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적 공간

Search Result 81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terpretive Approaches to the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Using Qualitative GIS of the Elderly's Outdoor Activities - Focused on the Musugol, a Low-Income Elderly Concentrated Area in Seoul - (노인층 옥외활동의 질적 GIS를 활용한 근린환경 특성의 해석 - 서울시 저소득 노인밀집지역 무수골을 대상으로 -)

  • Yun, Ye-Hwa;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0 no.3
    • /
    • pp.1-18
    • /
    • 2022
  • Prior studies have shown positive effects of outdoor activities on the elderly's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Active aging' and 'age-friendly' neighborhood can be created by modifying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outdoor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utdoor activities of the elderly living in a low-income elderly concentrated area and their perception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We also explored the contex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facilitators and inhibitors of outdoor activities on the basis of temporal, spatial, and social conditions. We used a mixed method approach by collecting two different types of qualitative GIS data : observation maps of the main places and individual cognitive maps with in-depth interviews. The observational ma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eferred places and activity patterns differ by age, gender, and size of the group. The cognitive map and interviews demonstrated that the elderly's activity goals and perception of the landscape differ by places such as forests, parks, streams, open-spaces, vegetable gardens, and alleys. The elderly's desire for outdoor activities can be better fulfilled when their front doors and alleys are well-connected to an open-sight pleasant space. Familiarity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elderl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move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barriers by increasing the legibility and accessibility of places. In addition, social interactions and conflicts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lderly's occupation of space in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Characterization of Conductive Fractures in Fractured Rocks using Borehole Logging Data

  • 조민조;이대하;이승구;김형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09-11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도도, 온도, 유속 검층을 이용하여 시추공내의 유동성 단열구조를 확인하고 각 유동성 단열구조를 통한 시추공간의 수리적 연결관계를 해석하였다. 검층은 자연상태와 인근 시추공으로부터의 양수에 의한 부정류상태에서 각각 실시되었다. 자연상태에서는 지하수 유동이 매우 느려 유동성 단열구조가 쉽게 인지되지 않으나, 부정류 상태에서는 각 시추공간의 수리적 연결성을 보여준다. 각 시추공별 검층에서 나타나는 유동성 단열구조는 모두 일치하지 않으며, 특히 부정류 상태에서의 유속 검층에서는 타 검층에서 인지된 유동성 단열구조중 일부만이 시추공간에 서로 수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 PDF

Producting Fuzzy Rules throungh Partition of Fuzzy Space (퍼지 공간 분할에 따른 퍼지 규칙의 자동생성)

  • 이양원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4 no.1
    • /
    • pp.123-152
    • /
    • 1993
  • This paper discusses how to automatically extract fuzzy rules from given data.The fuzzy space which contain given data are fitst subdivided into a set of hypercubes.each of which contains the homogeneous data belonging to the same class, and then a fuzzy rule is defined based on the constructed hypercube.In order to dynamically agjust the size of a hypercube. the fuzzy space is to be splitted based on a center vector and then the splitted subspaces are to be merged throungh the adjacency relation.The membership functions.which are to be embedded in a fuzzy rule.are to be formed through analyzing the cummulative histogram of given data along each axis of the constructed hypercube.

Fuzzy Behavior Knowledge Space for Integration of Multiple Classifiers (다중 분류기 통합을 위한 퍼지 행위지식 공간)

  • 김봉근;최형일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6 no.2
    • /
    • pp.27-45
    • /
    • 1995
  •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Fuzzy Behavior Knowledge Space(FBKS)" and explain how to utilize the FBKS when aggregating decisions of individual classifiers. The concept of "Behavior Knowledge Space(BKS)" is known to be the best method in the context that each classifier offers only one class label as its decision. However. the BKS does not considers measurement value of class label. Furthermore, it does not allow the heuristic knowledge of human experts to be embedded when combining multiple decisions. The FBKS eliminates such drawbacks of the BKS by adapting the fwzy concepts. Our method applies to the classification results that contain both class labels and associated measurement values.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FBKS could be a very promising tool in pattern recognition areas.

  • PDF

The Trends and Strategies of Context-Aware Technology for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and Service (지능형 도시 공간정보 서비스제공을 위한 상황인지 기술동향 및 개발전략)

  • Kim, Eun-Hyu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1
    • /
    • pp.101-107
    • /
    • 2010
  • Context-aware technologies have become the one of core technologies for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services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o provide context-aware intelligent services, various technologies including for context-aware modelling, context-aware sensing and context-aware service middleware are required. Among them, especially, ontologies are very useful for modelling, interpreting and reasoning context informations across various domains. In this research, the recent trends of context-awareness technologies and ontologies are reviewed to build a conceptual architecture for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services. Considering it, the strategies of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services are proposed.

사이버 자아에 대한 인지와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

  • Kim, Su-Yeon;Hwang, Hyu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3-207
    • /
    • 2009
  • 본 연구는 사이버 공간에서 자아에 대한 인지를 두 가지 측면에서 조사하고 이러한 인지와 구매의도 간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이버 자아를 외향적 자아와 내향적 자아로 분류하였고 두 가지 자아에 대한 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적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제공하는 5사의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두 가지 자아에 대한 인지와 구매의도와의 연관성 여부를 밝히기 위하여 설문내용에 구매의도와 관련된 문항을 함께 제시하여 응답을 얻었다. 설문 분석결과, 사이버 자아에 대한 인지와 구매의도 간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ree Area Classification of LIDAR Data using Perceptual Cues (인지적 단서를 이용한 라이다데이터의 수목영역 분류)

  • Hwang, Se-Ran;Kim, Seong-Joon;Lee, Im-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94-295
    • /
    • 2010
  • 수목영역에서 획득된 라이다데이터는 수목의 높이 및 수목생체량과 같은 수목관련 정보추출에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형지물을 포함하고 있는 라이다데이터로부터 수목영역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수목에서 나타나는 라이다데이터의 다반사 특성, 높이 편차 및 방향성을 인지적 단서로 이용하였다 각 단서들은 먼저 후보영역을 분류하는데 이용되었으며, 수목이 밀집한 최종 수목영역 분류를 위하여 후보영역에 대한 이진영상을 생성한 후 영상처리를 수행하였다. 기준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 결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세 가지 인지적 단서에 의한 방법 모두 높은 분류 성공률을 보였다.

  • PDF

Personalized Resource Recommender System Based on Context-Aware in Ubiquitous Environments (유비쿼터스 환경에 상황 인지 기반 개인화 자원 추천 시스템)

  • Park, Jong-Hyun;Kang, Sun-Hee;Kang,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95-99
    • /
    • 2008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는 개인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이지 않는 수많은 자원들과 서로 연결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 받기를 원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유비쿼터스 지능 공간에 존재하는 자원들 사이의 공유가 필요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구는 새로운 연구 주제이다. 그러나 동일한 환경이라 할 지라도 각 사용자들의 상황은 서로 다르며 개인적인 성향 역시 다양하다. 그러므로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들이라 할 지라도 현재의 상황과 사용자 개개인의 개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자원이 다른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맞춤형 자원을 추천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의 상황을 인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온톨로지 기반 추론을 수행하고,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규칙들 이용한 규칙 기반 추론 방법을 수행한다.

  • PDF

Personalized Tour Guide Generation Techniques in 3D Virtual Environment (3D 가상환경에서 개인화된 투어 가이드 생성 기법)

  • Song, T.S.;Kim, H.K.;Choy, Y.C.;Lim, S.B.;Choi, B.K.;Suh, E.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111-115
    • /
    • 2006
  • 가상환경 탐색 항해 기법을 설계했다 3차원 가상환경은 입체적 시각 정보를 통해서 사용자가 가상환경을 현실로 받아들이고 마치 현장에 위치해 있는 것과 같은 감각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감각에 의지해서 사용자는 진지하고도 적극적으로 가상환경에 참여할 수 있다. 3차원 가상환경이 지닌 이러한 장점은 오락프로그램의 흥미 증진, 교육 및 군사훈련의 효과 향상, 의료분야의 신기술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3차원 가상환경은 현실 세계에 비해 빈약한 공간 인지 정보로 인해 자신의 위치를 인지하기 못하거나 원하는 목표물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가상환경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정보와 가상환경의 외부 정보를 토픽맵(Topic Map)에서 제시 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공간 인지 지식을 모델링 하였고, 현실세계에서 인간의 두뇌에서 이루어 지는 과정과 유사하게 3차원 가상환경 내에서도 길찾기기 가능하도록 인지맵(cognitive map)기법을 적용하여 처음 가상환경에 방문한 사용자라도 쉽게 목표물에 접근할 수 있는 개인화된 투어가이드 기법을 개발 하였다.

  • PDF

The empirical study for usability of digital contents interlocking system with metaphor of place (공간 메타포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온/오프라인 연동 시스템의 사용 편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 요소에 대한 실증적 연구)

  • Jeon, Seok-Won;Lee, Su-Jin;Kim, Jin-W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24-434
    • /
    • 2006
  • 최근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의 서버와 오프라인의 개인 컴퓨터 혹은 소형 정보기기에서 공유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과 서비스들이 출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사용자가 언제, 어느 곳에 있더라도 원하는 디지털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도입 초기에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저지르기 쉬운 기능 중심적 사고에 치우친 시스템인 경우가 많다. 이들 기능 중심적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해당 시스템을 어떻게 인지할 것인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는 결국 시스템의 사용 편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조적 메타포로 공간을 선택하였다. 사용자의 시스템 환경으로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그리고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과업으로서 관리/저장과 사용으로 시스템의 구조를 구분하였으며, 이상의 구분에 따라 공간의 메타포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디자인하였다. 이와 같이 구분한 시스템의 공간에 따라 사용자가 시스템에 대하여 갖는 관여도와 동기를 측정하였으며, 관여도의 수준과 동기의 차원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요소로서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는 색상들 사이의 대비 수준과 색상의 색조 차원을 규명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