edge Brightness in Graphic Images (그래픽 영상에서 테두리 밝기에 따른 색채 인지 연구)

  • Hong, Ji-Young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1 no.4
    • /
    • pp.31-36
    • /
    • 2021
  • Colour properties can be classified based on hue, brightness, and satu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lour perception vary by colour property. In terms of colour perception, surrounding colours are viewed together rather than independentl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colour percep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olour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Thus far, research on colour perception and sensibility has focused on a monotonic environment, which is different from colour perception in real life. As such, a fundamental study on colour perception considering surrounding colours must be conducted. In this study, a psychophys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sed to study the colour perception characteristics by edge brightness, Edge brightness was set as a variable based on the visual traits that are most sensitive to brightnes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Munsell colour system to specify the stimulus colou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outcomes, this study reveals the significance of fundamental research data on the visual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colour perception with regard to edge brightness and provide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Perceptual Cues to Voicing of English Word-Final Stops -Focusing on the consonantal features- (영어 어말 폐쇄음의 유.무성 인지 실마리에 관한 연구 -폐쇄음의 자음적 특징을 중심으로 -)

  • 고현주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89-92
    • /
    • 1998
  • 영어의 선행모음의 길이 특성이 어말 자음의 유.무성 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선행 연구의 후행연구로서 후행하는 폐쇄음의 자음적 특성은 어떠한 실마리로 적용하는지 한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지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에게 어말 폐쇄음의 자음적 특성은 자음의 유.무성 인지에 중요한 실마리로 작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the Cognitive Task Characteristics of Operators in Following Simulated Emergency Operating Scenarios (모의 비상운전 시나리오 수행에 따른 운전원들의 인지적 직무특성 분석)

  • 천세우;서상문;이용희;이정운;이덕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278-285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비상운전 상황하에서 표출되는 운전원들의 직무전략 및 인지적인 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운전원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운전원들의 직무특성을 분석하였다. 운전원들의 직무특성을 인지과정의 개입 정도에 따라 크게 Macro와 Micro로 구분하여 이들 직무특성을 잘 대변해 줄 수 있는 비상운전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시뮬레이터를 통해 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운전원들의 비상운전절차 수행과정을 비디오로 기록, 운전원들의 행동과 대화내용을 전산 분석하여 직무특성을 도출하였다.

  • PDF

MALADAPTIVE COGNITIONS ACCORDING TO DEPRESSION, ANXIETY, AND AGE OF CHILDREN WITH ADHD - FOCUS ON COGNITIVE ERROR AND ATTRIBUTIONAL BIAS - (ADHD 아동의 우울, 불안, 공격성과 연령에 따른 부적응적 인지 특성 - 인지 오류와 귀인 편파를 중심으로 -)

  • Kim, Young-Mi;Choi, Eun-Ju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2 no.2
    • /
    • pp.275-281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pathology(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maladaptive cognitions(negative cognitive errors, attributional biases), and age of children with ADHD. 40 ADHD children and their mother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level and maladaptive cognitions of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maladaptive cognitions of children with ADHD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level. Age wa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al stable attributions for negative events that was characteristic in depression, and had significantly effect on internal stable attributions for negative events. As age of ADHD children increased, their internal attribution for negative events reduced. It seems that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level is associated with current stress event rather than maladaptive cognition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