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버터 속도제어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인버터의 전동기회로에의 적용과 유의점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4 s.112
    • /
    • pp.99-103
    • /
    • 1986
  • 인버터는 전동기의 전원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표준 유도전동기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종 산업설비의 전동기 속도제어 또는 유량제어에 의한 에너지절약을 목적으로 하고 또한 최근의 저가격화도 수반되어 그 보급이 현저하다. 그런데 인버터 사용시에는 통상의 전동기 운전시와는 다른 여러 가지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적용할 때에는 이와 같은 상황을 잘 이해하여 적절하게 적용해야 된다. 여기서는 인버터의 전동기 회로에의 적용상황의 개요와 사용할 때의 유의사항에 대하여 해설한다.

  • PDF

Sensorless Field-Oriented Control Design for High-Power 3-Level PMSM Drive Inverter (고전력 동기전동기용 3레벨 인버터를 위한 센서리스 자속 기준 제어 설계)

  • Cho, Hyeun-Tae;Kim, Katherine 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395-396
    • /
    • 2017
  • 차세대 고속 이동수단에 필요한 고전력 전동기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력 동기전동기(PMSM) 구동에 필요한 전력 인버터의 제어 및 센서리스 제어기법을 적용한 자속 기준 제어(Field-oriented control)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증하였다. 고전력에서 인버터 스위치의 전력부담을 줄이기 위해 3-레벨 인버터를 설계하고, 벡터 제어 SVPWM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고전력 및 고속 PMSM의 파라미터에 맞추어 센서리스(sensorless)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센서리스 제어에는 모델 기준 적응 시스템(MRAS)을 통해 속도 및 위치를 예측하여 모터를 제어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가속시 5초간 가가속도 값을 적용하여 필요 토크 및 속도제어를 Matlab/Simulink에서 설계 및 구현하고, 예측속도와 실제 모터속도는 최대 0.01 rad의 오차를 나타났고, 67초 동안 목표 속도 500 rad/s까지 가속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Novel Approach on Parameter Identification for Inverter Driven Fed Induction Motor (인버터 구동 유도전동기의 속도 맥동 저감에 관한 연구)

  • Jo, Sim-Jae;Hong, Soon-Ill;Kim, Jong-Da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703-704
    • /
    • 2006
  • 본 논문은 슬립 주파수형 벡터제어에 기초하여 인버터 구동 교류 서보전동기 속도제어 시스템을 구성하고 광범위한 속도제어 방법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구동 시스템은 16비트 CPU(V50)을 이용한 디지털 제어기와 전동기 구동 전원으로 순시전류 추종방식 인버터(Current Source Inverter)로 구성된다. 실제 300[W] 유도전동기의 저속에서 속도 변동(진동)이 발생하는 원인을 해석하기 위해서 회로 동작을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적으로 조사한다. 시뮬레이션을 하여 저속에서 속도변동 원인을 구명하고 그 대책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 PDF

Speed Sensorless Control of High Power Induction Motor Using a Cascaded H-Bridge Multilevel Inverter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대용량 유도 전동기 속도 센서리스 제어)

  • Park, Young-Min;Ryu, Han-Seong;Lee, Hyun-Won;Lee, Se-Hy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293-29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를 이용한 고전압 대용량 유도 전동기 구동을 위한 단순하고 강인한 속도 센서리스 제어를 소개하였다.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는 고전압 대용량화, 우수한 입출력 전력품질, 모듈화, 그리고 설치 조건 편의성으로 인해 고전압 대용량 유도 전동기 가변속 용도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V/F 운전시의 대표적인 단점인 저속 영역에서의 낮은 토오크, 무부하 혹은 경부하 조건의 전류 및 전동기 진동, 그리고 전동기 슬립에 의한 속도 변동은 대용량 유도 전동기의 인버터 적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속도 센서가 필요 없으며 전동기 상수에 강인한 속도 센서리스 제어를 전류 및 슬립 보상을 적용하여 유도 전동기의 기동 토오크 증대, 경부하 진동 억제, 그리고 속도 제어 특성을 향상 시켰다.

  • PDF

Technical Standard of high-Efficiency Inverter (고효율인버터 기술기준)

  • 박정우;이승윤;정수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85-493
    • /
    • 2003
  • 2승 저감 형태의 부하특성을 갖는 공조용 팬이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를 구동하는 전동기는 일반적으로 전원전압을 직입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전원 주파수인 60Hz가 회전속도의 기준이 되어 4극인 유도전동기를 예를 든다면 기준속도가 1800[rpm]이 되며, 이 속도는 부하 조건과 관계없이 운전되면서 경부하 조건에서는 불필요한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원인이 되어왔다. 이런 문제점은 부하에 맞추어 속도를 제어해 줌으로써 소모전력을 현격히 줄일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인버터를 사용한다. 그런데 인버터에 대해서는 KS 기준이 없어 개인별 또는 기업체별로 가지고 있는 평가기준을 활용하여 인버터를 개발해 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버터 보급을 촉진시키기 위한 관련 정책을 분석하고 인버터에 대한 기술기준을 제시하여 인버터 평가기준을 보급하고자 한다.

  • PDF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unit-inverter parallel operation to sea-water pump in power plant(II) (단위 인버터 병렬운전에 의한 발전소 해수펌프 적용(II))

  • 김수열;류홍우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1997.07a
    • /
    • pp.290-294
    • /
    • 1997
  • 서인천복합화력발전소의 해수펌프를 속도제어 하여 소내 소비 전력을 절감하고 전동기의 직입기동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생산기술 개발 과제의 연구개발품 2MVA GTO 인버터를 실증 적용하였다. 적용 시스템은 단위 인버터 병렬운전으로 인버터의 입력측은 병렬다중 방식, 출력측은 직렬다중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인버터에 의한 운전 자료를 기준으로 소비전력을 산정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적용 방법과 결과를 보인다[1][2].

  • PDF

A study on efficiency and stability of induction motor using inverter system (인버터 적용에 따른 유도전동기 효율성 및 안정성 평가에 관한 연구)

  • An, Jae-Hu;Kim, Ji-Chan;Ha, Sung-J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27-1128
    • /
    • 2011
  • 실제 운용중인 수도사업장을 대상으로 펌프모터로 가장 많이 쓰이는 유도전동기의 유량제어를 위해 기존의 방법인 밸브개도에 의한 유량제어 방법과 최근기술인 인버터를 이용한 유량제어 방법을 비교분석하여 효율성을 평가 하였고, 최근 전력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문제시되고 있는 인버터 사용에 따른 고조파를 분석하여 인버터 시스템 도입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평가한 펌프모터의 속도 제어를 위한 기존의 방법인 밸브개도에 의한 유량제어 방법과 인버터를 이용한 유량제어 방법에 대한 효율성 및 안정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인버터시스템을 산업현장에 적극 도입함으로서 에너지 절감에 따른 생산원가 절감 및 수용가의 용수공급 예측을 통한 관망운영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Digital Controller Design for Three-phase AC/DC Inverter (삼상 DC/AC 인버터의 디지털 제어)

  • Lee, Jin-Mok;Kwon, Kyoung-Min;Son, Kyoung-Min;Cui, En-Zhen;Im, Jae-Kwan;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005_100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단독부하형 삼상인버터의 디지털 전압제어기를 설계한다. 단독부하운전은 선형부하의 변동이나 비선형 부하에서도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목적이다. 삼상 인버터를 선형 제어기로 제어하기 위해서 이상동기회전자표계로 제어하지만 두 개의 간섭항 때문에 MIMO 시스템으로 되어 해석적인 제어기를 설계하기 어려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시행착오법으로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삼상 인버터의 축변환시에 발생하는 간섭항의 영향을 상대이득행렬로 분석하여 간섭항의 영향을 분석하고 삼상 인버터 시스템을 SISO 시스템으로 만들어 전압제어기만을 갖는 최소 차수의 제어기를 해석적으로 설계하며 응답속도를 향상시키기위해서 오버슈트와 정정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극배치기법으로 설계한다. 설계한 제어기는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서 강인성을 보인다.

  • PDF

Dead Time Compensation Method with Pseudo-Current Control (의사(疑似) 전류 제어에 의한 데드타임 보상 방법)

  • Lee, J.P.;Choi, J.W.;Kim, J.B.;Suh, D.B.;Kwon, B.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7.07f
    • /
    • pp.1968-1970
    • /
    • 1997
  • 유도전동기의 속도 제어 장치로 인버터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소용량 가변속 드라이브에 있어서 그 제어성의 양호한 범용 인버터 구동이 현 인버터 시장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범용 인버터는 종래의 TR구동 인버터에 비해 스윗칭 횟수가 많고 데드타임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전동기를 운전하는 범용인버터에 대하여 데드타임으로 인한 문제 해결 및 전류 왜곡 개선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실험적인 결과로 입증하였다.

  • PDF

Parallel Operation of Single-Inverter Dual-PMSM Drives Based on Sliding Mode Speed Controller (슬라이딩 모드 속도제어기 기반 단일-인버터 듀얼-PMSM 구동시스템의 병렬운전)

  • Yeam, Tae-Il;Lee, Dong-C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11a
    • /
    • pp.104-105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한 대의 인버터로 두 대의 PMSM의 병렬 운전 제어를 위한 속도 제어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제어기는 파라미터 변동에 강인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 이론에 근거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실험을 통해 그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