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강화

Search Result 64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learning Model Integrating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Dimensions for the Reinforcement of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s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 실천력 강화를 위한 지(知)·정(情)·의(意) 통합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 Lee, MaengHwa;Jung, BokMoon;Kim, YungSi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1 no.4
    • /
    • pp.13-21
    • /
    • 2008
  • Although education on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is increasingly being reinforc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mmoral and illegal behaviors online are not showing any sign of decrease. Because cognition- based education fails to lead students' practice on what they learn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teaching- learning model integrating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dimensions which had been developed on the elementary students' practice of information technology ethics. We verified the effect of achievement and practice through application this model to the school. To raise reliability we analysed the result of learning such as observation, analysis video data, homepage etc., and interview.

  • PDF

Outcomes from an education program operation to manage agricultural NPS pollution at a typical rural village (농촌마을 주민의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 역량강화 교육의 효과)

  • Jang, Jeong 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9-59
    • /
    • 2018
  • 최근 수질오염원 중에서 비점오염원의 영향 높아지고 있다. 특히, 농경활동에서 유래되는 비점오염원이 공공수역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은 관리대상 면적이 넓어 비점오염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하지만, 비점오염원에 대한 농업인과 주민들의 인식 부족으로 인하여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근래에 농업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 물리적 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전형적인 한국의 농촌 마을에서 농업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지도 향상과 자발적 저감활동 실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개발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이 교육 대상자인 농업인, 주민, 마을지도자의 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농업인과 지역주민, 마을리더의 인문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통과정과 맞춤형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농업인은 농업비점오염 저감에 적용할 수 있는 시비관리와 배수 물고관리, 영농폐기물 관리, 친환경농업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을주민은 고령화된 여성의 비율이 높은 것을 고려하여 분리수거, 쓰레기 문단투기 및 소각, 마을 미래상과 환경실천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마을리더에게는 공동체 활성화 리더쉽, 주체적 주민참여, 갈등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공통적으로는 비점오염원과 농업 비점오염원의 정의와 유형, 마을환경관리 실천활동, 친환경농업 선진지 견학으로 구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2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마을별로 방문하여 진행하였다. 농촌 마을에서 농업비점오염원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전의 소극적 참여의사에서 적극적인 활동 참여로 발전하였으며,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식 및 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다. 농업 비점오염원 보다는 일반적인 비점오염에 대한 인지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지역에서 농업비점에 대한 인식 변화가 저감활동 실천으로까지 이루어지는 가시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장기간이 소요됨을 시사하였다.

  • PDF

Effects of Oral Vitamins o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비타민 보충제 영양강화요법이 경도인지기능장애 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 Lee, Hye-K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8
    • /
    • pp.294-303
    • /
    • 2017
  •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the prevalence of various geriatric chronic diseases and dementia diseases is also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dementia is becoming a major concern of our society. In this study, 48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located in K district were selected from a group of experimental groups in one building and a control group in one building and evaluated for blood homocysteine levels and cognitive function changes after 4,8, and 12 weeks of taking vitamin supplements. The Chi-squared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contrast test, repeated measures ANCOVA, and Wilks' lambda test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12 weeks (p<0.05), and so, the experimental group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1), the effect of taking vitami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dicating that homocysteine was decreased relative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vitamin supplements may prevent decreases in cognitive functions and dementia among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mage Recognition and Clustering for Virtual Reality based on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가상현실 기반 인지재활 콘텐츠를 위한 영상 인식 및 군집화)

  • Choi, KwonTae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7
    • /
    • pp.1249-1257
    • /
    • 2017
  •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n aged society,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pply virtual reality to medical field. Research on dementia is especially active. This paper proposes virtual reality based on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using image recognition and clustering method to improve cognitive and physical disabilities caused by dementia. Unlike the existing cognitive rehabilitation system, this paper uses travel photos that reflect the memories of the subjects to be treated. In order to generate automated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we extract face information, food pictures, plac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from photographs, and normalization is performed for clustering. And we present scenarios that can be used as cognitive rehabilitation contents using travel photos in virtual reality space.

Reinforcement Learning based Multi-Channel MAC Protocol for Cognitive Radio Ad-hoc Networks (인지무선 에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강화학습기반의 멀티채널 MAC 프로토콜)

  • Park, Hyung-K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7
    • /
    • pp.1026-1031
    • /
    • 2022
  • Cognitive Radio Ad-Hoc Networks (CRAHNs) enable to overcome the shortage of frequency resources due to the increase of radio services.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primary user in CRANH, channel sensing to check the idle channel is required, and when the primary user appears, the time delay due to handover should be minimized through fast idle channel selection. In this paper, throughput was improved by reducing the number of channel sensing and preferentially sensing a channel with a high probability of being idle,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In addition, we proposed a multi-channel MAC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that can minimize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with the primary user by sensing the channel at the time of data transmission without performing periodic sensing. The performanc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larm System in EMS based on RBAC (RBAC 기반의 EMS 알람 시스템)

  • KANG, DONG HYUN;Kim, Tae Ho;Myung, Jinhe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177-1179
    • /
    • 2012
  • 최근 전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서, 전력 수급을 관리하는 EMS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력 수급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력 계통의 상태변화에 따라 급전원에게 실시간 알람을 발생시켜주는 알람 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EMS 의 알람 시스템은 알람 인지자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고 알람 발생 여부를 알려주고 인지함으로써 보안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RBAC 기반의 EMS 알람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을 통해 EMS 의 알람 시스템은 허가된 급전원에게만 알람 발생 여부를 알려주고 알람을 수신한 급전원이 직접 알람을 인지하도록 한다. 또한, 수신한 급전원이 원거리에 위치할 경우, 근거리 급전원에게 알람의 인지를 위임함으로써 알람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한다.

FuzzyQ-Learning to Process the Vague Goals of Intelligent Agent (지능형 에이전트의 모호한 목적을 처리하기 위한 FuzzyQ-Learning)

  • 서호섭;윤소정;오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71-273
    • /
    • 2000
  • 일반적으로, 지능형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목적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최적의 행동을 스스로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에이전트의 목적이나 주위 환경이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경우, 에이전트는 적절한 행동을 선택하기 어렵다. 그러나, 사용자의 목적이 인간 지식의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언어값으로 표현되었을 경우, 이를 처리하려는 연구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모호한 사용자의 의도를 퍼지 목적으로 나타내고, 에이전트가 인지하는 불확실한 환경을 퍼지 상태로 표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 퍼지 목적과 상태를 이용하여 확장한 펴지 강화 함수와를 이용하여, 기존 강화 학습 알고리즘 중 하나인 Q-Learning을 FuzzyQ-Learning으로 확장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농산업 예비창업자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 정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변은희;허철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101-116
    • /
    • 2023
  • 본 연구는 농산업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자기결정성정도를 조절변수로 하여 창업환경과 창업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창업환경을 인지된지원과 인지된장벽으로 구분하고 창업역량의 하위변수를 창의성, 문제해결, 의사소통, 마케팅 및 사업계획서를 하위변수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253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v25.0과 Process macro v4.2를 이용한 분석결과는 첫째, 창업환경의 인지된지원과 인지된장벽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창업역량의 창의성, 문제해결, 마케팅 및 사업계획서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나 의사소통이 미치는 영향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성정도는 창업환경의 인지돤지원 및 인지된장벽과 농산업 창업의도 간을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자기결정의 수준은 창업 환경과 창업 의도 사이의 관계에는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셋째, 자기결정성정도는 창업역량의 창의성, 문제해결, 의사소통, 마케팅 및 사업계획서와 창업의도 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자기결정성정도가 커질수록 창의성, 문제해결, 마케팅 및 사업계획서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정(+)의 방향으로 강하게 하는 강화작용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자기결정성정도가 커질수록 의사소통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가 약해지는 자기결정성정도가 완화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로는 창업환경과 창업역량을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의 탐색과 새로운 매개변수와 조절변수가 포함된 조건부과정모형을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 Design on Error Tracking System for Enhanced-Reliable IoT Service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신뢰성 강화를 위한 오류 추적 시스템 설계)

  • Lim, Ho-Seung;Choi, Chang-Wo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6 no.3
    • /
    • pp.15-20
    • /
    • 2020
  • In this paper, an error tracking platform is designed for enhanced-reliable IOT system. The platform is designed to enhance reliability of IOT system by analysing additional informations(OS, Browser, Device) and by notifying error detection to developers. Especially, in the case of an error in the service which it is difficult for developers to recognize it, The platform also supports notification services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media(Email, Slack, SMS). The common interface is designed to accommodate many languages(typescript, Swift, and Android)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interface allows users to analyze errors that occur on various platforms, including mobile/web/desktop applications. By presenting each error in groups through issues, developers can easily identify issues in the service. The visualizing function is included to recognize various error type by dash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