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적 오류

Search Result 27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uman error analysis and application technology in Korean nuclear power plants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오류분석 및 응용기술개발 방향 정립에 관한 연구)

  • 이정운;박근욱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3.10a
    • /
    • pp.89-99
    • /
    • 1993
  • 원자력발전소 고장 및 불시정지 사례의 상당수가 시스템과 연계되어 인간에 의해 수행되는 운전, 유지보수, 관리와 관련된 인적오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적오류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과 효율성의 유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며 불시정지에 의한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충격을 초래 하게 된다. 특히, 국내 원자력발전소가 외국설계라는 점과 인적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 지 지 않은 상태에서 운영중인 것을 감안하면, 인적요인의 국가별 차이에서 발생가능한 인적오류 유발요인 이 상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적오류의 중요성에 비해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인적오류에 대 한 연구는 지금까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인적 오류의 분석과 그 분석결과를 응용하기 위한 기술개발의 첫단계로, 기존 국외의 인적오류연구방법론 비교 분석, 국내 원전의 인적오류 발생현황 및 관련보고체계 분석, 등을 수행하여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인적오류 분석 및 응용기술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방향을 정립하였다. 기존 국외의 인적오류연구방법론 비교분석에서는, 인적오류에 대한 연구를 그 접근 방식에 따라 관리적 접근방식, 정량적 접근방식, 정성적 접근방식의 세가지로 분류하여, 각 접근방식에 대한 분석대상, 분석방식, 수행목적 등, 각 접근방식의 특징과 이에따른 실효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원전의 인적오류 발생현황 및 관련보고체계분석에서는,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고장/정지 사건이 내포하고 있는 인적오류의 주요 형태를 파악하였으며, 또한, 인적오류연구 수행에 필수적인 인적오류사례원으로서 국내 원전에서의 인적오류 관련 보고체계에 대한 운용현황을 파악하고 그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 적용가능한 인적오류 분석기술개발 추진을 위한 제약 조건과 이러한 제약조건을 극복하고 인적오류 분석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을 파악하였으며, 이 필요충분조건을 고려하여 인적오류 분석기법개발, 인적 오류 사례전파 및 자료관리 기술개발, 인적오류 사례수집 기술개발, 등을 주요 골자로 하는 인적오류 분석기술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와 아울러, 오류사례의 수집, 상세분석, 자료의 저장 및 응용을 위한 hardware 및 software 환경을 체계화하였다.

  • PDF

국내 원자력발전소 인적오류사례의 추이 분석

  • 이정운;박근옥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6.04a
    • /
    • pp.63-75
    • /
    • 1996
  •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발전정지사례에 대해 원전 종사원이 분석한 자료를 수록하여 발간하는 원자력발전소 발전정지사례집을 이용하여 인적오류가 개입된 것으로 판단된 총77건의 불시정지 사례를 추출하여, 인적오류 저감의 우선순위가 높은 원자력발전소 작업분야를 도출하기 위한 분 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이하여, 먼저 인적오류가 개입된 발전소 계통, 인적오유 발생시의 작업상 황 및 작업유형, 그리고인적오류의 유형에 대한 분류체계를 작성하였다. 발전소 근무 경험을 바 탕으로 사례별로 발전정지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작업행위를 구분하고, 이 행위에 대해 작성된 분류체계의 해당항목을 판정하였다. 이 사례별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발전소 계통, 작업상 황, 작업유형, 오류유형 등, 4가지 항목에 대하여 오류발생의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발전소 계통과 작업상황, 계통과 작업유형, 작업상황과 작업유형, 작업유형과 오류유형 등, 항목간 오류 발생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이 결과로 인적오류의 발생률이 높은 발전소 계통, 작업상황, 작업유형 및 오류유형이 구분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Human Error Probability Program for Human Error Analysis of Chemical Plants (화학 산업 시설에서의 인적 오류 분석을 위한 HEP 프로그램 개발)

  • Ko Jae Wook;Im Cha Soon;Park Kyo-Shi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6 no.4 s.18
    • /
    • pp.1-7
    • /
    • 2002
  • Human errors can take place in all levels that include the design, productio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plant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the causes were concerned with the effects of human error. This study verified characteristics of the on-site operators and error mechanism, and used the classifying sheet to analyze human error that occurred in process. Also, by applying the ASEP(Accident Sequence Evaluation Program) HRA(Human Reliability Analysis) procedure, the algorithm to estimate the HEP and the ASEP HEP program to analyze human error in the plant were developed. If it is built in on-site, possible human error incident will be prevented and the systematic human error prevention strategy will be devised.

  • PDF

THERP를 이용한 개스밸브시스템의 보수시 인적오류 평가

  • 제무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a
    • /
    • pp.381-388
    • /
    • 1996
  • THERP (Technique for Human Error Rate Prediction) 방법론은 원전의 확률론적 위험성 평가 (PSA)시 운전원과 작업자의 인간오류평가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HRA Handbook 이라고도 불리는 이 모델은 운전원 행위를 시스템 부품의 한 요소로 가정하고 인간오류를 평가한다. 본 논문은 이 방법론을 이용하여 원전 등과 같이 위험시설물 중의 하나인 개스밸브기지에서의 작업자 보수시 인적오류를 평가하고 기계적 오류와 함께 인적오류의 기여도를 계산하였다. 본 방법론은 원전, 개스밸브 기지 뿐만아니라 석유화학 플랜트와 같은 위험시설물의 인적오류평가에도 유연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인적오류 분석을 위한 지원시스템 프레임워크 개발

  • Sin, Min-Ju;Baek, Dong-Hyeon;Kim, Dong-San;Yun, Wan-Cheol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17-622
    • /
    • 2007
  • 국외에서는 대형시스템을 사용하는 항공, 해양, 원자력, 철도 등에서 발생하는 사고 중 인적오류가 포함된 사고에 대한 분석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인적오류 연구에 대한 필요성도 미비한 상황이다. 특히, 철도산업의 경우 사고 분석을 위한 방법이나 절차, 인적오류와 관련된 원인요소에 대한 항목이 제한적이여서 사고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적오류가 내재된 사고 분석 및 분석 지원, 사고 사례 관리 등이 가능한 지원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PDF

영향도를 이용한 저출력/정지시 인적오류 평가 방법 개발

  • 김윤익;정창현;제무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a
    • /
    • pp.340-347
    • /
    • 1996
  • 저출력/정지시의 사고가 노심손상에 미치는 영향이 작지 않은데 비하여, 그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특히 인적오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따라서 그 평가 방법을 개발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향도를 이용하여 인적오류에 영향을 주는 수행특성인자들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수행특성인자들 사이의 의존성 평가를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저출력/정지시 대표적인 MRA 작업을 선정하여 인적오류 평가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본 방법이 다른 저출력 정지시 수행작업들에 대한 인적오류에도 적용 가능한 매우 유연한 방법임을 보여 주었다.

  • PDF

원자력발전소 사고관리 방안의 인간 신뢰도 분석 및 오류 가능성 도출

  • 이용희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295-302
    • /
    • 1997
  • 본 논문은 원자력발전소 사고관리 방안의 평가를 위하여인간 신뢰도 분석(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을 수행하고, 그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능한 오류에 대한 정성적인 인적오류 분석(Human Error Analysis: HEA)과정을 추가하였다. 인적오류 분석의 기본 체계(framework)를 기법들을 검토하여 사고관리 방안 평가에서 인적오류의 가능성을 분석하는 절차와 대표적인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을 예시하였다.

  • PDF

Concepts for Human Factor Management Techniques to Prevent Maritime Accidents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인적요인 관리기술 개념 고찰)

  • Yim, Jeong-Bin;Lee, Hong-Hoon;Kim, Deok-Bong;Jeong, Jae-Yong;Yang, Won-Jae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33-235
    • /
    • 2015
  • 해양사고 70% 이상의 원인이 되고 있는 해기사의 인적오류는 금세기 들어 우리 인류에게 주어진 가장 난제 중의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 인적오류는 해기사가 사람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사람의 오류를 예방하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해양선진국에서는 과학적인 기법을 적용하여 인적오류 경감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인적오류 예방을 위한 연구가 태동단계인 바, 이를 위한 기초적인 개념 정립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적인 양상에 따라 변하는 해양사고의 특징을 고찰하고, 해기사의 인적오류 모델링 방법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다.

  • PDF

저출력/정지시 인적오류 정가 체계, SEPLOT의 개발

  • 김윤익;정창현;제무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450-457
    • /
    • 1997
  • 저출력/정지시의 사고가 노심손상에 미치는 영향이 작지 않은데 비하여, 그 영향에 대한 평가 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특히 인적오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이에 따라 인적오류를 평가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출력시의 체계를 기반으로 저출력/정지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적오류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인 SEPLOT (Systematic Evaluation Procedure for LP&S Operation Tasks)을 개발하였다. SEPLOT에서는 영향도(Influence Diagrams)를 이용하여 인적오류에 영향을 주는 수행특성인자들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수행특성인자들 사이의 의존성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고, 저출력/정지시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절차서의 질, 인간-기계 연계, 다중 인간행위 사이의 의존성 등의 수행특성인자들이 중요하게 고려되도록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참조 원전의 저출력/정지시 대표적인 작업인 소외전원상실사고 대응 작업 중 하나인 일차 충전 및 유출 운전(Primary Feed and Bleed)에 대하여 평가함으로써, 저출력/정지시 다른 여러 가지 수행작업들에 대한 인적오류에도 개발된 체계가 적용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 PDF

해양사고 인적오류 예방을 위한 해심 주제어 분석에 관한 고찰

  • Jang, Eun-Jin;Gang, Yu-Mi;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96-198
    • /
    • 2016
  • 해양사고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인적오류 예방은 해양안전에 가장 중요하며 인적오류는 확률기반의 인적 모델을 구축하여 평가할 수 있다. 확률기반 인적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사건의 원인과 결과 사이에 연계성을 갖고 있는 통계 데이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데이터는 정부 공식통계로서 해양안전심판원에서 제공하는 재결서의 내용 분석을 통해 얻고자 하나, 측정변수가 너무 많아 계산량이 방대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결서 분석서의 원인판단에서 기준이 되는 해양안전심판원의 해양사고조사심판정보포털(이하 해심)에서 제공하는 재결서 내용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구성된 '주제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제어에 포함된 핵심단어 분석절차를 수립하였다. 이들 단어가 구분형태별로 어떻게 분포된 상태인지 알아보고, 선박사고별로 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단어 객체수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향후 축소된 차원으로도 해양사고 인적과실의 인과관계 설명이 가능하면, 인적모델의 측정변수를 결정하는 경우 쉽게 타당성을 확인 할 수 있어 해양안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