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슐린 치료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7초

인슐린에 대한 공포가 혈당조절을 방해한다

  • 류옥현
    • 월간당뇨
    • /
    • 통권218호
    • /
    • pp.56-59
    • /
    • 2008
  • 몇 년 전부터 '웰빙'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언론매체에서 제공되는 당뇨병에 관한 다양한 정보는 당뇨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까지 당뇨병의 위험성과 혈당조절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주었다. 그러나 수명의 증가는 당뇨병과 더불어 살아가야 할 삶의 기간을 늘렸고, 또한 앞으로 합병증과 함께 살아가야 할 시간도 더욱 늘어나게 될 것이다. 당뇨합병증은 일반적으로 혈당조절 정도와 반비례해서 발생한다. 당 조절이 잘되면 합병증이 안 오거나 늦게 생긴다. 그러나 조절이 안 되는 경우 합병증이 빨리 오고 빨리 진행한다. 그래서 최근에는 과거보다 더욱 엄격한 혈당조절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 좀 더 일찍 몇 가지 혈당강하제를 병합하는 치료(조기 병합치료)를 선택하거나 혹은 좀 더 일찍 인슐린 주사치료(조기 인슐린 치료)를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 특히 조기 인슐린 치료는 환자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실패하곤 한다. 이러한 저항은 대부분 인슐린 치료에 대한 공포(두려움)나 오해 때문에 발생하며 혈당조절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필자는 당뇨병 발생과 치료에 있어 인슐린의 역할을 설명하고, 거부감 없이 인슐린 치료를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당뇨일기 - 인슐린 치료에도 합병증이?

  • 곽정은
    • 월간당뇨
    • /
    • 통권240호
    • /
    • pp.60-61
    • /
    • 2009
  •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기능이 고장 났거나 잘 작동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 때문에 근본적으로 인슐린 투여가 필요한데, 인슐린 치료 중에 부작용을 호소하는 당뇨병환자들이 많이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이해와 대처가 필요하다.

  • PDF

제2형 당뇨병 병인: 인슐린/IGF-1 신호전달 장애 (Type 2 Diabetes Pathogenesis: Impairment of Insulin/IGF-1 Signaling)

  • 박선민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10권3호
    • /
    • pp.10-18
    • /
    • 2005
  •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의 장애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대사성 증후군 중 하나이다. 인슐린 저항성은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슐린 신호전달의 저하로 인한 인슐린 작용 감소가 나타나고 이는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더라도 포도당 이용은 감소된 상태이다. 인슐린 분비능은 직접적으로 인슐린 작용과는 무관한 것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인슐린 분비능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췌장 베타세포의 성장과 생존은 인슐린/IGF-1 신호 전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인슐린 분비능도 인슐린/IGF-1 신호전달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인슐린/IGF기 신호전달의 장애는 제2형 당뇨병의 병인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므로 제2형 당뇨병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근육, 지방세포와 간등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을 향상시켜 포도당 이용을 증가시키고, 시상하부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을 향상시켜 식욕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과체중이나 비만의 발생을 방지하고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IGF-1 신호전달을 향상시켜 베타세포의 성장과 생존을 향상시켜 포도당에 대한 인슐린 분비 능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최근에 FDA에서 승인받은 Exenatide는 glucagons 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로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식욕조절도 하고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IRS2의 발현을 증가시켜 인슐린/IGF-1 신호전달을 향상시켜 insulinotropic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Exenatide는 도마뱀의 독침에서 분리한 peptide로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약물이므로 천연물로부터 제2형 당뇨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발견할 가능성은 매우 높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 PDF

당뇨병에 좋은 운동

  • 양윤준
    • 월간당뇨
    • /
    • 통권208호
    • /
    • pp.18-20
    • /
    • 2007
  • 당뇨병 치료 방법은 식사조절, 운동, 교육, 약물치료, 인슐린 주사 등이다. 운동은 당뇨 치료의 기본이다. 성인 당뇨병환자의 대부분인 제 2형 당뇨병에서 운동은 혈당을 낮추며, 체중을 감소시키고, 체내 지방질을 좋아지게 하며, 심장.혈관.신경계 및 망막 합병증을 감소시킨다. 인슐린 주사를 반드시 맞아야 하는 제 1형 당뇨병환자가 운동을 하면 인슐린 주사를 줄이거나 맞지 않을 수 있다.

  • PDF

Diabete Care: Healthy Life - 인슐린 주사법에 대해

  • 심강희
    • 월간당뇨
    • /
    • 통권286호
    • /
    • pp.48-53
    • /
    • 2013
  • 엄격한 혈당조절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인슐린 치료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올바른 인슐린 주사법은 혈당조절과 인슐린 주사에 대한 순응도를 높이는데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금번호는 인슐린 주사와 관련된 당뇨병환자들의 흔한 질문들을 통해 올바른 주사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DF

전문병원을 찾아서 - 당뇨병환자와 함께한 세월 30년, 당뇨전문내과 양재최의원

  • 임채영
    • 월간당뇨
    • /
    • 통권220호
    • /
    • pp.54-56
    • /
    • 2008
  • 30년 가까이 인슐린펌프만을 이용한 당뇨병 치료에만 매진해온 명실상부한 "당뇨병전문 클리닉"인 양재 최의원. 단순한 병원의 차원을 넘어, 종합당뇨치료 센터로서 당뇨교육실과 운동시설, 식당 등의 시설을 갖춰 당뇨병의 진료에서 교육까지 모든 것이 원내에서 가능하다. 당뇨전문내과라는 이름에 걸맞게 체계적인 당뇨관리 시스템과 시설을 자랑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양재최의원은 인슐린펌프를 이용한 당뇨 치료에 매진해 '당뇨의 완치 실현'을 위해 교육과 치료를 병행하고 있으며 인슐린펌프치료 및 당뇨전문센터로 널리 알려져 있다.

  • PDF

운동요법을 통한 당뇨병 환자의 고혈압치료

  • 양윤준
    • 월간당뇨
    • /
    • 통권151호
    • /
    • pp.26-27
    • /
    • 2002
  • 성인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인 제 2형 당뇨병에서 운동은 혈당을 낮추며, 혈압을 저하시키며, 체중을 감소시키고, 체내 지방질을 좋아지게 하며, 심장$\cdot$혈관$\cdot$신경계 및 망막합병증을 감소시킨다. 또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키고 당화혈색소를 10$\~$20$\%$ 감소시키는 등 당뇨병의 근원적 치료에 기여한다. 또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는 제 1형 당뇨병 환자가 운동을 하면 인슐린 주사를 줄이거나 맞지 않을 수 있다.

  • PDF

개와 고양이의 당뇨병 진단과 치료

  • 김두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0권2호
    • /
    • pp.96-108
    • /
    • 1994
  • 대부분의 당뇨병이 있는 개와 고양이는 쉽게 진단할 수 있고 초기에 적절한 식이관리와 중간형 또는 지속형 인슐린을 하루에 1회 또는 2회 투여함으로써 적절히 관리할 수 있다. 당뇨병의 장기간 관리는 체중, 물섭취량과 연속적인 혈당치의 감시에 의하여 적절히 수행할 수 있다. 연속적인 혈당치 측정은 인슐린 치료와 관련된 잠재적인 문제점(저혈당증, 인슐린 유발성 과혈당증, 인슐린 내성)을 확인하거나 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 주며, 혈당을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 만성 당뇨병의 합병증 발생율을 줄이거나 지연시킬 수 있게 해준다.

  • PDF

인슐린 치료에 대한 당뇨병 환자의 지각과 경험 - 융복합적 관점 (Patients' perspectives on taking insulin in diabetes - Perspectives of convergence)

  • 송영신;안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283-292
    • /
    • 2016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인슐린 치료에 대한 문화적 관점과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19명의 제1형과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기록하고 녹취한 후 내용분석을 통해 당뇨병 환자들이 경험하는 인슐린 치료에 대한 사전인식요인과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을 목록화하였으며 이들 3가지 목록에 포함되는 주요어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인슐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사전인식요인의 주요어로 확인되었고 장애요인으로는 인슐린과 관련된 걱정(통증, 낮은 지식과 문해력, 자가 주사에 대한 낮은 자신감, 경제적 부담, 저혈당에 대한 두려움)과 의료진에 대한 양가감정, 의지하게 된 삶, 친구, 친척과 가족에 대한 감정, 불편감, 과거에 대한 후회, 부끄러움이 주요어로 도출되었다. 촉진요인으로는 깨달음과 신체적 회복 및 혈당조절에 대한 자신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치료에 대한 경험과 지각에 대한 의료인의 이해가 필요하며 당뇨병 환자의 이러한 경험은 존중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