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력양성

Search Result 1,57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자율운항선박 시대를 대비한 스마트 해기사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현황

  • 임정빈;예병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11-112
    • /
    • 2022
  • 자율운항선박과 관련된 첨단기술의 급속한 산업현장 적용과 상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해양계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국내외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 또는 산업화 동향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결과의 자료 수집과 비교분석 등을 통해서 현황을 분석하고, 자율운항선박과 관련된 스마트 해기사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에 요구되는 교육 관련 내용을 정리 한 후, 현재 연구 개발된 시스템 또는 장비 등과 향후 교육 및 훈련에 요구되는 시스템 또는 장비 등을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자율운항선박 관련 기술의 상용화 속도는 기존 예상과 달리 빨라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 해기사 인력양성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Framework of Comparing New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ATE Programs of U.S. (미국 ATE 정책 기반의 신규 사이버보안 인력양성 정책 비교 프레임워크 연구)

  • Hong, Soonjwa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8 no.1
    • /
    • pp.249-267
    • /
    • 2018
  • The US cybersecurity workforce policy is being pursued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NICE established initiated in 2010. Security Technologies, one of the eight areas of Advanced Technology Education(ATE) of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NSF) included in the STEM. This policy has been comprehensively promoted in conjunction with NICE, and this security technology field is operated with five detailed programs. In this paper, we examine in detail five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s supported by ATE, and compare them with the current status cultivation of cybersecurity workforce in Korea. After finding ou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by comparis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cybersecurity workforce development in Korea, we propose several implementations of nation-wide strategies for cultivating new cybersecurity workforce in Korea.

A Study on the Training Strategy of Human Resources for the u-City Construction (유비쿼터스 도시 건설을 위한 인력양성방안 현황 및 정책방향 연구)

  • Lee, Jae-Yong;Ahn, Jong-Wook;Shin, Dong-Bin;Kim, Jung-Hoo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0 no.4
    • /
    • pp.67-75
    • /
    • 2008
  • This study is for the effective training strategy of human resources for the u-City construction to support the u-Ci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lan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One of the biggest problems concerning u-City is the shortage of advanced human resources for the u-City constructions. The characteristic of u-City makes u-City related human resources had knowledge of various fields including IT, GIS, construction engineering, urban planning and so on. But, there are only a few programs to train u-City related human resources. Therefore, this research established the objective of the training strategy for u-City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the training strategy of human resources for the successful u-City constructions". To achieve this objective, four different core strategies are established like followings: (1) demander-oriented education, (2) regional balanced education, (3) integration education of u-City related subjects, (4) u-City related education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ese 4 different core strategies can be achieved from 5 sub projects like followings: (1) demand estimation of u-City human resources, (2) u-City education from selected regional core universities, (3) u-City education from u-City human resource education centers, (4) online education and (5) construction of education infrastructures. These 5 interrelated sub projects can be preconditions of the successful human resource strategy development.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for human resource demand by technology fields (기술분야별 인력수요 예측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

  • Park, sang wook;Kim, sang heon;Ham, eun sik;Lee, min 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1-92
    • /
    • 2018
  • 사업체, 연구소 등이 적극적인 구인에도 불구하고 인력수요를 충원하지 못하면 정상적인 운영이 어렵게 되는바, 부족한 인력규모를 조사하여 해소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그런데 인력수요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유휴 인력만으로는 충원이 어려워 인력양성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므로 현재의 부족한 인력규모를 해소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기술분야별 인력양성을 위한 인력수요 예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인력 양성에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므로 인력 수요를 예측하여 미리 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Educational Algorithm to train Renewable Energy Technician (신재생에너지 전문기술 인력양성 교육 알고리즘)

  • Yoon, Yongh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0 no.2
    • /
    • pp.271-276
    • /
    • 2020
  • In terms of supply of manpower in the energy industry, domestic universities cannot realistically operate flexibly to meet manpower demand in accordance with various regulations related to the department, and there are only a few independent energy related department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losure, increase and decrease of capacity, and foster convergence. In addition to the limited aspect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changes in the energy paradigm, namely: 1) changes in the energy industry from stable supply and energy security to new growth engines and export industries, 2) Revitalization of the energy industry, 3)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energy sources and the spread of new technologi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aining program for nurturing new renewable energy specialists to independently develop various high-quality human resources such as intangible and convergent human resources in line with changes in the energy paradigm.

Triple Helix Model evolution perspective through human capital policie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era (산업화과정 인력양성 정책을 통해 본 Triple Helix Model의 진화)

  • Junghee Ha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31 no.2
    • /
    • pp.29-58
    • /
    • 2023
  • The knowledge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produced by universities determines a country's scientific technology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volution of Triple Helix Model (THM) by analyzing cases of technological catching-up and nurturing the human capital policies during Korea industrialization era, from 1960 to 2020. To fulfill the aims,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methodologies. In this study not only the process of acquiring technologies and core technologies but also the system for nurturing the human capital focused on scientific and engineers was analyzed.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each ear of Triple Helix Model (THM) were examined. From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riple Helix Syncro-Scenario (THSS) which is the compelling innovation model, based on scenario, combined the personal experiences various critical thoughts and problems with enterprises and government for creating the incessment innovations.

ICT융합 기반 친환경자동차 인력양성 사업단

  • Park, Gyu-Hae;Gang, Hyeon-Uk;Lee, Ji-Geun
    • Journal of the KSME
    • /
    • v.57 no.4
    • /
    • pp.45-49
    • /
    • 2017
  • 이 글에서는 친환경자동차 분야 선진 인력을 양성하는 전남대학교 ICT융합 기반 친환경자동차 인력양성 사업단의 교육비전과 목표 그리고 주요 운영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나노기술 인력의 수요 현황 및 예측

  • Jo, Dae-Myeong;So, Dae-Seop;Choe, Gy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231-244
    • /
    • 2009
  • 21세기의 나노기술은 국가경쟁력을 위한 핵심 학문과 기술로 대두되었다. 우리나라는 2001년 7월에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였고, 2002년 12월에는 '나노기술개발측진법'을 제정하여 국가의 전략기술로 범정부 차원에서 집중 투자하고 있음. 그 주요 내용으로 연구개발과 인프라 구축과 인력양성 등을 3대 핵심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나노기술은 학문간, 기술간 및 산업 분야간 서로의 영역을 공유하는 다학제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기술로서 미래의 기술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IT, BT, ET 등 신산업과 부품, 소재 등 기존 산업의 핵심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기술로서 원천기술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다. 그동안 국내 나노기술 인력양성에 관한 조사 또는 연구는 매년 일부 수행되어 왔으나 나노기술 인력양성의 효과적 정책수립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에는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접 설문을 통해 국내 나노기술 수요업체의 실태와 인력수요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노기술의 세부 분야별 향후 인력 수요 전망을 통계적으로 예측한 후 해당 산업의 발전에 비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여 나노기술 인력 양성 정책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 나노기술 수요 업체의 특징 및 현황 - 나노기술 수요 업체의 인력 상황 및 미래 계획에 대한 설문 결과 - 설문 결과의 통계적 분석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 상황 예측

  • PDF

The Contribution for Industry of Renewable Ener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using Supply-Side Input-Output Model (인력공급지장의 측면으로 본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의 산업기여도 분석)

  • Lee, You-Ah;Kim, Jin-Soo;Heo, Eun-Ny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264-269
    • /
    • 2009
  • 신재생에너지기술 개발인력 확보는 국가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인력양성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인력공급지장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의 공급유도모형을 유도하고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 배출인원을 기준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급유도형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계수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과 타 산업간의 전후방연쇄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의 평균 영향력 계수는 1.37, 평균 감응도 계수는 0.96으로 최종 수요적 제조업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에 의해 배출된 336명의 인력이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공급지장비용은 총 230억이며, 8개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과 연료전지에 인력 공급지장비용이 타 에너지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분류 기준으로는 일반목적용 기계산업과 전기기계 장치 산업이 신재생 에너지 인력공급 장애에 따른 지장비용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Manpower Cultivation Index for Evalu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Projects (과학기술사업 정가를 위한 인력양성지수의 개발)

  • 박성현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5 no.1
    • /
    • pp.165-177
    • /
    • 2002
  • This poper proposes a manpower cultivation index(MCI) which can be used for evaluating how much a research project contributes for manpower cultivation. The four factors which are considered to influence the manpower cultivation are the number of participated graduate students(research assistants) ,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s who obtain master or Ph. D. degrees among the participated graduate students in the research projec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participated graduate students, and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s who get jobs. By the proposed MCI, three major research projects of KOSEF are analysed in terms of manpower cultivation. These are SRC/ERC(Science research center/Engineering research center) and RRC(Regional research center) and OBR(Objective based research) . The computed MCls show that the three major research projects enjoy satisfactory manpower cultivation to some ex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