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심리학

Search Result 28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xamining the interdisciplinary structure of Korean cognitive science through analyzing author affiliations and title words (연구자 소속과 표제어 분석을 통한 국내 인지과학 분야의 학제적 구조 파악)

  • Lee Jae-Yun;Jung Ju-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08a
    • /
    • pp.127-13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국내 인지과학 분야의 연구자 소속 정보와 논문의 표제어 분석을 통해 학제적 구조 파악을 시도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인지과학 분야에서 대표되는 학문 영역은 컴퓨터과학, 심리학, 언어학, 인지과학, 철학, 교육학, 의학, 경영학이었다. 두 시기(1기: 1989-1998, 2기: 1999-2003)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국내 인지과학 분야는 1기에서는 컴퓨터과학, 심리학, 언어학 순으로 우세한 학문분야가 나타났다. 이와 달리 2기에서는 심리학, 컴퓨터과학, 인지과학, 언어학의 순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컴퓨터과학의 비중이 초기에 가장 높다가 감소했다는 점에서 외국의 사례와 유사하지만, 외국에 비해서 언어학 분야 연구자의 비중이 다소 높은 것이 국내 인지과학 연구의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가 사용한 표제어를 분석한 결과 두 시기에서 모두 컴퓨터과학과 심리학은 인지과학분야에서 융합되기 보다는 독자적인 연구영역을 형성하였다. 또한 시기별 표제어 분석을 통해서 컴퓨터과학이나 심리학 소속 인지과학 연구자들의 관심사가 1기에서 2기로 넘어가면서 변화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ntributions of Psychology of Perception to Cognitive Science (인지과학의 지각 심리학적 기초)

  • Jung-OhKim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 no.2
    • /
    • pp.193-220
    • /
    • 1989
  • Major research themes, concepts, methodologies, and phenomena in the psychology of perception are reviewed in the present paper with an eye to exploring its possible contributions to methodological as well as theoretical development in cognitive science are proposed in this paper:Computational, intentional-descriptive, and eclectic. An emphasis is placed on how to propose issues in the psychology of perception from cognitive science views.Also explored in detail are possible ways to promote fruitful interactions among several fields in cognitive science, e.g., artificial intelligence, perceptual-cognitive psychology, and neuro-science.One approach is to consider psychology of perception's basic concepts, methodologies, and phenomena that call for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in neighboring fields in cognitive science.Finally discussed is what perception researchers should do in adoptiong a much briader view of perceptual structure and processes, that is, a cognitive science view.

Current Psychological Studies on Deductive Reasoning (연역추리에 관한 심리학 연구 동향)

  • Do, Kyung Soo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30 no.12
    • /
    • pp.26-34
    • /
    • 2012
  • 지금까지 간략히 살펴본 것처럼 심리학에서 연역추리를 연구하는 이론과 가정이 변화하고 있는데, 크게 네 가지 흐름으로 요약할 수 있다[2,6,7]. 가장 큰 변화는 연역 추리와 귀납 추리의 구분이 점차로 흐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변화는 연역 추리를 이해하는 관점이 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심리학에서 연역추리를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1960년대에는 사람들이 논리적인 사고를 하느냐에 관심이 모아졌다. 그러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연역추리를 하는 기제에 관한 심성 논리 이론과 심성 모형 이론 간의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내용효과와 같은 실용적 요인들에 대한 연구도 많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 들어서면서 연역추리를 정보 획득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확률적 접근, 연역 추리 과정을 heuristic 처리 단계와 분석적 처리 단계로 나누어 접근하는 이중 과정 이론이 등장하면서 기본적인 이론틀의 변화도 일어나고 있다. 세 번째 변화는 연역 추리를 문제 해결이나 의사결정과 같은 다른 인지 처리와 연결하려는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심리학의 다른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연역 추리에 관여하는 뇌 부위를 알아보는 뇌 영상 연구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런 연구들의 결과로 연역 추리 과정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가 증진되고 다른 인지과정과도 연동되는 종합적 이해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Comparative Study on Cognitive Scheme of Movement Verbs (이동동사의 인지 도식에 관한 비교 연구)

  • 오현금;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59-64
    • /
    • 2002
  • 인지심리학 및 인지언어학 분야에서 시도한 어휘 표상, 특히 움직임과 관련된 동사의 인지도식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인간의 언어학적인 지식을 도식적으로 표상 하고자 하는 노력은 언어의 통사적인 외형에만 치중하는 연구에서는 언어의 의미구조를 파악하기 힘들다고 판단하고 의미적인 범주화를 중요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이미지 도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미지 도식은 공간적 위치 관계, 이동, 형상 등에 관한 지각과 결부되어 있다. 이미지로 나타낸 표상은 근본적으로 세상의 인식과 세상에 대한 행동방법을 사용하게 하는 유추적이고 은유적인 원칙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언술을 발화한 화자는 어느 정도 주관적인 행동의 능력과 그가 인식한 개념화에서부터 문자화시킨 표상을 구성한다. 인지 원칙에 입각한 의미 표상에 중점을 둔 도식으로는, Langacker, Lakoff, Talmy의 도식이 있다. 프랑스에서 톰 R. Thom과 같은 수학자들은 질적인 현상에 관심을 가져 형역학(morphodynamique)이론을 확립하였는데, 이 이론은 요즘의 인지 연구에 수학적 기초를 제공하였다. R. Thom, J. Petitot-Cocorda의 도식 및 구조 의미론의 창시자라고 불리는 B.Pottier의 도식이 여기에 속한다 J.-P. Descles가 제시한 인지연산문법(Grammaire Applicative et Cognitive)은 다른 인지문법과는 달리 정보 자동처리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와 피연산자의 관계에 기초한 수학적 연산작용을 발전시켰다. 동사의 의미는 의미-인지 도식으로 설명되는데, 이것은 서로 다른 연산자와 피연산자로 구성된 형식화된 표현이다. 인간의 인지 기능은 언어로 표현되며, 언어는 인간의 의사소통, 사고 행위 및 인지학습의 핵심적 기능을 담당한다. 인간의 언어정보처리 메카니즘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기 때문에 언어정보처리와 관련된 언어심리학, 인지언어학, 형식언어학, 신경해부학 및 인공지능학 등의 관련된 분야의 학제적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Cognitive-social Model for Risk Perception of Terrorism (테러 위험지각의 인지-사회 모형)

  • Hyunju Lee ;Young-Ai Le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7 no.4
    • /
    • pp.485-503
    • /
    • 2011
  • This study was to develope a structural model for risk perception and individual response against terrorism, including several psychological factors -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factors. In this model we measured perceived probability of terrorism, perceived seriousness of the aftermath, and perceived coping(cognitive factors), trust in authorities, in expert group and in preparedness of institutions(social factors), fear and worry(emotional factors), individual preparedness,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analysis, and checking relational network(individual behavior responses). Major finding was that cognitive and social factors influenced on emotional factors and then emotional factors influenced on the individual responses. The perceived coping, which one of cognitive factors was linked with individual responses directly and indirectly via emotion factor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perceived coping in preparing for terrorism.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Function Learning System Applying Discovery Learning Theory (발견학습 이론을 적용한 웹 기반 함수 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So-Hee;Choi Seong-Man;Yoo Cheol-Jung;Chang Ok-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23-825
    • /
    • 2005
  • 기존의 인터넷과 컴퓨터 등의 발달로 교육현장에서도 많은 WBI (Web-Based Instruct ion)들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으나 교육사이트의 컨텐츠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행동주의 심리학에 근거를 둔 프로그램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 학습자에게 의미있는 학습을 유발시키기 보다는 제시된 정보의 기계적 재생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는 학습자의 외형적이고 기계적인 면보다는 학습자의 인지활동을 강조하는 인지론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인지심리학의 이러한 측면을 잘 반영하는 학습이론으로서 발견학습 이론을 들 수 있다. 발견학습을 적용시킨 모듈부분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활용하지 않고 그래프의 탐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므로 교사 개개인 수업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상의 모든 현장에서 교수-학습지도에 기절할 것이다.

  • PDF

The Difference in Pupil Size Responding to Cognitive Load and Emotional Arousal Questions between Guilty and Innocent Groups (유죄 및 무죄 집단 간 인지적 부하 및 정서적 각성 질문에 따른 동공크기의 변화의 차이)

  • Cho, Ara;Kim, Kiho;Lee, Jang-Han
    • Korean Journal of Forensic Psychology
    • /
    • v.11 no.2
    • /
    • pp.155-17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arousal and cognitive load on pupil diameter during a lie detection interview. The guilty group (n = 30) committed a mock crime (i.e., stealing cash) and the innocent group (n = 30) performed a mission (i.e., sending a message) in the research assistant's office. After that, their pupil size was measured using a wearable eye-tracker during the interview.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classified with the three cognitive load, three emotional arousal, and three neutral ques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in effects of group and time were not significant, but the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was significant. It means that when answering cognitive load questions, the guilty group showed larger increase in pupil diameter than the innocent group.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inducing cognitive load is more effective than inducing emotional arousal during an interview when using pupil diameter as an index of deception, and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lie detection.

  • PDF

Enhancing Empathic Reasoning of Large Language Models Based on Psychotherapy Models for AI-assisted Social Support (인공지능 기반 사회적 지지를 위한 대형언어모형의 공감적 추론 향상: 심리치료 모형을 중심으로)

  • Yoon Kyung Lee;Inju Lee;Minjung Shin;Seoyeon Bae;Sowon Hah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5 no.1
    • /
    • pp.23-48
    • /
    • 2024
  • Building human-align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r social support remains challenging despite the advancement of Large Language Models. We present a novel method, the Chain of Empathy (CoE) prompting, that utilizes insights from psychotherapy to induce LLMs to reason about human emotional states. This method is inspired by various psychotherapy approaches-Cognitive-Behavioral Therapy (CBT),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Person-Centered Therapy (PCT), and Reality Therapy (RT)-each leading to different patterns of interpreting clients' mental states. LLMs without CoE reasoning generated predominantly exploratory responses. However, when LLMs used CoE reasoning, we found a more comprehensive range of empathic responses aligned with each psychotherapy model's different reasoning patterns. For empathic expression classification, the CBT-based CoE resulted in the most balanced classification of empathic expression labels and the text generation of empathic responses. However, regarding emotion reasoning, other approaches like DBT and PCT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emotion reaction classification. We further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and alignment scoring of each prompt-generated output.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emotional context and how it affects human-AI communication. Our research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how psychotherapy models can be incorporated into LLMs,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ontext-aware, safe, and empathically responsive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