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증 프레임워크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Digital Identity Interchange Framework for User-Centric ID Management (사용자 중심의 ID 관리를 위한 디지털 ID 공유 프레임워크)

  • Cho, S.R.;Jin,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6
    • /
    • pp.102-111
    • /
    • 2008
  • 본 고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ID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정의하고 있다. 프레임워크에는 또한 ID 정보 공유시 문제가 될 수 있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자기통제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있다.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기능에는 ID 및 크리덴셜 관리, ID 공유 및 동기화, 인증, 인가, 그리고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등이 있다.

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 between Clients with Different Passwords (서로 다른 패스워드를 가진 사용자간의 패스워드 인증 키 교환 프로토콜)

  • 변지욱;정익래;이동훈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3 no.1
    • /
    • pp.27-38
    • /
    • 2003
  • Most 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 schemes in the literature provide an authenticated key exchange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based on a pre-shared password. With a rapid change in modem communication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ecure end-to-end channel between clients, which is a quite different paradigm from the existing on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ramework which provides a password-authenticated ky exchange between clients based only on their two different Passwords without my Pre-shared secret, so called Client-to-Client Password-Authenticated Key Exchange(C2C-PAKE). Security notions and types of possible attacks are newly defined according to the new framework We prove our scheme is secure against all types of attacks considered in the paper. Two secure C2C-PAKE schemes are suggested, one in a cross-realm setting and the other in a single-sorrel setting.

전자금융 통합인증기술의 국내외 표준화 동향

  • Jeong, Yeong-Gon;Kim, Geun-Ok;Sim, Hui-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5
    • /
    • pp.27-33
    • /
    • 2014
  • 오늘날 사람들은 PC, 테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자금융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다. 이렇게 전자금융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지만, 사용자의 금융정보도 온라인을 통해 전송되고 있어서 이를 노린 다양한 해킹위협에 노출 되어 있다. 더욱이 금전적 이득을 노리고 불법적으로 금융정보를 탈취하는 등의 전자금융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악의적인 목적의 다양한 해킹공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해킹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OTP, 보안카드 등의 인증매체를 사용하고 있으나, 여러 서비스 제공자에 접속하기 위하여 다수의 인증매체 를 발급해야 하는 불편이 뒤따르고 있어 통합인증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외 표준화 기구에서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는 전자금융 통합인증기술은 스마트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인증기술을 통합하여, 사용자와 여러 서비스 제공자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통합인증기술은 크게 여러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를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와 사용자인증 등에 필요한 OTP, BIO 등 다양한 요소 인증기술, 그리고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보안 요구사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인증 프레임워크, 요소 인증기술, 보안 요구사항의 국내외 표준을 분석하고 표준화의 동향을 알아봄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통합인증기술을 전망해본다.

Development of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Framework and Genuine Distinction Algorithm Using Design QR Code (디자인 QR코드 기반 정품인증 프레임워크 및 정품판별 알고리즘 개발)

  • Heo, Gyeongyong;Lee, Imgeun;Park, Some Sick;Woo, Young W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0 no.6
    • /
    • pp.13-20
    • /
    • 2015
  • A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framework and genuine distinction algorithm based on design QR code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framework consists of design QR code, a smart phone application for authentication, and a server system. Design QR code is a shape-modification of conventional QR code according to manufacturer's and/or product's need. In the design QR code, information about manufacturer and product is written. The written information can be read with general QR code reader, however, the content is transformed with authentication code, used in the first step authentication, and the meaning cannot be inferred. The application conducts the first step authentication and sends the resulting information to the server system for the second step authentication. The server system decides the genuinity using look-up history. The proposed framework can improve the authentication effect while minimizing the additional costs by managing the history through the server system. The proposed framework has proven to be effective in actual use, such as that used for the management of garbage bags in Ansan city.

A Study on Robust Security Service in Wireless LAN (무선랜 환경에서의 보안서비스 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 Hong, Seong-Pyo;Shin, Myeong-Sook;Lee, Cheol-Seung;Lee,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999-1002
    • /
    • 2005
  • IEEE 802.11b의 사용자 인증 취약성을 보완한 프레임워크인 IEEE 802.1x는 EAP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인증 메커니즘을 지원한다. 그러나 IEEE 802.1x 역시 인증 프로토콜의 구조적 원인에 의한 서비스 거부 공격과 AP에 대한 인증 및 암호 메커니즘의 부재로 세션 하이재킹 및 중간자 공격 등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x 프레임워크의 서비스 거부, 세션 하이재킹 및 중간자 공격에 대한 취약성을 보완하여 강화된 사용자 인증 및 안전한 암호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랜 보안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Certification and Audit of ASP (ASP 인증ㆍ감리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안재근;양정환;임춘성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0.08a
    • /
    • pp.255-263
    • /
    • 2000
  • 네트워크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임대해주는 정보시스템 서비스 모델인 ASP 모델이 IT 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ASP 모델은 기존의 정보시스템 모델에 비해 특정 서비스에 많은 서비스제공자가 임시적으로 결합되고, 정보자산이 공중망과 데이터센터에 위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ASP 서비스를 성공적인 수행하기 위해서는 ASP 사업자가 서비스의 제공능력이 있는지에 대한 인증활동과 ASP 서비스 도입 및 운영과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감리활동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ASP의 특징을 분석하고, ASP 인증ㆍ감리 프레임워크를 설계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분류기준을 기술적 계층, 수명주기, 공급자/고객의 관점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정의하며, 각각의 세부항목 및 내용을 정의하고자 한다.

  • PDF

A Framework for Establishing Cloud Service Certification Systems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제도 수립을 위한 프레임워크)

  • Seo, Kwang-Kyu
    • Informatization Policy
    • /
    • v.18 no.1
    • /
    • pp.24-44
    • /
    • 2011
  • The evolution of cloud computing over the past few years is potentially one of the major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However, if cloud computing is to achieve its potential, there needs to be a clear identifi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issues involved, both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providers and the consumers of the technology. While a lot of research is currently taking place in the technology itself, there is an equally urgent need for understanding the business-related issues surrounding cloud computing service. As more and more information on individuals and companies are placed in the cloud service, concerns are beginning to grow about just how safe and reliable an environment it i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loud servi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ertification systems to ensur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cloud services. This paper provides a safe and reliable framework for cloud service certification systems. In order to develop it, the critical issues related to service quality and certification of cloud services have been identified and the systematic framework for certification systems of cloud services and service provider domains have been developed. An evaluation method for the developed certification systems is also proposed.

  • PDF

국내외 OTP 표준화 동향

  • Song, Seong-Hyeon;Kim, Keun-Ok
    • Review of KIISC
    • /
    • v.22 no.2
    • /
    • pp.30-36
    • /
    • 2012
  • OTP는 사용할 때마다 매번 새롭게 생성되는 일회용 비밀번호로, 전자적 해킹 위협의 증가로 강한 인증을 필요로 하는 산업계의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OTP 기반 인증 기술이 금융, 전자정부, 게임, 포털사이트 등에 적용되었으며, 싱가포르는 국가 차원에서 OTP 발생기를 이용해 국가인증 프레임워크(NAF, National Authentication Framework)를 개발하여 서비스 준비 중에 있다. 이와 같이 OTP는 그 사용 범위가 날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듯 OTP 통합인증 프레임워크나 OTP기반 부인방지 기술 등의 표준화가 국내 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에서 제정되었거나 진행 중인 OTP 표준을 소개하고 대표적인 표준을 분석 및 정리하여 OTP 표준화 동향을 알아봄으로써 OTP 기술 및 표준의 개발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Smart Centralized Remote Security Service Provisioning Framework for Open ICT Environment (개방형 ICT 환경을 위한 집중식 원격 보안 서비스 프로비저닝 프레임워크 구성 방안)

  • Park, Namj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6 no.2
    • /
    • pp.81-88
    • /
    • 2016
  • Machine-to-Machine (M2M) communication provides each component (machine) with access to Internet, evolving into the IoT technology. IoT is a trend where numbers of devices provide the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Internet protocol. As spreading the concept of IoT(Internet of Things), various objects become home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the wide spread of various devices, it is difficult to access data on the devices with unified manners. Under this environment, security is a critical element to create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and service. In this paper propose the inter-device authentication and Centralized Remote Security Provisioning framework in Open M2M environmen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this task is carried out by protecting it with the latest information on M2M / IoT and designed to provide the ultimate goal of future M2M / IoT optimized platform that can be integrated M2M / IoT service security and security model presents th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