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증 프레임워크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서비스 융합 네트워크를 위한 5G의 보안 전략: EAP 인증 프레임워크

  • Yun, Keon;Park, Hoon Yong;You, Ilsun
    • Review of KIISC
    • /
    • v.29 no.5
    • /
    • pp.51-61
    • /
    • 2019
  • 보안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5G 보안의 중요한 표준으로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보안 담당 워킹그룹인 SA3는 3GPP 5G 보안구조를 제시하였다. 특히, 3GPP 5G 보안구조는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 인증 프레임워크를 채택함으로써 이기종의 다양한 인증 기법과 자격증명을 용이하게 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었다. 서비스 융합 네트워크를 지향하는 5G의 비전을 고려할 때, EAP 인증 프레임워크는 보안측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GPP 5G 보안구조를 위한 EAP 인증 프레임워크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1차 인증을 위한 EAP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 EAP-AKA'을 면밀히 검토하면서 1차 인증에서의 EAP 인증 프레임워크 적용방안을 분석한다. 아울러, 2차 인증을 위한 EAP 인증 프레임워크의 적용과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과의 연동을 살펴본다.

OAuth 2.0 기반 CoAP 인증 프레임워크 연구 동향 및 제안

  • Kim, Gyeong-Han;Im, Hyeon-Gyo;Heo, Ju-Seong;Han, Yeon-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12
    • /
    • pp.41-47
    • /
    • 2016
  • 최근 사물인터넷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보안 측면에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그 해결책으로서 IETF ACE 워킹 그룹이 기존의 OAuth 2.0 기반으로 여러 제약적인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보안 프레임워크인 ACE 프레임워크 표준을 제정 중에 있다. 본 고에서는 우선 OAuth 2.0 기반 사물인터넷 인증 프레임워크 연구 동향에 대해 소개하고, 새로운 OAuth 2.0 기반 CoAP 인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Digital Certificate Classification Framework: A Configuration Perspective (디지털 인증 분류 프레임워크의 개발과 적용: 상황적 관점)

  • Kim, Chang-Su;Gafurov, Dilshodjo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1 no.3
    • /
    • pp.107-123
    • /
    • 2009
  • In this paper, we review digital certificate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s in e-commerce. Current digital certificate technologies are evaluated and their importance is explained. The configuration of certificate flows from providers to users through software, hardware, and network technologies is described. These five domains and the configuration of digital certificate flows guide our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certificates. We then develop a framework for the classification of digital certificates that integrate these five domains with VeriSign's types and levels of assurance.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dequacy of our digital certificate classification framework, we populated it with VeriSign's digital certificates. Within each domain, VeriSign's classes of digital certificates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VeriSign type and level of assurance.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uggest that the framework is a useful step in developing a taxonomy of digital certificate technologi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nd opportunities for further research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신뢰된 유비쿼터스 인증환경을 위한 u-인증 프레임워크

  • Kim, Young-Jun;Hwang, Bo-Sung;Kim, Jung-Hee;Baek, Jong-Hyun
    • Review of KIISC
    • /
    • v.18 no.2
    • /
    • pp.23-32
    • /
    • 2008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IT서비스에 사람뿐만 아니라 기기 및 사물 등이 참여하고 다양한 인증수단이 사용된다. 하지만, u-IT서비스에 참여하는 개체에 대한 신뢰된 인증환경이 없다면 유비쿼터스 사회의 전체 신뢰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신뢰된 인증 환경 조성을 위한 프레임워크로서 u-lT 서비스에 인증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절차와 u-lT 서비스 위험평가 방법 및 인증수단 선택기준 등의 보안요구사항을 제시한다.

Utilization of Cloud and Biometrics to improve Vulnerability of OAuth Framework (OAuth 프레임워크의 취약점 개선을 위한 클라우드 및 생체인증 기술 활용 방안)

  • Park, Jin-Seong;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292-295
    • /
    • 2018
  • Open API의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대형 포털사이트 및 대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입력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Third-party application)의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외부 서비스들이 정보 제공자에게 개인정보를 요청할 때, 외부 서비스가 권한 부여를 받은 정당한 요청을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OAuth 인증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그러나 외부 서비스가 유효한 요청을 하고 있음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하는 엑세스 토큰을 탈취하면 이를 이용하여 로그인 과정을 우회할 수 있으며, 개인정보 또한 쉽게 취득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OAuth 인증 프레임워크에 2차적인 인증과정을 추가하여 엑세스 토큰의 탈취를 방지하여 사용자의 계정정보와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Supplement IEEE 802.1X with UMTS 3G Security Architecture Authentication Token (UMTS 3세대 이동망 보안 아키텍쳐의 인증 토큰을 이용한 IEEE 802.1X 프레임워크의 보완)

  • 송창열;조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553-555
    • /
    • 2002
  • 인증(Authentication)과 암호화 키(Key) 운용 방법론은 통신 서비스 고려시 소홀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어 사용중인 IEEE 802.11 기술에서도 이와 같은 보안 지원에 문제가 있음이 명백히 드러나고 있다. 포트 컨트롤을 통하여 접속 지점에서부터 통신을 제어하는 IEEE 802.1X는 이를 위한 적절한 보안 해결책이 되고 있고, IEEE 802.11 WGi는 802.1X를 기초로 하는 RSN(Robust Security Network)울 위한 표준화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IEEE 802.1X 프레임워크에서 상호 인증과, 키 분배 및 갱신 정책은 채택하는 인증 프로토콜에 강하게 의존하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UMTS 보안 아키텍처의 인증 토큰(Authentication Token)을 추가하여 IEEE 802.1X 프레임워크에 상호 인증 및 키 갱신 구조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AA Regional Authentication using renewal ID (갱신 아이디를 이용한 AAA지역 인증 방안에 관한 연구)

  • Kang Seo-Il;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172-174
    • /
    • 2005
  • AAA의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 노드에 대한 인증 방식이 연구 진행되어지고 있다. AAA의구조에서는 홈임증서버가 다른 네트워크망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인증한다. 이때 모바일 노드가 인증을 받고 나서 또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면 다시 홈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단 하나의 ID와 패스워드를 통해 홈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을 받고 난 후에는 다른 서버로 이동하더라도 인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제안 방식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홈 네트워크의 인증을 받아 오면 다른 외부 네트워크로 이동시 홈네트워크 인증 및 이전의 외부 네트워크의 인증을 제공하여 다시 홈네트워크로 접근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갱신 아이디를 사용함으로 인해 서비스가 제공된다.

  • PDF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olicy Framework of Data Repository: Focusing on CoreTrustSeal Certification (데이터 리포지토리의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CoreTrustSeal 인증을 중심으로 -)

  • Hea Lim R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4
    • /
    • pp.119-138
    • /
    • 2023
  • This study endeavors to delineate the essential components of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requisite for data repositories. Drawing from an examination of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from data repositories accredited by CoreTrustSeal in 2023, this study unveils the pivotal components intrinsic to a digital preservation policy framework, subsequently elucidating the content each component encompasses. The proffered framework is anticipated to serve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institutions aiming to craft their digital preservation policies, transcending the confines of those solely pursuing CoreTrustSeal certification, to encompas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irrespective of their intent to seek CoreTrustSeal certification.

Separate Networks and an Authentication Framework in AMI for Secure Smart Grid (스마트그리드 보호를 위한 AMI 망 분리 및 인증 프레임워크)

  • Choi, Jae-Duck;Seo, Jung-Tae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2 no.3
    • /
    • pp.525-536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methods of securing Smart Grid system against various types of cyber threats by separating AMI networks from the public network, the Internet, and providing an AMI specific authentication framework. Due to the fact that thousands and millions of AMI devices to be deployed would be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public network without any authentication procedures for access control, currently being developed AMI architectures could be widely exposed to considerable number of penetrating attacks. Furthermore, there have not been a sufficient number of researches on authentication frameworks with basis on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AMI networking that should support varied authentication protocols among security associations and AMI linking devices. This work makes a proposal of isolating smart meters from HAN devices and the Internet and integrating network/application level authentication frameworks with an EAP-based authentication architecture. These approaches are beneficial to deploy AMI with security and efficiency.

A study of Game Quality Certification Framework (게임품질인증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Hwang Seck-ju;Park Jin-ho;Lee Nam-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442-444
    • /
    • 2005
  • 최근 들어 게임 산업이 발전하고, 게임과 콘텐츠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게임품질인증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어가고 있다. 게임을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추가한 게임 산업이 미래의 핵심산업으로 주목 받기 시작하였으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 및 장치의 제공이 미흡하여 게임 및 콘텐츠 품질인증 프레임워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게임의 품질인증을 위한 프레임워크에 대한 기초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품질인증 모델, 절차, 시스템 구축 및 운용 방안 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