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적 공간

Search Result 81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Degree of Age-Friendliness of Living Environments Perceived by the Aged -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Nagasaki Area in Japan - (고령자가 인지하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정도 - 일본 나가사키 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

  • Kim, Soo young;Bae, Yong Jun;Oh, Chan ohk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5 no.5
    • /
    • pp.199-211
    • /
    • 2016
  • The study examined how age-friendly their living environments the aged perceived and it'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 subject were 96 old persons who aged more than 60 years and lived in Nagasaki city, Japan. They asked how far each neighborhood facility related to the aged was located from their houses, and the age-friendliness of walk way, traffic, multi-family houses for the aged, and interior space of their living house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one to one interview. Results were as follows: 1) Most neighborhood facilities related to the aged were located within a walking distance or 10 min. distance by bus from their houses. 2) Among 5 areas of living environments, while traffic, house interior, and pedestrians road were relatively age-friendly, the amount of multi-unit dwellings for the elderly and the usability of wheelchair users in house interior were not age-friendly. 3) Age and education level of the aged influenced on the age-friendliness of their living environments.

Cognitive Performance Following Oxygen Administration (외부 산소 공급에 따른 인지 능력 변화)

  • 정순철;이유진;이정미;손진훈;김승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11-114
    • /
    • 2003
  • 산소는 인간의 신체 및 정신 활동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특히 뇌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공기 중의 산소 농도(21%) 환경에 비해 외부에서 고 농도(30%)의 산소 공급이 인지 능력 중 특히 공간 지각 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유발하는지 관찰하고자 한다. 8명의 남자 대학생(평균 23.5세)을 본 연구의 실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1%와 30% 산소 농도를 각각 8L/min의 양으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 마스크를 통하여 실험 참여자에게 전달하였다. 공간 지각 능력 측정으로 위해 각각 20문항을 포함하는 두 개의 문제지를 제작하였고, 과제 수행 결과로부터 정답률과 평균 반응 시간을 산출하였다. 평균 정답률은 21%와 30% 산소 농도에서 각각 50.63 $\pm$ 8.63과 62.50 $\pm$ 9.64 이었고, 두 농도간의 통계적 유의차가 발생하였다. 평균 반응 시간의 21%와 30% 산소 농도에서 각각 6.60 $\pm$ 0.77〔sec〕이었고, 두 농도간의 통계적 유의차가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외부에서의 고농도의 산소 공급이 공간 지각 능력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Hybrid Localization System for Location Awareness (위치 인지를 위한 하이브리드 위치 측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 Lee, Hyeong-Su;Song, Byeong-Hun;Yun, Hui-Y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b
    • /
    • pp.609-611
    • /
    • 2005
  • 위치 인지(localization)는 유비쿼터스 응용의 중요 기술로서 사용자 및 센서 노드 주변의 환경 상태와 같은 정보를 지능적으로 판단하는 상황 인지(context awareness)와 더불어 실재 지리적 위치를 인지(location awareness)할 수 있는 지능화된 서비스를 말한다.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 인지 기술들은 실내(Indoor) 공간에서 미리 설치된 센서 노드블을 기반으로 능동형 혹은 수동형 방식으로 움직이는 노드의 위치를 측정 하는 인프라스트럭척 기반의 기술 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위치 인지를 위해 미리 특정 노드 들을 설치해야 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어서, 군사 작전이나 위급 상황과 같은 환경에서도 강건하게(robust)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구조가 필요로 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프라스트럭쳐 기반이 없는 환경에서도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강건하게 위치 인식을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hybrid) 알고리즘 및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A Neural Network Model for Visual Selection: Top-down mechanism of Feature Gate model (시각적 선택에 대한 신경 망 모형FeatureGate 모형의 하향식 기제)

  • Kim, Min Sik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0 no.3
    • /
    • pp.1.2-1.2
    • /
    • 1999
  • 시각적 선택에 대한 과거 정신물리학적, 신경 생리학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Feature Gate 라는 신경 망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에는 공간 배치도가 위계 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보의 흐름이 위계의 각 수준으로부터 그 다음 수준으로 넘어갈 때 주의 게이트에 의해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주의 게이트들은 독특한 세부 특징을 가진 위치에 반응하는 상향식 시스템과 표적 세부 특징이 있는 위치에 반응하는 하향식 기제 모두에 의해 조절된다. 본 연구는 Feature Gate 모형의 하향식 기제에 초점을 맞추어 모형을 설명하고, 현재 다른 모형들이 설명하지 못하는 Moran & Desimone(1985)의 연구결과를 이 모형이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Feature Gate 모형은 병렬 적인 세부특징 검색, 계열 적 접합표적 검색, 단서에 의한 주의의 점진적 감소 모형, 세부특징-주도적인 공간적 선택, 주의의 분할, 방해자극 위치의 억제, 주변 억제 등을 포함한 시각적 주의 연구의 여러 가지 많은 현상들을 설명하는데 하나의 일관적인 해석을 제공해 준다. 앞으로 이 모형을 더욱 확장, 발전 시켜 세부특징의 조합된 배열에 반응하는 상위 수준의 유닛을 사용한다면 시각적 선택과정이 포함된 형태 재인 모형으로 개발될 수 있다.

The Effect of Spatial Atten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Depending on Visual Factors (한글 단어 재인에서 시각적 요인에 따른 공간주의의 영향)

  • Ko Eun Lee;Hye-Won Lee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4 no.1
    • /
    • pp.1-20
    • /
    • 2023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in Hangul word recognition depending on visual factors. The visual complexity of words (Experiment 1) and contrast (Experiment 2) were manipulated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 of spatial attention differs depending on visual quality. Participants responded to words with and without codas in experiment 1 and words in high-contrast and low-contrast conditions in experiment 2.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were investigat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the condition where spatial cues were given at the target location (valid trial) and the condition where the spatial cues were not given at the target location (invalid trial) as the cuing effects. As a result, the cuing effects were similar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the words. It indicates that the effects of spatial attention were not different across the visual complexity conditions. The cuing effects were greater in the low-contrast condition than in the high-contrast condition. The greater effect of spatial attention when the contrast is low was explained as a mechanism of signal enhancement.

The effect of preference color of children's hospital lobby on the visual attention (어린이병원 로비공간에서 선호 색채가 시지각 주의집중에 미친 영향)

  • Cho, Eun Kil;Son, Kwang Ho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23
    • /
    • pp.347-358
    • /
    • 2016
  • The design of children's hospitals is highly dependent on color schemes. As a space shared together by both adults and children, the design of children's hospitals require color coordination that takes account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However, because the majority of prior research on color perception has focused overly on the emotional aspects, there is a necessity for more rational and scientific analyse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perception of colors. Adopting this perspective i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perception of colors, this study aims to move beyond the abstract to focus on more objective methods, such as eye-tracking experimen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ospital visitors' visual attention with respect to colors. Visual perception tracking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2 chosen experimental images with a target group made up of adults and childr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ly, spaces created with the preference colors of the different groups were found to develop a characteristic of developing higher attention. Secondly, observing the common tendencies for attention for adults and children, the highest region for visual concentration was formed towards the middle, as attention progresses to lower stages visually focused area changes in the order of upper-middle, left and right, and lower regions and edge regions show characteristics of not triggering attention Thirdly, it is understood that children's level of attention drops a lot faster than adults when identifying space therefore it is suspected that children need more elaborate color coordination than adults.

Active and Cognitive Evaluating of the Recreational Spaces in Natural Settings (자연휴양공간(自然休養空間)의 이용행동(利用行動) 및 인지적(認知的) 평가(評價))

  • Kim, Bum Soo;Chung, Yoon 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3 no.4
    • /
    • pp.429-440
    • /
    • 1994
  • This study attempt to evaluate the recreation space(two patterns ; one is open space ; forest, water-front space and free open space, the other recreational fercilities) located in the natural area based on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se spaces and human response(users' cognitive evaluation and users' activity pattern). On this standpoint it was proceeded to analyses of the information which was collected by interviews to users who were in this open space at the natural park of Osaka Prefecture.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Forest and waterfront space are considered to be a basic factor of the composition in natural recreation areas. There was difference on the recreational value depending on condition of forest composition. The hardwood-forest apparently high in its efficiency. 2) Free open space is a definite recreational space surely wide in its scope of active of recreational use. The site should be setted up considering the plants conditions around and geographical features according to the recreational activities, and the ground cover should be well controlled. 3) The recreational facilities in natural settings such as the sightseeing tower, the insect display hall, and the camp site appeared to produce low value as a recreational space. It was desirable that recreational activities be allowed within the scope. Consequently, we should carefully consider environmental capacity and landscape to designing these spaces 4) Traditional history and cultural properties are recognized as part of recreational resource as and also as essence of the compositions. So continuos care and proportion of history and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guaranteed.

  • PDF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ocial Space on Town Wall Village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 The village of Seongbuk in Gadeok-Island and Ungcheon in Jinhae - (부산·경남지역 읍성 마을에서의 사회적 공간의 인지 특성 - 가덕도 성북(城北)마을, 진해구 웅천(熊川)마을을 대상으로 -)

  • Son, Young-Rim;Lee, In-Hee;Yoo, Jae-Woo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5 no.11
    • /
    • pp.109-116
    • /
    • 2019
  • Seongbuk Village and Ungcheon Village are Town Wall Villages that reflect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villagers have formed villages based on community life. The streets and places of the villages are accumulated as images in the memory of the inhabitants. Based on their imagination-concept, 30 sketch maps, reflecting residents' cognitive perception were collected. Analysis of 30 sketch maps shows that other forming of Collective maps. In the past, Villages historical facilities had changed rol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 and the place has been continuous, an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vill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ets and places has been formed. Following this, the analysis methodology of social spaces and sketch will be examined in depth.

Comparative study of visual information design in Chinese and Korean subway's (한.중 지하철 내 시각정보디자인에 관한 연구)

  • Feng, Wen;Song, M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1-174
    • /
    • 2009
  • 본 소고의 목적은 중국과 한국의 지하철 역사 내에 있는 시각정보디자인의 양식 및 감성의 비교연구이다. 한국의 마찬가지로 중국 사회도 급속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지하공간의 중요성이 증대되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지하교통의 아내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지하 공간에서 시각적 정보 디자인 성패의 가장 큰 평가기준은 바로 그 디자인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의 강약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하철의 역할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안내 시스템 등과 같은 일부 지하철 내부의 시각적 정보들은 사람들의 출입 등에 편의를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각 지하철 역사내 시각정보시스템의 통일된 체계 구축과 함께 지역적 특성도 부가되어야만 한다. 때문에 시각적 정보에 대한 대중들의 인지도를 어떻게 높일가? 하는 문제는 모든 지하공간의 시각정보디자인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구 부산의 서면 지하철 역과 베이징 서지문 지하철 역 내부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색채 조형 문자 등 시각 디자인을 구성하는 전반적인 관련요소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통해, 서로 다른 문화의 영항 하에서 두 곳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공통점과 감성의 다른 점 및 어떤 디자인이 대중들의 시각적 정보 디자인의 인지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