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근효과

Search Result 33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Numerical Analysis on the Collapse and Backfill Mechanism of the Abandoned Mine Cavity (폐광의 점진적 파괴 및 뒷채움 효과에 대한 해석적 연구)

  • Lee, Jun-Suk;Bang, C.S.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 no.2
    • /
    • pp.62-71
    • /
    • 2000
  • The abandoned mines causing settlement of the surface above and collapse of the cavities are the major influencing factor on the stability of the nearby underground structures. To prevent the harmful effect, the backfill methods are commonly applied to the cavities although the design criteria and the analysis method are not properly addressed in some cases. An approximate analytical method together with the numerical technique is considered in this study to simulate the gradual deterioration of the rock masses around the cavities and, therefore, the influential zone to the underground structures passing through the cavities. Also considered in this study is the backfill effect on the stability of the rock masses around the cavities. Specifically, the incomplete backfill effect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idealized backfill method by adopting elasto-plastic analysis involving a strain softening material law.

  • PDF

Making flood forecast map for coastal city : Yeosu city (연안지역에 위치한 도시의 침수예상도 작성 : 여수시를 대상으로)

  • Park, Kyu Jin;Han, Jin Gu;Jun, Hwan 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89-289
    • /
    • 2019
  • 연안지역의 침수예상도 작성은 풍수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시 진행되었으며.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을 통해 상습적으로 침수가 발생하는 구역에 대한 조사 결과 및 침수피해 이력 등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 발생 원인을 하천, 강 등의 범람에 의한 외수침수, 유역 내 관로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는 내수침수, 조위 상승, 해수의 역류 등에 의한 해수침수로 구분하였다. 대상 지역인 여수시 여수시청 인근 지역은 남해와 인접하고 있어 조위에 의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유역 내 관로와 함께 해수 내수 복합원인에 의한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침수가 발생했을 때의 피해 발생 범위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침수예상도를 작성하며, 이는 XP-SWMM을 통해 작성할 수 있다. XP-SWMM에 입력하는 자료는 강우재현기간에 따른 조위(해일고), 강우지속기간에 따른 강우분포 자료 등을 입력한다. 강우자료는 실강우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시나리오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Huff 3분위 분포시킨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침수가 발생하는 지역의 강우지속시간 및 강우량에 의한 침수위를 산정하여 재해상황 대응 기준표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재현기간 100년에 따른 재해상황 대응 기준표 작성과 강우재현기간 10년-강우지속기간 60분-50mm, 110mm을 기준으로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수시청 인근(학동지구 및 도원지구)에 대한 침수예상도를 얻어낼 수 있으며, 침수예상도를 응용한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침수예상도를 통해 침수 발생 범위를 예측하여 이를 고려한 침수 시 대피경로 작성, 침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구조적 대책 수립 방안마련 등에 응용이 가능하며, 여수지역을 제외한 연안도시 지역에도 적용하여 연안도시 침수특성분석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모의 조건을 한정하여 1개의 시나리오만을 고려했지만, 강우재현기간 및 강우지속시간 등을 보정하여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므로, 연안도시 재해 발생 시 대응 및 기준표 작성에 실질적인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driftwood behavior considering wood collision and bed deformation (충돌과 하상변동을 고려한 유목거동 연구)

  • Kang, Tae Un;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이 어려운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지성 호우는 대량의 홍수를 일으키고 산사태와 유송잡물을 동반한 흐름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인근의 초목과 식생들로부터 유목(driftwood)이 발생하기도 한다. 유목이 흐름과 함께 떠내려 오게 되면 그로 인한 운동에너지가 크게 발생하게 되며, 수공구조물과 주택가옥 등에 충돌시, 순수한 수류의 충돌보다 훨씬 큰 손상을 주기도 한다. 또한 유목이 수공구조물 인근 하상에 군집하면 통수능을 저하시키기도 하며 식생효과와 마찬가지로 유목주변으로 유속이 증가하면서 세굴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하상저하를 일으키며 수공구조물의 안정성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군집된 유목들이 교각에 충격을 주면 흐름방향으로 교각에 작용하는 외력을 증가시키게 되고 군집된 유목들이 다른 유목들을 연쇄적으로 포착하는 동시에 흐름을 지속적으로 방해하여 수위상승을 야기하게 된다. 이는 유목주변으로 세굴을 발생시켜 교량의 붕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하천유역의 경사가 매우 급하기 때문에 홍수발생시 산사태와 유송잡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대량의 유목들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의 수공구조물과 주거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유목의 거동과 군집현상을 이해하여 사전에 유목거동의 예측과 유목과 하상변동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유목에 의한 수리구조물 피해를 예측하는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유목의 거동과 군집양상을 예측분석하기 위해 유목과 흐름의 이동상 실내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유목유입량에 따른 하상변동과 유목의 하상퇴적양상 및 다양한 거동을 관측분석 하였다. 특히, 유목간의 상호충돌과 측벽충돌을 고려하는 수치모듈을 유목동역학모형에 적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이동상 하상에서의 유목의 군집과정을 분석하고 수치해석의 한계와 개선사항들을 논의하였다.

  • PDF

Monitoring o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 during summer (여름철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시공간적 특성 모니터링)

  • Kim, Ui Seok;Byeon, Sang Don;Park, Tae Seon;Nam, Chang Dong;Hong, Eun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5-175
    • /
    • 2021
  • 농업용 저수지는 양질의 농업용수를 저장하여 알맞은 시기에 적절하게 급수하기 위한 필수적인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농업용수의 용도가 점차 확장되면서 농산물의 품질에 필요한 관개용수의 수질뿐만 아니라 인근 하천과 생태계의 환경유지용량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규모가 작거나 환경적 보전가치가 없어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는 측정 및 조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의 모니터링을 통해 시공간적인 수질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에 위치한 반곡저수지로 선정하였고, 2020년 7월에서 10월까지 8회에 걸쳐 상부와 하부지점에서 총 7개의 수질항목 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간적인 특성분포 파악을 위해 총 13지점에서 수질 관측 지점별로 7개의 수질항목에 대해 Spearma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결과, 반곡저수지는 호소 생활환경기준과 OECD 부영양화 기준으로 과영양상태에 도달하였다. 집중적 강우로 인해 희석효과가 발생하여 수질항목 간의 경향성이 저하되어 정확한 분석은 어려웠지만 Chl-a와 T-P, DO와 pH 간의 유의함이 나타났으며, Chl-a와 T-P의 TSIKO 상호편차가 양의 값을 나타내며 다량의 인과 함께 조류가 성장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고 있었다. 공간적 특성분포는 저수지의 상부지점에서 농도가 높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강우 시 인근 농경지와 축산시설에 적치된 축산분뇨의 호 내 유입과 얕은 수심으로 바람에 의한 수직혼합이 영양물질을 용출시켜 부영양화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곡저수지 상부에 녹조제거제 투입 및 저감시설이 필요하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소규모 농업용 저수지 수질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and Design of the Mandrel for Fiber Optic Acoustic Sensor (광섬유 음향 센서용 맨드릴 설계 및 특성 연구)

  • Lee, Jongkil;Ha, Tae-Hyun;Lee, June-Ho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4 no.2
    • /
    • pp.331-345
    • /
    • 2009
  • In this research Sagnac interferometer three different types of mandrel are suggested and this fiber optic sensor is using in monitoring of electric transformer.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ose mandrels were analyzed and finally more sensitivity mandrel are suggested. Three different mandrels using in fiber optic sensor are hollow cylinder with outer bump, pure hollow cylinder, hollow cylinder with inner bump.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are investigated using finite element method. Mode shape are considered at the frequency range from 2 kHz to 20 kHz. Fundamental dimensions of the hollow cylinder type's mandrel are 30 mm in outer diameter, 50 mm in length, 1 mm in cylinder thickness, $2mm{\times}2mm$ in bump size. Based on the finite element results, when the outer acoustic frequency is near 11 kHz outer bump type and hollow cylinder can get higher sensitivity. Near 17 kHz outer bump and inner bump mandrel can get higher sensitivity. Near 20 kHz hollow cylinder and inner bump mandrel is useful. This results can be applied to design of fiber optic sensor using in monitoring the electrical transformer. Several MHz of outer acoustic frequency can be easily detected using more sensitive mandrel in pursuing expand this technique.

Site responses of Japanese stations near the epicenter and Korean stations for the Fukuoka earthquake (후쿠오카 지진('05. 3. 20, $M_{JMA}=7.0$)에 대한 일본 인근 지진관측소와 국내 지진관측소의 주파수응답특성 비교)

  • Yun Kwan-Hee;Park Dong-Hee;Chang Chun-Jung;Choi Weon-Hack;Lee Dae-So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79-86
    • /
    • 2005
  • The apparent source spectrum of the Fukuoka earthquake is estimated at the seismic basement by removing from the observed spectra at Korean seismic stations the path and site responses that were previously revealed through inversion process applied to large spectral D/B accumulated until 2004. The approximate source spectrum is also estimated by using data recorded near the epicenter from various Japanese seismic networks and compared with the Korean source spectrum. The comparison result shows that there is good agreement among source spectra estimated based on the data from seismic networks of Korea at large distances (190km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s under Organic Farming (유기농 밭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 Cho, Hyun-Jun;Hwang, Seon-Woong;Han, Kyung-Hwa;Cho, Hee-Rae;Shin, Jae-Hun;Kim, Lee-Yul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2 no.2
    • /
    • pp.98-102
    • /
    • 2009
  • Various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were investigated in the areas where organic farming had been practiced widely, for upland fields. The investigations were also conducted in the nearby fields under conventional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organic farm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ils. The investigated properties involved bulk density, hardness, shearing resistance, friction resistance, sinking depth of small rectangular board, water stable aggregates and the depth of soil available to plants. By and large, the practice of organic farming tended to improve all of the physical properties soils, investigated in upland soils. However, in case of water stable soil aggregates in upland soils, the reverse was previous data; in those soils water stable soil aggregates were less under organic farming. It was suspected that this might be due to intensive application of the organic materials with high C/N ratio like wood chips and wood bark. The contents of OM, Av. P2O5, and Ex. cations were higher in organic farming than those of nearby fields under conventional, due to heavy organic matter application. From th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soils under organic farming were looser and softer than those under conventional as shown by lower bulk density and hardness, but that the effect of organic farming on water stable aggregates were low.

Analysis on the Effect of Water Intake Depending on the Gate Location at the Downstream of Regulating Dam (방류수문 위치에 따른 조정지댐 하류의 취수영향 검토)

  • Kim, Young-Sung;Lee, Hyun-Seok;Yang, Jae-Rheen;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31-835
    • /
    • 2007
  • 금강은 우리나라 중부 내륙에서 서해로 흐르는 유로연장 401km, 유역면적이 전 국토면적의 약 10%에 해당하는 $9,886km^2$에 이르는 남한의 5대강 중 하나이다. 1981년, 이 강의 하구로부터 150km 상류지점인 대전시 동북쪽 16km, 청주시 남쪽 16km의 대전시와 충청북도가 만나는 지점에 대청다목적댐이 준공되었다. 대청다목적댐은 높이 72m, 길이 495m, 체적 123만$4,000m^3$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과 석괴식 댐으로 구성된 복합형 댐으로서, 이 댐의 주요시설로는 저수용량 14억9,000만$m^3$의 본 댐과 조정지 댐이 있다. 그 후 1992년에는 대청 조정지 댐 하류 200m 지점에 현도 지방 산업단지 취수장(시설용량: $17,600m^3$/일)이 건설되었으며, 통상 하루 약 7,500톤의 물을 인근의 공단에 공급해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취수량이 급격히 감소됨에 따라, 인근 공단으로의 물 공급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서 한국수자원공사는 취수장 관리자의 요구에 따라 조정지 댐 방류 수문 위치조정 및 방류량 조절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정량적으로 검토되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명기한 조치의 실효성을 파악 하고자, 수문의 위치변화에 따른 취수구 부근의 수리특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조사항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하천용 유량측정장비 (StreamPro ADCP (Teledyne RD Instruments))를 이용한 방류구와 취수구 사이의 유량 조사 둘째, 다 항목 수질 및 3차원 유속 측정장비 (ADV6600 (Sontek / YSI, Inc.))를 이용한 취수구 앞에서의 유속, 유향 및 수위변동 조사 셋째, 수위계 (Orphimedes (OTT MESSTECHNIK GmbH & Co. KG)) 및 파고계 (Compact-WH (Alec Electronics Co., Ltd.))를 이용한 하천을 횡단하는 취수구 좌 우 지점에서의 수위변동 모니터링 그 결과 방류수문의 위치변화에 따른 취수구 인근의 수리학적 특성은 조정지 댐의 방류수문으로부터 약 100 - 150 m 하류의 횡단면에서는 유속분포의 차이가 발견 되었으나 하류로 흐름이 진행됨에 따라 그 차이는 감쇄되고 약 200m 떨어진 취수구 앞의 횡단면에서는 유속분포가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Site Responses of Japanese Stations Near the Epicenter and Korean Stations for the Fukuoka Earthquake (후쿠오카 지진 ('05. 3. 20, $M_{JMA}=7.0$)에 대한 일본 인근 지진관측소와 국내 지진관측소의 주파수응답특성 비교)

  • Yun, Kwan-Hee;Park, Dong-Hee;Chang, Chun-Jung;Choi, Weon-Hack;Lee, Dae-Soo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8 no.1
    • /
    • pp.15-21
    • /
    • 2005
  • The apparent source spectrum of the Fukuoka earthquake is estimated at the seismic basement by removing from the observed spectra at Korean seismic stations the path and site responses that were previously revealed through inversion process applied to large spectral D/B accumulated until 2004. The approximate source spectrum is also estimated by using data recorded near the epicenter from various Japanese seismic networks and compared with the Korean source spectrum. The comparison result shows that there is good agreement among source spectra estimated based on the data from seismic networks of Korea at large distances (190 km

  • PDF

A Study on Damge Effect from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BLEVE) of LPG Charging Facility (LPG 충전소의 BLEVE 현상에 따른 피해효과 분석)

  • Roh Sam-Kew;Kim Tae-Hwan;Ham Eun-G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3 no.3 s.8
    • /
    • pp.45-50
    • /
    • 1999
  • The LPG refueling station's explosion at Bucheon city was a major accident which with rar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large damage effect. Therefore, to prevent similar accident in the future from LPG charging stations which located in urban area. It needs to identify the damage effects of such facilities by comparing theoretically quantities risk and actual damage. The BLEVE effects from the accident showed similar damage effect in case of heat flux, however, the overpressure level reflected at the reduced distance by $15\%$. The structure damage to the near by area showed comparatively large heat radiation damage to the concrete structure strength and shape changes through heat flux while the overpressure effect was sma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