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두편도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기능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편도 절제술 전 후의 pharyngeal airway, hyoid bone, head postur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PHARYNGEAL AIRWAY, HYOID BONE AND HEAD POSTURE BEFORE AND AFTER TONSILLECTOMY IN FUNCTION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박원서;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1-243
    • /
    • 1997
  • 본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대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Enlarged tonsil을 보이는 기능성 3급 부정교합자는 1급 부정교합자보다 혀는 전방에 위치하고 설골은 하방에 위치한다. 2. Tonsillectomy 후에 편도 절제술전과 비교하여 혀는 후방에 위치하고, nasopharynx은 증가 양상을 보이며, 설골은상, 후방에 위치하며 counterclockwise rotation 양상을 보인다. 3. Tonsillectomy 후에 nasopharynx depth변화와 하악 전치 경사도, 혀의 수직적 변화와 cranial base에 대한 hyoid axis, hyoid의 수직적, 수평적 변화와 두경부 경사도, 두경부 경사도와 하악 전치간에 95% 유의수준으로 상관성을 보인다. 4. Tonsillectomy 후에 설골 장축의 counterclockwise rotation시 hya-NL의 감소와 nasopharyx의 증가를 보이고, 혀의 거상시 hya-NL의 감소를 보이며, 혀의 후방위치시 h-h1의 증가와 hya-ba-n의 감소를 보인다.

  • PDF

구개편도 및 인두편도에서 혈관내피성 접착분자의 발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xpression of Vascular Endothelial Adhesion Molecule in Palatine and Pharyngeal Tonsil)

  • 조진희;장한성;원유성;이수진;윤희로;서병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4-181
    • /
    • 1999
  • The palatine tonsils(tonsils) and pharyngeal tonsils(adenoids) are situated at the entrance of the respiratory and alimentary tracts and represent the first site of contact with a variety of microorganisms and other antigens present in food and inhaled air. They are known as lymphoid organs carrying out the function of cellular and humoral immunity, and so they form a local protective barrier. And the expression of the vascular endothelial adhesion molecules is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inflammatory reaction in tonsils and adenoids as well as in other inflammatory tissues, by binding with the receptors on the surface of leukocytes. But although several scientific hypotheses on the role of these lympoid tissues have been suggested, their complete functions have remained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basic data of the knowledge on the immunologic physiology of the tonsils and adenoids and their role as active immunologic organs that reinforce the mucosal immunity of the entire upper aerodigestive tract. We examined 16 human tonsils and adenoids and the expression of three endothelial adhesion molecules, vascular endothelial adhesion molecule-1(VCAM-1),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 and E-selection, in tissue sections using immunohistochemistry. We used the inferior turbinate mucosa obtained from 9 patients getting septal surgery as a control group. The expressions of vascular endothelial adhesion molecule-1(VCAM-1) and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onsils and adenoids. But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onsils and adenoids. The expression of E-selection was significant higher in the tonsils, but not in the adenoids. We observed that tonsils and adenoid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s of vascular endothelial adhesion molecule-1(VCAM-1),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 and E-selection (in the case of E-selection, only in the tonsils). We propose that these adhesion molecules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immunologic reaction by the transendothelial migration of lymphocytes and binding with the receptors on the surface of leukocytes.

  • PDF

묵납자루, Acheilognathus signifer의 소화기관과 먹이생물 (Digestive Apparatus and Food of the Korean Bitterling, Acheilognathus signifer (Cyprinidae))

  • 백현민;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3
    • /
    • 2005
  • 묵납자루에서 첫 번째 새궁 (gill arch)의 새파 수는 17-21개 (평균 19개) 정도로 적은 편이었으며, 새파의 길이는 280~430 (평균 $360{\pm}35)mm$이었다. 새파 간의 간격은 130~210 (평균 $160{\pm}15)mm$이었다. 인두치의 저작면은 안쪽이 파여 있는 형태로 제1치는 저작면의 발달이 매우 미약하나 제2, 3, 4, 5치의 저작면은 발달되어 있었다. 인두치와 새파는 생활사의 초기에 완전히 형성되었다. 소화관의 길이는 체장의 $3.63{\pm}0.12$배로 매우 길었으며, 식도에서 연결되어 항문쪽으로 길게 배열되다가 한번 접히고 시계방향으로 5회 정도 감긴 후 항문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묵납자루는 주로 식물성플랑크톤의 일종인 부착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그 중 규조류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이외에 원생동물, 깔따구 유충, 식물의 씨앗, 육상곤충 등도 소화관 내용물에서 관찰되어 초식성이 강한 잡식성으로 볼 수 있었다.

뇌졸중 환자 대상의 연하재활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연구 논문 분석 (Analyses of Studies on Swallow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 곽혜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394-740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5년간(2010-2014) 뇌졸중 환자 대상 국내에서 실시된 연하재활중재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문헌검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 riss4u.net), 국회도서관과 한국학술정보(kiss.kstudy.com)를 통해 검색하였으며, 총 12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간호학 전공 논문은 4편이었으며, 8편은 작업치료학과 등 타과 논문이었다. 논문의 질적 평가는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2013)에서 제시한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평가 틀을 이용하였다. 논문의 질적 평가내용을 종합한 결과, 10점 만점에 7점인 연구가 4편이었으며, 5-6점인 연구는 6편, 4점인 연구가 2편이었다. 연하 재활 중재내용을 분석한 결과 평균 25분을 시행하였으며, 1주일에 평균 4.1회의 빈도로 총 시행횟수는 평균 33.7회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인두를 포함한 구강 운동과 호흡운동의 포괄적 중재, 직접 삼킴 훈련이 삼킴 증상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이를 간호학 중재로 활용하여 근거기반 간호 실무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단일기관에서 진단한 PFAPA (Periodic Fever, Aphthous Stomatitis, Pharyngitis, and Adenitis) 증후군의 임상양상 (Clinical Manifestations of PFAPA (Periodic Fever, Aphthous Stomatitis, Pharyngitis, and Adenitis) Syndrome from a Single Center)

  • 신민수;최은화;한미선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6권3호
    • /
    • pp.179-187
    • /
    • 2019
  • 목적: PFAPA (periodic fever, aphthous stomatitis, pharyngitis, and adenitis) 증후군은 소아 주기적 발열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기관에서 진단한 소아 PFAPA 증후군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기술하고자 한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PFAPA 증후군으로 진단된 소아 13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13명의 소아 PFAPA 증후군 환자들 중 남자는 8명(61.5%)이었다. 환자들을 중앙값 3.3년(범위, 10개월-8.3년)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환자들은 중앙값 3세(범위, 1-6세)에 주기성 발열이 시작되었고 PFAPA 증후군으로 진단이 되기 전에 최소 5회의 주기성 발열을 경험하면서 경구 항생제로 치료받았다. 발열은 중앙값 3.9주의 간격으로 중앙값 4.2일 동안 지속되었다. 모든 환자들에서 발열 시 인두염이 동반되었고 12명(92.3%)에서 경부 림프절염이 있었다. 혈액검사를 시행한 12명 모두에서 호중구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C-반응 단백과 적혈구 침강속도는 각각 중앙값 4.5 mg/dL (범위, 0.4-13.2 mg/dL)와 29 mm/hr (범위, 16-49 mm/hr)로 상승되어 있었다. 인두 도찰 배양 검사에서 정상 상재균만 자랐으며 A군 사슬알균 신속항원 검사는 음성이었다. 9명(69.2%)의 환자가 중앙값 0.8 mg/kg 용량의 경구 프레드니솔론을 투약 받았고 6명(66.7%)의 환자들에서 증상이 수 시간 이내에 호전되었다. 3명(23.1%)의 환자들은 반복되는 발열로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결론: 반복적인 발열과 함께 아프타 구내염이나 인두염, 경부 림프절염이 동반되는 소아에서는 꼭 PFAPA 증후군을 의심하여야 한다. 경구 글루코코티코이드 투약으로 소아 PFAPA 증후군에서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유리공장이식편을 이용한 인두 및 경부식도 재건술 (Pharyngoesophageal Reconstruction Using Free Jejunal Graft)

  • 김효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2호
    • /
    • pp.140-147
    • /
    • 1994
  • Reconstruction of the pharynx and cervical esophagus presents a tremendous challenges to surgeons. Over the past 2 years[1990, Dec.-1993, Jun], the free jejunal graft has been performed in 17 cases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The indications of this procedures were almost malignant neoplasms involving neck and upper aero-digestive tract; Hypopharyngeal cancer[12 cases, including 2 recurrent cases], laryngeal cancer[2 cases], thyroid cancer[2 cases, including 1 recurrent case], cervical esophageal cancer[1 case]. There were fifteen men and two women, and the mean age was 59.6 years. The anastomosis site of jejunal artery were common carotid artery[16 cases] or external carotid artery[1 case] and that of jejunal vein were internal jegular [15 cases] or facial[1 case] and superior thyroid vein[1 case]. The length of jejunal graft was from 9 cm to 17 cm[mean 13 cm] and the mean ischemic time was 68 minutes. There was one hospital mortality which was irrelevant to procedures[variceal bleeding] and one graft failure[1/16]. Oth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neck bleeding or hematoma[3 cases], abdominal wound infection or disruption[5 cases], anastomosis site leakage[1 case], pneumonia[2 cases], graft vein thrombosis[1 case], and food aspiration[1 case]. The function of conduit was excellent and ingestion of food was possible in nearly all cases. Postoperative adjuvant radiation therapy was also applicable without problem in 7 cases. During follow-up periods, the anastomosis site stenosis developed in four patients, and the tracheal stoma was narrowed in one case but easily overcome with dilation.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free jejunal graft is one of the excellent reconstruction methods of upper digestive tract, especially after radical resection of malignant neoplasm in neck with a high success rate and low mortality and morbidity rate.

  • PDF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activator유형에 따른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atment effects of different activator types in Angle's Class II div.1 malocclusion patients)

  • 김덕상;이진우;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31-444
    • /
    • 1997
  • Activator는 성장기 아동에서 치성 및 악골 부조화를 개선하기 위해 성장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악기능장치중 대표적인 것으로 1930년대부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그 사용여부, 작용방법, 효과에 향을 주어 골격적 관계를 변화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현재에는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장치가 성장중이고 협조적인 환자에서 2급 관계를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부분 의견을 공유하고있다. 본 연구는 하악골의 후방 변위를 보이는 Angle씨 2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activator를 그 사용 목적에 따라 하악골의 수평적 성장을 유도하기 위한 horizontal type activator와 수평적 성장과 함께 수직적 성장도 유도하기 위한 vertical type activator로 분류하여 사용한 결과 나타나는 치료 효과의 차이를 비교 연구하고, 각 군내의 남여군간에 치료 효과나 성장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Horizont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치료 전후 비교시 하악의 전방위치와 LAFH, AEH등 안면 전방부의 수직적 증가가 관찰되었다. 2. Horizont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남자군에서는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길이 증가를 동반한 상악의 후방위치가 관찰되었으며, 여자군에서는 하악의 길이 증가뿐만 아니라 하악전치의 순측 경사와 하안면 고경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3.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의 치료 전후 비교시 전안면고경, 전하안면고경, 후안면고경, 후하안면 고경의 증가와 함께 두개저에 대한 하악의 길이 증가가 두드러졌다. 4.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남자군에서는 하악의 길이 증가뿐만 아니라 전안면 고경과 후안면고경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여자군에서는 전안면 고경의 증가만 주로 관찰되었다. 5. Horizontal type activator 와 Vertical type activator를 사용한 군들의 치료 전후 비교시 치료전에는 골격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치료후에는 치성관계에서만 차이를 나타내어 서로 다른 activator의 사용이 주로 치성 성분에 대한 효과에만 차이를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6. 치료전에는 차이가 없던 남,여군 사이에 치료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치료 효과에 관계없이 남여에 따른 성장양상의 차이가 그대로 표현된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는 거대 편도를 가진 기능성 III급 부정 교합자의 구개 편도 절제술 전후의 인두강, 설골, 두부 위치의 변화 양상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단국 대학교 부속 치과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남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PDF

비강수술로 호전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 례 (One Case of Nasal Surgery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최지호;이흥만;권순영;이상학;신철;이승훈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1호
    • /
    • pp.64-67
    • /
    • 2005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이비인후과영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질환 중 하나로 수면 중에 상기도의 폐쇄로 인한 호흡정지가 주요한 병인이며 상기도를 구성하는 비강, 구강, 인두, 후두 중 어느 한 부분에서 폐쇄가 일어나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비폐색의 가능한 원인들로는 주로 비중격 만곡, 비용, 기포성 갑개, 후비공 폐쇄, 종양, 이물, 술 후 또는 외상 후 발생한 유착, 여러 가지 비염, 기타 질환 등이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수술적 치료에는 비강수술, 구개인 두수술,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설부 축소수술, 기관절개술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문헌들을 고찰한 결과 지금까지 성인에서 수면무호흡증 치료로 시행한 비강수술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상태이다. 최근 저자들은 비폐색과 동반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비폐색과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비중격 만곡증 및 비후성비염을 교정하기 위해 비중격 교정술 및 하비갑개 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수술 전, 후의 증상 및 수면 다원검사 비교에서 뚜렷한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이비인후과 영역에 희귀한 결석증 2례 (Two Cases of the Calculi which Are Rare in the E.N.T. Field)

  • 이석용;양오규;이영효;심상열;김재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2-11
    • /
    • 1981
  • 이비인후과 영역에서의 결석증은 타영역에 비해서 비교적 드물게 발견된다. 편도 결석은 만성편도염 환자의 소여포를 채우고 있는 건락성 충진물의 중심부에서 발견된다. 어릴때 편도염을 자주 앓았던 성인에서 발견되는 것이 보통이고, 증상으로는 구개내 이물감 및 악취를 환자 자신이 느낀다. Keratohyalin이 축적되어 결석을 형성하고 있으며 염증이 동반되면 인두통, 인통, 연하통 연하곤란등이 있을 수 있다. 비석은 비강내 이물, 응혈, 세균 가피 농후한 분비물 등이 핵이 되어 그 주위에 칼슘, 마그네슘등이 침착해서 형성된다. 성인에 따라서 외인성과 내인성으로 구분되는데, 외인성의 경우는 비강내 이물에 의해서, 내인성의 경우는 기왕에 존재하던 비질환에 의해서 각각 비폐쇄가 유발되며, 비루에 지장이 초래되어 분비물의 울혈을 가져와서 비석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성인, 여자에서 잘 생길 수 있으며 대개 편측성이고 비강저부에저 발견되는 것이 보통이다. 대개 완만한 성장을 보이므로 상당기간은 아무런 증상없이 지내다가 비폐쇄, 비출혈, 악취나는 점액농성 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하는 수가 많다. 저자들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도 희귀하게 발견되는 편도결석 1례와 거대한 비석 1례를 최근에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 평가를 위한 표면 근전도 검사의 융합적 연구 : 체계적 문헌고찰 (A Convergence Study of Surface Electromyography in Swallowing Stages for Swallowing Function Evaluation in Older Adults: Systematic Review)

  • 박선하;배수영;김정은;박혜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9-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적용한 방법을 분석하여, 임상에서 노인의 삼킴 단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2011 ~ 2021년까지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WoS)를 활용하여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7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과 성인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서 분석하거나 노인만을 대상으로 삼킴단계를 표면근전도검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강단계와 인두단계의 삼킴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표면 근전도 부착 부위는 각 단계별 관여하는 삼킴 근육에 부착하였다. 수집된 근전도 데이터는 대역통과필터와 노치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었고, 제곱평균제곱근, 진폭, 최대자발적 수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 검사가 단계별 삼킴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단계별 삼킴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융합한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