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강화

Search Result 64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In Focu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Daegu and Kyeongsangbuk - (사회복지생활시설(社會福祉生活施設) 조직문화(組織文化)에 따른 사회복지사(社會福祉士)의 역량강화(力量强化) - 대구.경북지역(大邱.慶北地域) 사회복지생활시설(社會福祉生活施設)을 중심(中心)으로 -)

  • Park, Joong-Hho;Kim, In-Soo;Byun, Sang-H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12
    • /
    • pp.301-309
    • /
    • 2008
  •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or not in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e.g. individual's business-oriented, business relationship, and compens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such as community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easonableness culture. By means of survey, this research targeted the social worker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culture types that social workers recognize are sorted into community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y culture, and reasonableness culture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Kimberly and Quinn (1984).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ividual’s business-oriented, business relationship, and compens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zation culture.

An Integrativ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국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 Kim, Doo R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5
    • /
    • pp.243-25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vidences for developing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y integrative review and analyze. An integrative review concept analysis method was us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relevant studies were 11, which are related to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quality of stduies were two groups nonrandomized studies were 9, and one group nonrandomized studies were 2.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program studies for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4 in cognitive training program, 6 in exercise program, and 1 in music program. The efficacy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as different by studies, and we need further studi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Cognitive Map Analysis on the Policy of SMEs and Ventur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통신분야 중소벤처기업 지원정책에 관한 인지지도 분석)

  • Lee, Jungmann;Hwang, Gue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347-355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President Lee's speeches of Korea and the policy of SMES and ventur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using cognitive map analysis.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olicy tool variables and policy goal variables was employed to derive policy direction of IT SMEs and ventures. This paper suggests growth competence reinforcement, investment revitalization, revitalization of start-up companies, enhancement of technology competition, globalization and job creation to the policy direction of IT SMEs and ventures.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a cognitive map on the policy vision of SMEs and venture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is cognitive map could be characterized by a scarcity of feedback loops and a strong emphasis on the positive loops in the structure of virtuous circle.

Effect of the Laughter Therapy Combined with Cognitive Reinforc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한 웃음요법병합 인지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 Ji, Eunjoo;Kim, Oksoo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 /
    • v.26 no.1
    • /
    • pp.34-4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ughter therapy and cognitive reinforc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s (MCI).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design. Thirty-six subjects over the age of 65 with a diagnosi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assigned either to a treatment or a comparison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7 to March 27, 2012 in the dementia supporting center. An eight week treatment program that included laughter therapy coupled with a cognitive reinforcing program including hand exercise, laughter dance routine, laughter technic and cognitive training for attention, memory, orientation and execution skill. Results: MoCA-K (t=-6.86, p<.001) and Stroop test CW correct (t=-2.54, p=.008), self-efficacy (t=-3.62, p=.001) in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Reported depression (t=2.29, p=.014), Stroop test CW error (U=53.50, p<.001) in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comparison group.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treatment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cognitive function and reduc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MCI.

Investigation of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생물 분류 탐구에서 과제 집착의 인지적 모형 규명)

  • Kwon, Seung-Hyuk;Kwon, Yong-Ju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7 no.1
    • /
    • pp.170-18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To achieve this goal, first, this study analyzed several literatures on task commitment in biology inquiry, and invented the tentative model of the task commitment. To investigate a tentative model invented, 2 main tasks were developed. These tasks were administered to 8 high-school students, first grade. Raw protocols were collected by thinking aloud method and a retrospective interview method. Collected protocols were converted to segmented protocols and coded by analyzing frame based invented model. The codes were analyzed. As a result, some problems were discovered, tentative model were revised. New analyzing frame based on Improved model were composed, and raw protocols were re-analyzed. Finally, a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was investigated. The investigated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was constructed 3 steps, 'Task commitment Induction', 'Task commitment Reinforcement', 'Task commitment Maintenance'. And each steps were consisted of several sub-factor. And commitment component were changed in each steps. Through this results, base information for strategy that improvement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is provided. Furthermore, the cognitive model of task commitment on biology classification inquiry will assist on evaluation and feedback by stage on task commitment.

  • PDF

A basic framework of congitive task analysis for identifying operator's task requirements in nuclear power plants

  • 이용희;김상훈;윤완철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10a
    • /
    • pp.27-36
    • /
    • 1995
  •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공정제어(process control) 체계에서 운전원의 수행도는 인터페이스에서 인간과 기계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신뢰도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전 체 체계의 효용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체계의 설계에서는 감시제어(supervisory control) 기능의 설계요건 설정과 평가과정에서 체계의 주도자인 인간의 특성을 반영하여 직무수행의 신뢰도를 확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기계 체 계의 설계과정에서 운전원의 직무수행도를 보장하도록 직무요건(task requirements)을 도출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직무요건을 파악하는 과정을 일반적으로 직무분석(task analysis)이라고 하는데, 적합한 직무분석 기법의 확보가 중요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기존의 직무분석 기법들을 조사하여 대표적인 기법들과 주요 기술 동향을 검토하였으며, 직무의 인지적인 측면 파악을 중심으로한 새로운 기법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방향에 따라 인지적인 측면의 분석을 강화하고 원자력발전소 운전원의 직무분석에 적합한 인지적 직무분석 기법의 기본체계 (basic framework)를 제안하였다.

  • PDF

Context-Aware Role-based Access Control in an Ubiquitous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상황 인지 역할 기반 접근 제어)

  • Hyun,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05-20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상황 인지 역할 기반 접근 제어(CA-RBAC: Context-Aware Role-based Access Control) 모델을 제안한다. 이 모델의 설계는 이러한 응용에서 상황 기반 접근 제어 요구사항에 의해 안내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은 역할에서 사용자의 멤버쉽(memership), 역할 멤버에 의한 수행을 허용하는 것과 하나의 응용 환경에서 상황 기반 서비스 통합과 관련된다. 상황 정보는 역할 멤버에 의한 수행을 허용하는 것과 관련된 정책과 역할 멤버에 의해 역동적으로 인터페이스되는 서비스의 접근과 관련된 정책인, 역할 허용 정책에서 사용되어진다. 상황 정보의 역동적인 속성은 어떤 상황 조건이 유지되는데 실패했을 때, 허용 활동과 역할 멤버쉽의 해제를 위한 모델 수준의 지원을 요구한다. 이러한 모델을 근거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지 응용을 구축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를 표현하고 상황 기반 접근 제어 요구 사항을 명시하고 강화하는 메커니즘(mechanism)을 제공한다.

Context-aware entity link framework using wikidata (wikidata를 이용하는 상황 인지 엔티티 링크 프레임워크)

  • Jang, SeoYoon;Park,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587-589
    • /
    • 2020
  • 사용자의 관심사를 고려하면 상황 인지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 기존의 사용자의 관심사를 고려하는 서비스에는 지식베이스(KB)가 사용 되었으나, 최근 새로운 방법인 wikidata를 이용한 엔티티 링크를 활용한 방법도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wikidata가 적용된 엔티티 링크는 기존의 KB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데이터의 변경, 보완이 쉽고 가볍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wikidata가 적용된 엔티티 링크 모델을 이용한 상황인지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PDF

정보통신 연구개발 주요 성과와 과제

  • Lee, Seong-O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
    • /
    • pp.12-18
    • /
    • 2008
  • 참여정부 들어 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은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회복하고 국민소득 2만불을 달성하기 위한 IT산업 육성정책으로 'IT839전략'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선진국형 R&D 발전모델 제시, IT R&D사업의 연구생산성 미국 공공연구기관 수준으로 제고,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1년 이상 단축('03년 2.6년${\rightarrow}$'06년 1.6년), 총 111건의 국제표준특허 기술 확보, 기술개발 결과로 발생한 특허, 논문, 기술료 성과 큰 폭 증가 등의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세계 IT 시장을 보면 선진국의 견제는 강해지고 후발국의 추격은 가속화되고 있으며, IT기반 융합기술연구 및 지재권 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를 인지하고 이를 발판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기초 원천"연구를 강화하는 동시에 응용기술에 있어서는 quot;상용화quot;의 수준을 높이는 ${\ulcorner}$Smile IT 전략${\lrcorner}$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전략의 주요내용은 첫째, IT융합연구 강화 둘째, 기술의 창의성 혁신성을 기반으로 한 미래원천기술 투자비중 확대 셋째, 융합연구와 원천기술 연구를 촉진할 수 있는 R&D 프로세스 개선 넷째, 융합 및 원천연구를 수행할 산 학 연의 연구역량을 강화 하겠다는 것이다.

The study on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expansion of the intelligent agent (지능형 에이전트의 환경 적응성 및 확장성에 대한 연구)

  • 백혜정;박영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6-138
    • /
    • 2003
  • 로봇이나 가상 캐릭터와 같은 지능형 에이전트가 자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주어진 환경을 인식하고, 그에 맞는 최적의 행동을 선택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지능형 에이전트를 구현하기 위하여, 외부 환경에 적응하면서 최적의 행동을 배우고 선택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강화 학습을 이용한 행동기반 학습 방법과 기호 학습을 이용한 인지 학습 방법을 통합한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외부 환경의 적응성을 수행하기 위하여 강화 학습을 이용하였으며. 이는 지능형 에이전트가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둘째. 경험들에서 귀납적 기계학습과 연관 규칙을 이용하여 규칙을 추출하여 에이전트의 목적에 맞는 환경 요인을 학습함으로 주어진 환경에서 보다 빠르게, 확장된 환경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행동을 선택을 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통합방식은 기존의 강화 학습만을 고려한 학습 알고리즘에 비하여 학습 속도를 향상 시킬수 있으며, 기호 학습만을 고려한 학습 알고리즘에 비하여 환경에 유연성을 가지고 행동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