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증 프레임워크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6초

서비스 융합 네트워크를 위한 5G의 보안 전략: EAP 인증 프레임워크

  • 윤건;박훈용;유일선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1-61
    • /
    • 2019
  • 보안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5G 보안의 중요한 표준으로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보안 담당 워킹그룹인 SA3는 3GPP 5G 보안구조를 제시하였다. 특히, 3GPP 5G 보안구조는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 인증 프레임워크를 채택함으로써 이기종의 다양한 인증 기법과 자격증명을 용이하게 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었다. 서비스 융합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5G의 비전을 고려할 때, EAP 인증 프레임워크는 보안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GPP 5G 보안구조를 위한 EAP 인증 프레임워크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1차 인증을 위한 EAP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 EAP-AKA'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1차 인증에서의 EAP 인증 프레임워크 적용방안을 분석한다. 아울러, 2차 인증을 위한 EAP 인증 프레임워크의 적용과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과의 연동을 살펴본다.

OAuth 2.0 기반 CoAP 인증 프레임워크 연구 동향 및 제안

  • 김경한;임현교;허주성;한연희
    • 정보와 통신
    • /
    • 제33권12호
    • /
    • pp.41-47
    • /
    • 2016
  • 최근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보안 측면에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 해결책으로서 IETF ACE 워킹 그룹이 기존의 OAuth 2.0 기반으로 여러 제약적인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보안 프레임워크인 ACE 프레임워크 표준을 제정 중에 있다. 본 고에서는 우선 OAuth 2.0 기반 사물인터넷 인증 프레임워크 연구 동향에 대해 소개하고, 새로운 OAuth 2.0 기반 CoAP 인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디지털 인증 분류 프레임워크의 개발과 적용: 상황적 관점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Digital Certificate Classification Framework: A Configuration Perspective)

  • 김창수;딜셔드가푸로프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107-123
    • /
    • 2009
  • 본 논문은 현재 전자거래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인증 기술에 대하여 초점을 집중하고 있다. 즉, 현재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디지털인증 기술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의 개발과 적용 그리고 시사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인증의 상황적인 흐름을 제공자에서부터 사용자까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크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이어서, 디지털인증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와 주요 요소기술 클래스 그리고 인증유형과 수준에 근거하여 디지털인증 분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인증 분류 프레임워크를 베리사인의 디지털 인증 메커니즘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실제 사례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디지털인증 분류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결과 디지털 인증 기술의 세부적인 분류와 응용을 이해하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강점과 약점 그리고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신뢰된 유비쿼터스 인증환경을 위한 u-인증 프레임워크

  • 김영준;황보성;김정희;백종현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32
    • /
    • 2008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IT서비스에 사람뿐만 아니라 기기 및 사물 등이 참여하고 다양한 인증수단이 사용된다. 하지만, u-IT서비스에 참여하는 개체에 대한 신뢰된 인증환경이 없다면 유비쿼터스 사회의 전체 신뢰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신뢰된 인증 환경 조성을 위한 프레임워크로서 u-lT 서비스에 인증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절차와 u-lT 서비스 위험평가 방법 및 인증수단 선택기준 등의 보안요구사항을 제시한다.

OAuth 프레임워크의 취약점 개선을 위한 클라우드 및 생체인증 기술 활용 방안 (Utilization of Cloud and Biometrics to improve Vulnerability of OAuth Framework)

  • 박진성;이창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92-295
    • /
    • 2018
  • Open API의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대형 포털사이트 및 대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입력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Third-party application)의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 서비스들이 정보 제공자에게 개인정보를 요청할 때, 외부 서비스가 권한 부여를 받은 정당한 요청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OAuth 인증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그러나 외부 서비스가 유효한 요청을 하고 있음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엑세스 토큰을 탈취하면 이를 이용하여 로그인 과정을 우회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또한 쉽게 취득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OAuth 인증 프레임워크에 2차적인 인증과정을 추가하여 엑세스 토큰의 탈취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계정정보와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UMTS 3세대 이동망 보안 아키텍쳐의 인증 토큰을 이용한 IEEE 802.1X 프레임워크의 보완 (Supplement IEEE 802.1X with UMTS 3G Security Architecture Authentication Token)

  • 송창열;조기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1)
    • /
    • pp.553-555
    • /
    • 2002
  • 인증(Authentication)과 암호화 키(Key) 운용 방법론은 통신 서비스 고려시 소홀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사용중인 IEEE 802.11 기술에서도 이와 같은 보안 지원에 문제가 있음이 명백히 드러나고 있다. 포트 컨트롤을 통하여 접속 지점에서부터 통신을 제어하는 IEEE 802.1X는 이를 위한 적절한 보안 해결책이 되고 있고, IEEE 802.11 WGi는 802.1X를 기초로 하는 RSN(Robust Security Network)울 위한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IEEE 802.1X 프레임워크에서 상호 인증과, 키 분배 및 갱신 정책은 채택하는 인증 프로토콜에 강하게 의존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MTS 보안 아키텍처의 인증 토큰(Authentication Token)을 추가하여 IEEE 802.1X 프레임워크에 상호 인증 및 키 갱신 구조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 PDF

갱신 아이디를 이용한 AAA지역 인증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AA Regional Authentication using renewal ID)

  • 강서일;이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172-174
    • /
    • 2005
  • AAA의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노드에 대한 인증 방식이 연구 진행되어지고 있다. AAA의구조에서는 홈임증서버가 다른 네트워크망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때 모바일 노드가 인증을 받고 나서 또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면 다시 홈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단 하나의 ID와 패스워드를 통해 홈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난 후에는 다른 서버로 이동하더라도 인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제안 방식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홈 네트워크의 인증을 받아 오면 다른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시 홈네트워크 인증 및 이전의 외부 네트워크의 인증을 제공하여 다시 홈네트워크로 접근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갱신 아이디를 사용함으로 인해 서비스가 제공된다.

  • PDF

데이터 리포지토리의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CoreTrustSeal 인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olicy Framework of Data Repository: Focusing on CoreTrustSeal Certification)

  • 이혜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119-13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터 리포지토리가 갖추어야 할 디지털 보존 정책의 필수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디지털 보존 정책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3년도에 CoreTrustSeal에서 인증을 받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들의 디지털 보존 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각 구성요소에서 어떠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연구 결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지털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는 CoreTrustSeal에서 인증을 받고자 하는 기관들뿐만 아니라 CoreTrustSeal 인증을 신청할 계획이 없는 국내외 기관들에서도 그들의 디지털 보존 정책을 개발할 때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그리드 보호를 위한 AMI 망 분리 및 인증 프레임워크 (Separate Networks and an Authentication Framework in AMI for Secure Smart Grid)

  • 최재덕;서정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25-53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그리드 통신망 보호를 위한 AMI 망 분리와 인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기존 AMI 구조에서는 기기들이 직 간접적으로 인터넷과 연계되어 있고, AMI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제어 인증을 고려하지 않아 악의적인 목적의 전력망 침투 공격에 취약하다. 또한 AMI 전력망에 존재하는 여러 인증 구간과 AMI 연계장치에 다양한 인증 프로토콜을 수용해야 하는 환경을 고려한 효율적인 인증 프레임워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제안하는 AMI 전력망 분리는 스마트미터를 댁내 기기 및 인터넷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인증 프레임워크는 네트워크 및 응용레벨 인증을 EAP 기반의 인증 구조 및 절차로 통합한다. 제시된 AMI 전력망 보안대책은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향후 스마트그리드 AMI 구축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게임품질인증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ame Quality Certification Framework)

  • 황석주;박진호;이남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442-444
    • /
    • 2005
  • 최근 들어 게임 산업이 발전하고, 게임과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게임품질인증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어가고 있다. 게임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추가한 게임 산업이 미래의 핵심산업으로 주목 받기 시작하였으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 및 장치의 제공이 미흡하여 게임 및 콘텐츠 품질인증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게임의 품질인증을 위한 프레임워크에 대한 기초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품질인증 모델, 절차, 시스템 구축 및 운용 방안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