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지도

Search Result 45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인과지도의 시뮬레이션 방법론:NUMBER

  • 김동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0.02a
    • /
    • pp.39-60
    • /
    • 2000
  •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은 시스템의 인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인과지도 분석과 인과 구조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저량/유량 모텔링으로 이분화 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링에서 인과지도는 저량/유량 모델링의 기반이 되어 왔다. 그러나 인과지도가 지나치게 추상화되어 있는 경우, 인과지도로부터 저량/유량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었다. 특히 정책결정자의 주관을 표현한 인지지도를 저량/유량 모델로 전환하는 데에는 연구자의 주관이 첨가됨으로써 인지지도의 특성을 상실시킬 위험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지도 또는 추상적인 인과지도를 저량/유량 모델로 전환시키는 방법으로써 NUMBER(Normalized Unit Modelling By Elementary Relationships)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NUMBER 방법을 활용하여 김대중 대통령의 금융위기 극복 정책에 관한 인지지도를 저량/유량 모델로 전환하여 시뮬레이션 하여 봄으로써, 연구자의 주관을 최소화하면서 정책결정자의 인지지도나 추상적인 인과지도를 간편하게 저량/유량 모델로 전환시켜 그 동태적 행태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s of the Cognitive Effects of Map Use (지도사용의 인지적 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 Cho, Hyun-Jeong;Shin, Hyu-Seok;Park, Key-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5
    • /
    • pp.15-2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analytical framework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cognitive effects of web map use' and to empirically test it. This experimental desig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about spatial cognition. Accuracy, reaction time, and confidence within each participant were compared to measure the cognitive effects of web map use for wayfinding. Geometric accuracy of the cognitive maps was estimated and calculated based on the bidimensional regress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characteristics of map users and repetition of map use rather than types of map representation did significantly affect accuracy and reaction time of spatial cognition by using web maps. And confidence appeared to be low when the participants referred to both 2D and 3D maps for wayfinding tasks on the web maps. Understanding spatial cognition of web map users, which was suggested in the study, will help cartographers make more effectively-communicated maps.

Cognitive Map Analysis for Policy Agenda Setting : a case of the Green Growth in Korea

  • Kim, Dong-Hwan;An, Jiyoung;Lee, Eunkyu
    • Korean System Dynamics Review
    • /
    • v.17 no.1
    • /
    • pp.65-75
    • /
    • 2016
  • 21세기 들어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로 인한 환경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져 왔다. 21세기 초에 집권하였던 한국의 이명박 정부에서는 '녹색 성장(green growth)' 정책을 내걸어서 환경 정책과 경제 성장 정책을 동시에 포괄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녹색 성장 정책의 아젠다가 형성되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녹색 성장이라는 정책 아젠다가 형성되는 행태적 과정에 관한 시계열 분석과 함께 구조적 측면으로서 인지지도 분석을 수행한다. 정책 아젠다의 시계열 분석을 위하여 신문 기사와 정책 보고서를 분석하며, 이명박 대통령의 연설문을 분석하여 인지지도를 구축한다. 정책 형성에 관한 시계열 분석 결과 녹색성장의 정책 아젠다 형성에 있어서 정치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사회적 이슈나 정책적 이슈보다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본 연구의 인지지도 분석은 이명박 대통령의 녹색성장 정책이 미래의 다중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나왔으며, 환경의 발전에 초점을 둔다기 보다는 경제적 발전 특히 일자리 창출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인지지도 분석을 통하여 시계열 분석으로는 발견할 수 없는 정책형성의 구조적 관계성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Cognitive Map Analysis on the Policy of SMEs and Ventur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통신분야 중소벤처기업 지원정책에 관한 인지지도 분석)

  • Lee, Jungmann;Hwang, Gue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347-355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President Lee's speeches of Korea and the policy of SMES and ventur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cognitive map analysis.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olicy tool variables and policy goal variables was employed to derive policy direction of IT SMEs and ventures. This paper suggests growth competence reinforcement, investment revitalization, revitalization of start-up companies, enhancement of technology competition, globalization and job creation to the policy direction of IT SMEs and ventures.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a cognitive map on the policy vision of SMEs and ventur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is cognitive map could be characterized by a scarcity of feedback loops and a strong emphasis on the positive loops in the structure of virtuous circle.

Automatic Method for Transforming Image into Tactile Map Based o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Persons (시각장애인 인지특성을 기반으로 한 영상자료의 촉각지도 자동 변환 방법)

  • Kim, Hye-Young;Cho, Jin-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4
    • /
    • pp.452-458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transfers images into tactile maps information based on cognition characteristics of visually impaired persons to more easily provide various image information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The proposed method automatically classify color images into row complexity and high complexity based on intensity information and transfer images into tactile map information using each different transformation process. Experimental evaluation, We performed with visually impaired five persons experiments for evaluating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hat tactile maps of the proposed automatic transforming method and the manually generated tactile maps of braille textbooks. Experimental results,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that the tactile maps of the proposed method generated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tactile maps of braille textbooks. Therefore, it could hugely be reduced the time and money of production education materials, and it could greatly improved educative results because it can add more easily that many image data of education materials.

효과적인 기업용 S/W 판매전략 공유를 위한 인지지도 기반의 암묵지 관리 방법

  • Jeong Nam-Ho;Lee Nam-Ho;Lee Geo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363-370
    • /
    • 2006
  •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기업용 S/W 판매자들에게 새로운 판매 전량을 요구하고 있다. 즉, 기업용 S/W의 유형에 다양화 되고 고객의 니즈가 매우 정교화되고 있는바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할 경우 성공적인 판매전량을 수립할 수 없다. 그러나 이러한 기업용 S/W 판매전략에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요소들은 기업용 S/W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어려운 암묵지인 관계로 지금까지 충분히 논의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지지도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업용 S/W 판매사례에 대하여 기업용 S/W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관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사한 사례별로 인지지도를 군집화 하여 그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업용 S/W 판매전략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Lessons of Systems Thinking on Housing policy (부동산 정책에 관한 시스템 사고의 교훈)

  • Kim, D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7.06a
    • /
    • pp.19-4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먼저 노무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어떠한 정책 실패의 요인들을 안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 실패 요인들이 어떻게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부동산 정책 시스템에 관한 정책결정자 및 정책 비판자의 인지지도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시뮬레이션모델을 구축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논의한다. 본 논문에서 구축된 인지지도와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은 정책 실패가 어떻게 구조화될 수 있는지를 보다 심층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ystem Dynamics for Policy Critics (정책 평론과 시스템 다이내믹스)

  • 김동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1.10a
    • /
    • pp.49-6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먼저 비주류로써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특성을 경험적 행태주의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특성은 경험적 행태주의와는 달리 정책 평론을 수행하는데 용이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즉, 정책 평론에서 요구하는 평이성, 신속성, 일치성의 요구를 시스템 다이내믹스 접근이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인과지도, 시스템 원형, 인지지도, 정책지도, 시뮬레이션 모델링 등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분석도구들이 정책 평론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본다. 단선적이고, 부분적이며, 맹목적인 정책으로 인한 대규모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책 평론이 요구되며,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정책 평론의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하였다.

The Effects of a Way-finding Exercise using a Map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 Stroke (지도를 이용한 길 찾기 훈련이 성인 뇌졸중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 Jung, Sung-Wook;Kim, Heung-Yeol;Kim, Tack-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0
    • /
    • pp.434-44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way-finding exercise using a map in rehabilitation of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a stroke. For the seven patients diagnosed with hemiplegia from a stroke, we executed the way-finding exercise using a map in the hospital, three times a week for two weeks.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were used to measure the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For the visual perception area and the spatial relations of the spatial perception area of LOTCA,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intervention(p<.05). For the walk/wheelchair of locomotion area and the problem solving of the social cognition area of FIM,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intervention(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way-finding exercise for patients with a stroke is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by enhancing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 Comparative Study of Inductive and Deductive Instructional Effects on the Learning of Population Genetic Concepts (집단유전 개념 학습에서 귀납적 - 연역적인 수업효과 비교)

  • Kim, Wui-Gyeong;Lee, Mi-Sook;Lee, Kil-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3 no.2
    • /
    • pp.190-199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ductive Instructional method and deductive one concerning the learners' population genetic concepts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learners' cognitive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180 students were sampled from a boys' high school: 90 students for inductive teaching method and 90 students for deductive teaching method.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GALT) and Group Embedded Figure Test (GEFT) were used as the measure of cogni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ductive instructional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the understanding of population genetic concepts and their achievement. 2) Inductive instructional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deductive one for the learners in formal operational level and in field independent cognitive style. 3) For the learners in a transitional level and field dependent cognitive style, deductive instructional way was more effective than inductive way on the averag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turned out that learners' cognitive level was one of important factors when teachers instruct the concept of population gen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