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용분석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35초

온라인 전자출판물 인용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itation and Usability of On-line Electronic Publications)

  • 권경아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1년도 제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84
    • /
    • 2001
  • 본 연구는 학술커뮤니케이션에서 활용되는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이용과 인용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과 유용성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학술지에 게재된 게재기사에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인용한 저자들을 대상으로 이용도와 인용도를 조사하였으며, 학술지에 게재된 게재기사에 인용된 온라인 전자 출판물의 사회과학분야와 자연과학분야 간 유용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학술지에 게재된 게재기사에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인용한 저자의 이용도와 학술지에 인용된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수와 인용비율간의 상관관계는 저자들의 온라인 전자출판물 주당 이용시간과 이용종수가 증가하더라도 저자들이 학술지에 인용하는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수와 인용비율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과학분야와 자연과학분야 간에 있어서 학술지에 인용되는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유용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학술지의 게재기사에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인용한 저자들이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많이 이용하는 것과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실제로 인용하는 것에는 상관관계가 없으며, 측정요소를 통하여 평가한 사회과학 분야와 자연과학분야에서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유용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의 인용 네트워크분석 (Journal Citation Network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in Korea)

  • 정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221-238
    • /
    • 2020
  • 본 연구는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주요 학술지간의 인용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기재된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의 논문 4,471편과 이 논문들을 인용한 18,424건의 인용정보를 수집하여 학술지간 인용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인용을 가장 많이 받았던 학술지는 한국문헌정보학회지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의 주요 연구주제들이 인용을 통해 문헌정보학 내부 연구 분야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의 상호인용이 많았으며, 정보관리학회지의 연구주제 중 연구동향분석이나 지적구조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문헌정보학 이외의 분야로부터 많은 인용을 받아, 문헌정보학 외부의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SCD에 기반한 국내학술지 글로벌 인용현황 분석 (An Analysis for Status of Global Citation of Korean Journals based on KSCD)

  • 최선희;김병규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5-128
    • /
    • 2012
  • KSCD(Korea Science Citation Database)를 기반으로 국내 과학학술지 논문에 대한 인용색인을 구축하였으나, 국내 학술지에 대한 인용현황만으로는 연구자들이 원하는 자신들의 논문의 인용현황을 포괄적으로 알기 어려우므로 해외 인용현황을 알기 원하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WOS의 API를 활용한 인용현황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이에 기반하여 그 결과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국내연구자의 SCI 전체 논문 분석결과와 비교하였다.

단일 문헌의 인용 영향력 측정 방식의 개선 (Improved methods for assessing single paper's citation impact)

  • 이재윤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년도 제18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34
    • /
    • 2011
  • 최근 인용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서 단일 문헌의 인용 영향력을 측정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널리 알려진 PageRank를 보완하려는 일부 시도와 함께 h-index를 단일 문헌의 인용 영향력 측정에 적용한 단일문헌 h-index도 제안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Web of Science에서 검색한 계량정보학 분야 문헌집합을 대상으로 여러 측정 방식의 특징을 비교해본 후, 새로운 인용지수 2종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인용지수는 PageRank처럼 전역 네트워크 분석 방식인 지수 1종과 h-index처럼 지역 네트워크 분석 방식인 지수 1종으로서 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 PDF

거대 희소 행렬을 이용한 특허정보 유통 모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atent Information Dissemination Model using Large Scale Sparse Martix)

  • 권오진;서진이;김정호;노경란;김완종;김진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 (A)
    • /
    • pp.537-541
    • /
    • 2006
  • 최근 특정 주제의 지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저자 동시인용분석, 동시단어분석, 서지결합법 등 계량정보분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계량정보분석 기법을 활용한 정보 유통 프레임웍을 갖추고 있는 연구기관이나 대학이 아직 없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특허나 과학문헌에 대한 인용정보를 보유한 곳이 없고, 거대 인용정보 행렬을 계산하기 위한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미국 특허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인용 피인용 행렬을 생성한 후, 클러스터 컴퓨터를 사용하여 동시인용과 서지결합빈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 유통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인용정보를 활용한 학술정보서비스 고도화 전략 (Strategies for Improving Scholarly Information Service with Citation Information)

  • 이정연;유소영;이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1호
    • /
    • pp.43-67
    • /
    • 2010
  • 이 연구는 최근 증가하는 인용정보서비스에 대한 관심에 따라 국내외 다양한 인용정보서비스를 분석하여 인용분석을 위한 정보자원과 진행 추이를 살펴보고 국내 인용 서비스에 적합한 모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인용정보서비스 유형별로 제공 기능 및 활용 자원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모델링 하였다. 결론적으로 향후 효용성 있는 인용정보 활용 학술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 가지 일반 원칙을 제안하고 전문가 서베이를 통해 국내 인용색인 서비스 발전을 위한 서비스 우선순위 및 개인별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인용정보서비스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통계학 문헌의 계량서지학적 분석 (A Bibliometric Analysis of Korea Statistic Literaure)

  • 박성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4-130
    • /
    • 1988
  • 본 논문은 계량서지 학적 연구 방법론을 국내 통계학분야에 적용해 봄으로써 국내 통계학자들의 연구 활동 및 통계학분야의 학문적 속성을 수량학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저자의 생산성 및 인용 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문헌으로는 [정기간행문 기사색 인] 1945-1986년호에 수록되어 있는 통계학관련 학술 논문 총 648편의 출판 문헌과 [통계학 연구] 1975-1986년호에 수록된 논문 137편에 인용된 1,171편의 인용 문헌을 선정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한 사실을 발견하였다. 10 Lotka 법칙을 통한 통계학 저 자의 생산성 분석에서 Lotka의 상수 $\alpha$=2의 수정없이도 Lotka 법칙이 적용됨을 입증하 였다. 2) Bradford 법칙의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법을 통계학 저자의 생산성에 적용하여 통계학분야의 국내 핵심 저자 17명을 선정하였다. 3) 통계학 인용 문헌의 형태별 분석 결과 잡지가 62.43%, 단행본이 27.07%, 기타 자료가 10.50%로 나타났으며, 언어별 분석 결과 영 어 자료가 96.07%, 한국어 자료가 2.65%, 기타어 자료가 1.28%로 나타났다. 4) Bradford 법 칙의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법을 통계학 인용 저자의 생산성에 적용하여 통계학분야의 핵심 인용 저자 20명을 선정하였다. 5) Brookes의 이용율 감소 법칙을 적용하여 통계학분야 의 인용 문헌의 이용율 감소 현상을 측정한 결과 이용율 감소 인자는 0.917이며 반감기는 7.987년으로 나타났다. 6) Bradford 법칙의 Brookes의 그래프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통계 학 인용 문헌의 잡지내 분포를 분석한 결과 S값이 0.566인 Zipf 분포를 이루었다. 7) 통계학 분야에 인용된 잡지를 발행국별로 분석한 결과 미국 자료가 74.28%, 영국 자료가 17.24%, 한국 자료가 4.10%, 기타국 자료가 4.38%로 나타났으며,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주제 자기 인용도는 43.77%, 타 주제에의 의존도는 56.23%로 나타났다.

  • PDF

서지적 저자결합분석 -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새로운 접근 - (Bibliographic Author Coupling Analysis: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for Identifying Research Trend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3-190
    • /
    • 2008
  • 저자동시인용분석 기법은 특정 분야의 연구 주제와 동향을 파악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저자동시인용분석 기법은 인용 지체 현상 때문에 최근 동향을 나타내거나 활동적인 현역 연구자를 파악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함과 동시에 활동적인 연구자를 파악하기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서지적 저자결합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Kessler가 제안한 서지결합에 기반을 두되 분석 단위를 문헌이 아닌 저자로 삼고 있다. 즉 서지적 저자결합분석 기법은 같은 저자를 인용하는 저자끼리는 연구 주제가 유사할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 분석 기법이다. 저자동시인용분석 기법을 사용한 기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서지적 저자결합분석을 적용한 경우와 비교해 본 결과, 제안된 기법이 저자동시인용분석 기법에 비해서 최근 연구 동향을 더 잘 반영하며 활동적인 현역 연구자 위주의 해석을 가능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의학학술지 인용지표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Citation Indicators of Korean Medical Journals)

  • 이춘실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4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한국 의학학술지에 의한 한국 의학학술지의 인용도 분석을 광범위한 규모로 시도하고 각종 학술지 인용지표를 개발한$\ulcorner$KoMCI 2000: 한국의학학술지 인용정보$\lrcorner$보고서에 수록된 다양한 데이터와 인용지표의 분석을 통하여, 국내 의학학술지의 인용수준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인용지표들의 한계를 노출함으로써 인용데이터를 합리적으로 그리고 타당성 있게 해석 및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한국의학계의 실정에 좀 더 부합하는 학술지 인용지표 및 학술지 평가지표를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국내 의학학술지의 인용분석이 한국 의학학술지 문헌이 인용하는 문헌의 8.5%밖에 안되는 인용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 의학학술지(KoMCI)의 영향력 지표값은 0.424 이하로 아주 낮게 분포하고 그 평균값은 0.182이다. 한국문헌이 인용하는 전체 참고문헌 중 자체학술지 인용비율은 4.6%이지만, 한국학술지 인용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대부분 50% 이상으로 매우 높다. 이것은 같은 주제분야에 속하는 학술지가 몇종씩 밖에 안 되는 등 다른 한국 의학학술지를 인용할 폭이 매우 좁기 때문이다. 동일한 학술지 (2000년도 SCI 영향력지표값이 SCI JCR에 보고된 한국 의학학술지 2종)의 KoMCI 영향력 지표값이 SCI 영향력지표값의 1/3 정도 수준으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SCI 학술지 5,900종의 1/100(의학학술지로 제한하면 1/30) 정도밖에 안 되는 69종으로부터 받은 인용을 분석하기 때문이다.

  • PDF

한국 과학기술 논문의 인용속도 및 인용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지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itation Speed and Citation Frequency of Scientific Articles Using Bibliometric Analysis in South Korea)

  • 김완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85-30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지 요인이 인용속도, 인용빈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이외에도 인용속도가 인용빈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그리고 인용속도가 인용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성립할 때 서지 요인이 이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섯 가지 서지 요인을 추출하여 우리나라 논문의 각 요인별 논문분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제1저자와 교신저자의 소속국가의 국내 외 구분에 따른 인용속도는 저자들의 소속국가가 국내인 논문보다 해외인 논문에서 최초 인용속도와 평균 인용속도가 모두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용빈도는 제1저자와 교신저자가 해외인 논문이 더 많은 인용을 받았다. 국제 협력연구 여부에 따른 인용속도와 인용빈도 분석에서는 국내 단독수행 연구보다 국제 협력연구인 경우 최초 인용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균 인용속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용빈도는 국제 협력연구가 더 많은 인용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저자수와 영향력지수에 따른 최초 인용속도, 평균 인용속도, 인용빈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용속도와 인용빈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최초 인용속도는 빠를수록, 평균 인용속도는 느릴수록 인용빈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초 인용속도가 평균 인용속도보다 인용빈도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초 인용속도와 인용빈도의 영향관계에서 5가지 서지 요인이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조절작용을 하는지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이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평균 인용속도와 인용빈도의 영향관계 관계에서 5가지 서지 요인이 영향력을 증대시키는 조절작용을 하는지 분석한 결과, 제1저자의 소속국가, 교신저자의 소속국가, 공저자수 3가지 서지 요인은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 협력연구 여부와 영향력지수는 조절작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