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증서 상태 관리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7초

실시간 인증서 상태검증의 성능개선 (Improvement of Performance for Online Certificate Status Validation)

  • 정재동;오해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4호
    • /
    • pp.433-440
    • /
    • 2003
  • 실물 경제행위가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거래 상대방의 신원확인 문제가 대두되면서 전자서명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인증서 폐지목록을 이용한 전자서명 검증방안이 실시간 검증에 대한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온라인 인증서 상태검증이라는 방법이 도입되었다. 이 경우 사이버 거래의 전자서명 검증을 요구하는 모든 트랜잭션 부하가 한 곳의 서버노드에 집중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었다. 현재 국내 금융거래에서는 이 방법을 일부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곧 한계를 드러낼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검증을 보장하면서, 인증 검증을 요청하는 노드에서 실시간 인증서의 상태정보론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인증서를 폐지할 때 폐지관리 노드가 검증노드에 인증서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시켜준다. 이 방법의 특징은 폐지관리 노드가 인증서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검증노드의 리스트를 저장한다. 인증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한 검증노드를 접속한다면 상위 폐지관리 노드까지 가서 인증서 상태정보를 확인하여야 하며 이 때 폐지관리 노드에 사용하는 검증노드가 저장한다. 그 이후에는 폐지관리 노드에 폐지요청이 발생할 때 그 인증서를 사용하는 모든 검증노드에 실시간으로 폐지정보를 전달한다. 제안한 방식의 장점은 인증서 검증이 검증 요청 노드에서 완료될 수 있어서 검증시간을 단축시킬수 있다는 점과 인증서 상태정보에 대한 요청이 폐지관리 노드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금융거래 서비스 제공자의 향상된 검증속도를 위한 인증서폐지 전송 시스템 (Certificate Revocation Notice System for Quick Validation Based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Provider)

  • 이용준;정재동;오해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1)
    • /
    • pp.550-552
    • /
    • 2002
  • 인증서기반의 인터넷뱅킹과 온라인증권거래에서, 금융거래 서비스 제공자는 많은 사용자의 인증서상태 검증이 요구된다. 금융거래 서비스는 사용자 인증서상태를 실시간의 검증이 보장되어야 한다. 인증서 상태 검증을 위해 기존의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Delta CRL, Freshest CRL과 실시간 인증서상태 검증을 위하여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의 표준이 제안된 바 있다. 실시간성과 검증속도는 상호 대비되기 때문에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증서상태 검증방법을 채택한다. 본 논문에서는 CRL의 갱신되기 이전의 폐지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제안하는 인증서폐지 전송서버는 서명자의 검증자 리스트를 관리하여 금융거래 사용자가 CA에 폐지를 요청하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금융거래 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실시간으로 폐지를 고지한다. 본 논문은 CRL 생성이후 갱신까지의 인증서 폐지정보를 검증자에게 전송하여 인증서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유지하면서 OCSP보다는 검증속도를 향상시켜 금융거래 환경에서 향상된 효율성을 제공한다.

  • PDF

PAN에서 인증 및 인증서 상태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프로토콜 (Efficient Protocol for Authentication and Certificate Status Management in PAN)

  • 장화식;이경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73-38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Personal Area Network (PAN)을 구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전자서명 생성 및 검증을 위한 계산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효율적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프로토콜은 일회용 전자서명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전통적인 공개키 전자서명 연산을 제거하였으며, 제한된 컴퓨팅 능력을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기 제안된 인증 프로토콜과 달리 서명 서버의 지원없이 전자서명 생성 및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안 프로토콜은 PAN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인증서 상태 관리를 위한 통신 및 계산상 오버헤드를 경감시키기 위해 해쉬체인에 기반한 간략화된 인증서 상태 검증 절차를 제공한다.

  • PDF

인증서 검증서버의 인증경로 생성 (Building Certification Paths in Certificate Validation Server)

  • 노종혁;김태성;원형석;진승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1)
    • /
    • pp.604-606
    • /
    • 2002
  • PKI에 필수적인 요소인 인증서 검증에 있어 인증서 검증서버인 ETRI/VA는 인증서의 상태 검증의 적시성을 제공하고 인증경로 생성 및 검증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부담을 줄이며. PKI 상호연동을 지원하고 도메인간의 인중서 정책을 중앙집중 관리한다. 본 논문은 ETRI/VA에서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인증경로 생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인중기관 인증서로 이루어진 인증경로를 미리 생성하고 저장하여 사용함으로써 검증 요청시 빠르게 인증경로를 생성할 수 있고. 요청에 의해 생성된 인증경로를 저장하여 이후 동일한 검증대상 인증서의 검증시 기 저장된 인증경로를 재사용하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증경로를 생성한다.

  • PDF

인증서 검증서버의 인증서 검증방법 (Validating Certificate of Certificate Validation Server)

  • 노종혁;진승헌;이균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913-916
    • /
    • 2002
  • 정보보호 핵심 기반 구조인 PKI는 인증서 검증에 따르는 클라이언트의 부담 및 CRL의 적시성 부재와 관리 문제, 또한 각각의 환경에 따라 구축된 PKI 도메인 간의 상호 연동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ETRI/VA는 클라이언트의 인증서 검증을 대신하여 클라이언트의 부담을 줄이고, 인증서의 상태 검증의 적시성 및 OCSP를 사용함으로써 CRL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PKI 상호연동을 지원 및 도메인간의 인증서 정책을 중앙집중 관리함으로써 기존 PKI의 문제점들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ETRI/VA의 각 모듈 및 프로토콜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하고 ETRI/VA의 인증서 검증 방법을 설명하였다.

  • PDF

분산 OCSP에서 인증서 상태 검증을 위한 효율적인 CRI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CRI managing for Certificate Status Validate in Distributed OCSP)

  • 김경자;장태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91-97
    • /
    • 2008
  • 기존 CA(Certificate Authority)에서 인증서의 유효기간 및 클라이언트에서 폐지한 CRI (Certificate Revocation Information)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행하여졌으나, 클라이언트 측면에서 인증서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증할 수 있기에는 미흡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분산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환경에서 새로운 CRI 운영 모델을 제안한다.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s)을 분할하여 여러 OCSP 서버에게 최신의 CRL을 중복시키고, 그 외 CRL은 각 서버들에게 중복하여 분산시킨다. 이로써 기존의 CA의 병목현상을 줄이고, 전송되는 CRL의 크기도 효과적으로 줄임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인증서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증할 수 있다.

  • PDF

DNS를 사용한 다중 도메인 환경에서의 CRL 검증에 대한 연구 (A Study about CRL Validation under Multi-Domain Environment using ONS)

  • 이건희;유정각;김동규;이상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832-834
    • /
    • 2002
  • 현재 인터넷 상에서 가장 많이 제공되고 사용되는 서비스는 전자 상거래에 관련된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에서 각 사용자 사이의 신원을 증명해 줄 인증서는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 상거래의 성격에 비추어 그 인증서는 항상 적시에 유지 관리 되어야하며, 그 상태가 매 순간마다 정확하게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보안성도 높아야 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DNS를 이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원레코드의 한 속성을 사용하여 인증서를 배포하고, 그를 검증하여 안전하고 적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

인증서 기반의 개선된 보안 쿠키의 설계와 구현 (The proposal of improved secure cookies system based on public-key certificate)

  • 양종필;이경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11C호
    • /
    • pp.1090-1096
    • /
    • 2002
  • 웹 프로토콜인 HTTP은 이전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못하는 stateless 특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쿠키(cookie)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쿠키는 평문 형태로 전송이 되며, 사용자 컴퓨터에 일반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다. 따라서, 공격자에게 쉽게 노출되어 쿠키 파일의 복사, 수정이 가능하여 보안적인 안전성에 심각한 위험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쿠키의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공개키 인증서 기반의 새로운 보안 쿠키를 설계한 후 이를 구현하였다. 제안된 보안 쿠키는 사용자와 웹 서버간의 상호 인증 및 사용자 정보의 기밀성 및 무결성을 제공한다. 또한 웹 서버의 사용자 관리에 따른 부가적인 관리비용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사용자 관리 정보를 보안 쿠키에 포함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안 방안의 성능 평가를 위해 기존의 HTTP 환경에서의 보안을 위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SSL과의 수행 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해양환경 정도관리제도 운영에 대한 고찰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 QA/QC (Quality Assurance/Quality Control) Management System)

  • 박미옥;박준건;김성길;김성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3호
    • /
    • pp.185-200
    • /
    • 2021
  • 해양환경 정도관리제도는 자료의 신뢰성 확보와 측정·분석기관의 분석능력 향상을 위해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시행부터 2020년까지 측정·분석기관이 정도관리제도에 참여한 누적 건수는 총 266건, 해양수산부에서 인증서를 발급한 건수는 182건, 현재까지 유효한 인증서는 42건이다. 정도관리 숙련도 평가를 위한 표준물질은 3개 분야에서 32항목이 개발되었으며, 해양환경측정망 운영, 해양오염영향조사, 해역이용영향평가, 해양심층수조사 및 어장환경조사 사업 등에서 주로 분석하는 영양염, 화학적산소요구량, 미량금속 등의 항목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반면, 대부분의 사업에서 분석하는 해수의 수온, 염분 및 해저퇴적물의 PCBs, PAHs 등은 정도관리가 시행되고 있지 않아서 이 항목들에 대한 정도관리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현장 평가는 ISO/IEC 17025에 의해 평가 받은 실험실(162건)을 대상으로 품질시스템 평가 및 미흡사항을 분석하였다. 경영 및 기술요건에서는 직원들의 업무분장 미흡이 약 4.2%, 직원 교육 미흡이 약 8.7%로 취약하게 나타났다. 시험분야별로는 표준물질관리 미흡이 약 6.3%, 초자기구 세척 상태 등이 약 5.4%로 지적되었다. 미흡한 부분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점을 파악하여 제도를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모바일 전자 ID 지갑에 적합한 신뢰 관리 및 개인 정보보호 방안 (Trust Management and Privacy Protection for Mobile Digital ill Wallets)

  • 장공수;윤주승;이항석;정한울;박용수;최대선;진승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6권4호
    • /
    • pp.297-308
    • /
    • 2009
  • 각종 전자인증 및 개인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저장 이용 가능한 모바일 전자 ID지갑이 2008년 ETRI에서 개발되었다. 전자 ID지갑을 사용함에 있어 효과적인 사용자 개인정보 프라이버시 제어 방법과 인증정보, 개인정보, 크레벤셜 관리는 개인 정보보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전자 ID지갑을 사용하기 위한 환경에서 사람과의 온/오프라인에서의 신뢰, 웹사이트의 피싱확인 및 회원가입, 무인 단말기와의 신뢰를 통한 개인정보의 제공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한 신뢰관리 및 개인정보를 보호해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전자 ID지갑에 적합한 신뢰 관리 및 개인 정보보호를 위한 삼중 신뢰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다양하고 복잡한 모바일 ID지갑 사용환경에서 단순히 PKI 인증서 또는, 명성(Reputation) 만으로는 개인정보의 관리 및 보호를 할 수 없다. 이러한 복합적인 상황에서 개인정보의 관리 및 보호를 위해서 PKI와 Reputation(명성) 그리고 정보 제공을 위한 상태(조건, Conditon)를 모두 고려해야 하며, 이 3가지(PKI, Reputation, Condition)를 판단하여 모바일 ID지갑환경에서 개인의 정보를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는 Triangular Trust Rating(삼중 신뢰 평가) 방법을 고안하였다. 우리는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모바일 전자 ID지갑에 적용되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삼중 신뢰 평가 방법을 적용시켜 보았다. 그 결과, 제안 방법이 다양한 환경,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