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력

Search Result 7,77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Forecasting Demand for Human Resource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공간정보체계 관련 인력수요 조사 및 분석)

  • Jin, Heui-Cha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41-147
    • /
    • 2005
  • 공간정보체계 관련 구축 사업들이 시작되면서 전문분야별 소요인력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전문 인력양성을 추진하여 왔다. 초장기 인력 규모의 예측은 사업 규모에 기반하여 예측되어졌고 인력 수요기관의 요구와 특징이 반영되지 못한게 사실이다. 이제는 공간정보체계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산업 현장을 통하여 소요 인력의 예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 소요처들로부터 필요한 인력 규모를 조사하여 소요인력을 예측하고, 인력의 변화 특성들을 파악함으로서 기술수요에 따른 인력 육성분야와 수요량을 기반으로 하는 인력양성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력 소요예측은 소요 인력이 활용되는 기업 등을 중심으로 산업적 성장성과 개별 기업의 인력 요구 등을 고려한 공간정보체계의 각 분야별 인력 소요 예측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산업적 특성, 기술적 특성, 소요 인력의 수요 증가 형태 및 특징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소요 인력 규모를 산정하고 있다.

  • PDF

The Estimation Methods of Demand for Renewable Energy Workforce (주요 국가의 신재생에너지 분야 인력수요 전망체계)

  • Lee, Youah;Lee, Dongjun;Kim, Minj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38-138
    • /
    • 2011
  • 신 재생에너지 산업의 확대를 뒷받침하고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인력의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신 재생에너지는 기존 에너지원과 다르게 자국 내에서 생산 및 소비가 함께 이루어진다. 따라서 신 재생에너지의 확대는 국가의 일자리 창출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방법론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 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연구를 실시한 호주와 미국 사례를 고찰하여, 국내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 전망을 위한 고려요인 및 전망 방법론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국은 기존화석에너지와의 인력수요 차이를 고찰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호주는 시나리오 기법을 통하여 미래 신재생에너지 보급상황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는 인력의 수요를 예측 하였다. 두 국가의 경우 신 재생에너지 부문의 인력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호주의 경우 2008년 기준으로 10천명이던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가 2020년 24천명~30천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연평균 16.7%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07년 500천명의 신 재생에너지 산업 인력이 재직 중이며, 신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2030년에는 7,300천명의 인력수요가 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인력수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사례를 살펴보면 국가는 목적에 부합하는 기준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향후 신재생에너지 인력 증가에 대비하여 관련 인력양성 정책을 올바르게 세우기 위해서는 관련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외 사례 고찰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신 재생에너지 인력 수요 예측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인력수요의 예측을 위해서는 현실적인 신 재생에너지 성장 시나리오의 설정이 요구된다. 미국의 사례와 같이 신 재생에너지와 재생에너지의 인력수요 차이를 비교하는 것도 신 재생에너지 인력수요를 정량화 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인력의 범위를 직종별, 학력별로 구체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신재생 인력수요 전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구체화 해야 할 것이다.

  • PDF

A Suggestion on Promoting Training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Construction Man Power (정보통신설비 시공인력양성 방안)

  • Lee, Jun-Hyu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Engineering
    • /
    • v.2 no.2
    • /
    • pp.74-84
    • /
    • 2003
  • 21세기 경제주역인 정보통신산업이 계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전문인력 수급이 전제조건이 되어야하고, 2005년까지 정부가 추진하는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사업이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도 정보통신전문인력의 확보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인력수요가 공급보다 급속히 늘어나는 실정으로 인력부족은 갈수록 심화될 전망이며, 특히, 통신공사업은 현장, 노동집약적 산업특성으로 인하여 3D 업종으로 인식되고 있어 기술인력들의 현장 기피현상의 심화, 통신공사업 관련 기술분야에 대한 전문인력 양성기관의 부족 등으로 안정된 기술인력 확보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에 따른 공사품질저하의 악순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통신공사 관련 기술환경을 보면 기술의 고도화와 신기술의 도입이 빈번하고 그 적용기술이 다양할 뿐 아니라, 기술의 적용주기가 짧아 시장환경에 맞는 인력의 안정적 육성과 공급 및 기존인력들에 대한 신기술 재교육이 그 어느 산업보다도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에 따른 정보통신공사업의 현황과 전망을 분석하고 정보통신설비 시공전문인력의 수요현황을 토대로 정보통신설비 시공인력의 앙성방향 및 과정에 대해서 제시한다. 초고속 정보통신망의 조기구축과 시공품질향상을 위하여 기간통신망 구축에 소요되는 중급 이상의 다기능기술인력은 기능대학을 통하여 우수한 시공전문인력을 안정적으로 양성하고, 초고속인터넷 개통인력과 구내통신설비 설치인력은 단기적인 기능인력의 재교육을 통한 양성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 PDF

인력계획의 통계적 이해와 적용

  • 조관호;이현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7-103
    • /
    • 2004
  • 인력계획업무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계량적인 모형이 요구된다. 이 중에서 핵심적인 모형은 미래의 인력운영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인력운영예측모형, 인력구조, 인사제도, 인력흐름간의 수리적인 관계를 분석하는 인력구조 분석모형, 인력운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진급계획 최적화 모형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모형 개발 시 적용한 통계적 방법론을 설명하고 주요 통계적 이슈를 제기하였다

  • PDF

CCPAK리서치-'96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수급 실태조사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05
    • /
    • pp.45-58
    • /
    • 1996
  • 다가오는 21세기에 국가의 미래가 달린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보화 관련 기술의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며, 기술개발은 정보통신 기술인력의 확보에 그 성패가 달려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고도로 숙련된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 정보화의 진전에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해마다 교육기관을 통해 정보통신 기술인력이 배출되고 있음에도 기업에서는 인력 확보에 어려움으로 겪고 있는데, 이는 산업 전체의 정보화 욕구 증대에 따른 인력수요의 폭발적인 증가도 이유가 되겠으나, 그보다는 질적인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데 더 큰 원인이 있으며, 또한 인력 수급의 체계적 관리 부족도 한 원인 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업내에서의 경력별 인력 보유 현황과 교육 기관에서의 인력 배출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 인력 수급에 따른 문제점을 밀도있게 분석하고 향후 체계적인 인력 수급 정책을 마련하는 작업이 시급한 과제라 하겠다. 이에 우리 협회에서는 향후 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효율적인 인력양성 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전국 4년제 대학 및 사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96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수급 실태조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요약.발췌한다.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for human resource demand by technology fields (기술분야별 인력수요 예측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

  • Park, sang wook;Kim, sang heon;Ham, eun sik;Lee, min 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1-92
    • /
    • 2018
  • 사업체, 연구소 등이 적극적인 구인에도 불구하고 인력수요를 충원하지 못하면 정상적인 운영이 어렵게 되는바, 부족한 인력규모를 조사하여 해소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그런데 인력수요를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의 유휴 인력만으로는 충원이 어려워 인력양성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므로 현재의 부족한 인력규모를 해소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기술분야별 인력양성을 위한 인력수요 예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인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인력 양성에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므로 인력 수요를 예측하여 미리 양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전문인력양성(1)

  • Korea Radioisotope Association
    • Radioisotope journal
    • /
    • v.17 no.1
    • /
    • pp.18-22
    • /
    • 2002
  • 방사선 전문인력은 방사선이용기술 부문의 전문인력과 방사선 안전부문의 전문인력으로 대별된다. 방사선 안전 부문 인력이 본 과제의 목표인 방사선 이용진흥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는 않지만 두 부문의 전문성과 인력 수요 특성이 전혀 무관하지는 않으므로 두 부문에 대한 인력 문제를 동시에 고려한다.

  • PDF

Aging of Korean Nuclear Manpower and Implications of Manpower Policy: Statistical Analysis on Nuclear Organizations (한국 원자력 인력의 고령화와 인력정책의 함의: 원자력 관련기관 인력통계 분석)

  • Chung, Bum-Jin;Ko, Kyung-Mi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1 no.1
    • /
    • pp.1-17
    • /
    • 2012
  • In Korea,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on nuclear manpower demand and supply due to construction of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and exporting nuclear power plant. In addition, aging of nuclear manpower is another important concern for stable nuclear manpower demand and supply. A shortage of skilled high-quality human resources resulted in massive retirements of senior workers may seriously undermine Korean nuclear competitiveness. This paper analyzed current state of aging of nuclear manpower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n Korean nuclear organizations. The data used in this paper is manpower statistics of domestic nuclear organizations surveyed in 2001 and 2010. This paper analyzed trends of manpower change for 10 years and based on these analyses, has reviewed the level of the aging nuclear manpower by surveyed organization and integrated. Finally, this paper suggested to direction of manpower recruitment to cope with aging nuclear manpower and alternatives to find a solution to problems of nuclear manpower demand and supply.

A Study on the Training Strategy of Human Resources for the u-City Construction (u-City 건설을 위한 인력양성방안 수립연구)

  • Ahn, Jong-Wook;Lee, Jae-Yong;Shin, Dong-Bin;Kim, J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89-2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City인력수급 전망을 토대로 국토해양부의 u-City 관련 인력양성에 대한 실천계획이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u-City를 추진하는 지자체, 개발사업자마다 공통적으로 제기하는 문제점은 u-City 관련 고급 및 기능 인력의 절대적인 부족이다. 그러나 u-City 전문인력은 u-City건설의 특성상 도시계획 개발, 정보통신망, IT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어야하나 이러한 고급인력이 배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력양성방안의 목표를 'u-City의 성공적인 추진에 부합하는 전문인력양성'으로 설정하였으며, 수요자 중심의 교육, 지역 균형적인 전문인력양성, u-City 관련 분야의 융 복합교육, u-City 관련 교육인프라 구축을 추진전략으로 수립하였다. u-City 인력양성의 추진목표 및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중점추진과제로는 'u-City건설 전문인력교육 관련 수요전망', '지역별 거점대학 선정을 통한 전문인력의 양성', 'u-City 인력양성센터 건립추진', '교육포탈을 통한 온라인 교육', '교육인프라 구축' 등 5개를 선정하였다. u-City 인력양성을 위한 추진전략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서는 중점 추진과제들간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수적이다.

  • PDF

A Study on Supply and Demand of e-business and Establishment of guideline (e비즈니스 인력수급 실태조사를 통한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 Lim, Gyoo-Gun;Kim, Jae-Hun;Park, In-Sup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103-108
    • /
    • 2008
  • 급변하는 e비즈니스 환경과 IT기술 발전으로 인해 e비즈니스 인력의 수급예측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e비즈니스 인력수급 불균형, e비즈니스 산업분야별 인력양성 정보제공의 어려움 등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e비즈니스 인력수급 실태조사를 통해 e비즈니스 산업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인력양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업체, 교육기관, 취업자 등 조사대상을 3개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e비즈니스 산업 분야별 인력수급 실태와 기존 e비즈니스 인력양성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부의 e비즈니스 인력 관련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업체, 교육기관에게는 인력양성을 위한 지침으로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