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구 특성

Search Result 2,90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nalysis of liv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to measure urban vitality - Focusing on mobile big data - (도시활력 측정을 위한 생활인구 특성 분석 - 이동통신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 Yoko Kamata;Kwang Woo NA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4
    • /
    • pp.173-187
    • /
    • 2023
  • In an era of population decline, depopulated regions facing challenges in attracting inbound population migration must enhance urban vitality through the attraction of living populations. This study focuses on Busan, a city experiencing population decline, comparing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gistered residents and living populations in various administrative districts (Eup-Myeon-Dong) using mobile communication big data. Administrative districts are typified based on population change pattern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using indicators related to urban decline and vitality. Spatiotemporal distribution analysis reveals generally similar density patterns between registered residents and living populations; however, a distinctive feature is observed in the city center areas where the density of registered residents is low, while the density of living populations is high. Divergent trends in spatial patterns of change between registered residents and living populations show clusters of registered population decline in low-density areas and clusters of living population decline in high-density areas. Areas adjacent to declining living populations exhibit large clusters of population changes, indicating a spillover effect from high-density to neighboring areas. Typification results reveal that, even in areas with a decline in registered residents, there is active population influx due to commuting or visiting. These areas sustai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businesses, confirming the presence of industrial and economic growth. However, approximately 47%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Busan are experiencing a decline in both registered residents and living populations, indicating ongoing regional decline. Urgent measures are needed for enhancing urban vitality.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utilizing living population data as an urban planning indicator, considering the increasing limit distance of urban activities and growing interregional interaction due to advancements i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Fertility Differentials b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Korean Population Census Data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 - 인구센서스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 Lee, Sam-Sik;Kim, Dong-Hoy;Kim, Tai-H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9 no.1
    • /
    • pp.1-23
    • /
    • 2006
  • 본 연구는 한국 기혼여성의 차별출산력 분석으로 인구학적 특성으로 연령, 초혼연령, 혼인상태 및 가족유형(가구구성)을 포함하구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거주지역, 교육정도, 경제활동상태, 직업 및 주택 점유형태를 포함하였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원자료로 하여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출산력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기법을 이용하였다. 초혼연령이 높아지면서 출산수준은 현저히 낮아졌으며, 배우자와 동거하는 기혼부인의 출생아수가 가장 많았으며, 이혼한 경우 가장 적었다.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3세대 이상 가족이 동거하는 가구의 경우 출산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최근 이혼이 급증하면서 유배우 상태가 빠르게 감소하구 1세대나 독신가구의 증가와 3세대 이상 가구의 감소는 앞으로의 출산수준을 더욱 빠르게 할 것이다. 사회경제적 특성별 차이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도시규모가 클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전문사무직종에 근무할 경우, 그리고 전월세로 거주할 경우에 출산수준이 낮았다. 사회경제적 특성별 출생아수의 차이는 1980년에 가장 컸으며, 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더욱이 출산수준이 높은 농촌인구의 급감,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교육간 차이의 감소 농어업직에 종사하는 기혼여성의 감소 등은 전체적인 출산수준을 빠르게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기혼부인의 특성별 출생아수의 차이는 여전히 뚜렷하였으나 그 차이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또한, 출생아수가 많은 집단의 구성비가 빠르게 줄어드는 것을 감안하면 전체적인 출산수준의 감소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앞으로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결과가 발표될 때 그 간의 특성별 출생아수의 차이와 인구구성비의 변화를 분석하면 대체출산수준에 근접한 1980년 이후 빠른 출산력의 감소원인을 이해하고 출산력의 장래 변화를 효과적으로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식민지 시기(1910년-1945년) 조선의 인구 동태와 구조

  • Park, Gyeong-Suk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2
    • /
    • pp.29-58
    • /
    • 2009
  • 식민지 시기 조선의 인구동태는 한반도 안과 밖에서 역동적으로 진행되었다. 한편으로 자연성장률이 크게 성장하였고, 국내외 이동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식민지 시기 동안 정확히 얼마만큼의 조선인의 인구성장이 이루어졌고, 그 동태의 특성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식민지 조선 인구 동태의 중요한 특성은 무엇보다 조선 안에서의 완만하거나 정체된 인구성장과 대비하여 만주와 일본에서의 조선인의 급속한 증가로 요약할 수 있다. 식민지 시기 조선내 인구의 자연성장율은 1910년-1915년 사이 10.57%o에서, 1935-1940년에는 20.4%o, 1940-1944년에는 24.4%o로 증가하였다. 그런데 식민지 시기 자연성장율이 실질적으로 크게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내 인구성장이 1930년대 중반부터 떨어지고 이후 정체되었다. 이는 많은 인구가 만주와 일본에 이출한 때문이다. 식민지 기간 동안 조선의 인구는 1,260만 여명이 증가하였는데 그 중 약 69%인 870 만여 명이 한반도 안에 있고 31%가 만주와 일본으로 유출되었다. 집단적인 디아스포라의 경험은 해방 이후의 정치 역학과 사회 구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귀환하지 않은 해외 조선인들의 국적과 민족 정체성을 둘러싼 긴장은 지금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Trend in Elderly Migration by Region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지역적 특성에 따른 노령인구 이동에 관한 연구)

  • 이정재;한이철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29-29
    • /
    • 2004
  • 통계청에 따르면 2000년 현재 우리나라는 노인인구 7.2%로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하였고, 2019년 노인인구 14%로 예측된다. 이렇듯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전체 인구에서 노인의 비중이 커지게 되었고, 노인은 지역계획의 주요한 요소로 자리잡아, 이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노인관련연구는 식생활과 생활상, 지역특성으로 인한 수명변화 등 피동적인 연구에 집중되고 있으며, 인구이동과 같은 개인의 능동적인 선택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면이 있다. (중략)

  • PDF

The Characteristics of Intra-Urban Migration in Seoul (서울시 내부 인구이동의 특성에 관한 연구)

  • Choi, Eun-Young;Cho, Dae-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2
    • /
    • pp.169-186
    • /
    • 2005
  •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geographical patterns of migrations and the influence of housing value(apartment) per pyung on the migrations within the one city(Seoul) for 1995$\sim$2003. The migration flows which are composed of the origin, the destination and the number of migrants, are examined at the administrative gu and dong level. As most migrations occur among adjacent gus and dongs, short-distance migration is prominent But there is a tendency for the short-distance migrations to occur between specific regions.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1997 out of which Korea was rescued by IMF, differentiation of housing price is so evident that residental relocation is selective among dongs. It seems that the differentiation of housing price has begun to facilitate the relocation of households. Certain social groups are excluded from high-quality residences, as they cannot afford the high price. The number of migrants between dongs is closely related to the variation of the housing value per pyung within dongs. The short-distance migration may reflect this phenomena simultaneously. It seems that the intra-urban migrations in Seoul play a important role to produce and reinforce the residential segregation.

  • PDF

Patch Model-Based Epidemic Simulation System (패치 모델 기반의 전염병 시뮬레이션 시스템)

  • Choi, Hoon;Park, D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465-1468
    • /
    • 2010
  • 지난 몇 년 동안 전염병 확산을 분석하기 위해 InfluSim 을 기반으로 한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InfluSim 은 국내 각 지역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과 인구 이동 등을 고려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InfluSim 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전염병 확산에 대한 방역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부적절한 측면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패치 모델을 개발하였다. 패치 모델은 전국을 16 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의 인구 통계학적인 특성을 고려하고, 각 지역 간의 인구 이동을 고려한다. 패치 모델은 InfluSim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16 개 지역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및 지역 간의 인구 이동량을 네트워크 모델로 보완하였다. 본 논문은 패치 모델 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해 서술한다.

Estimation of Flow Population of Seoul Walking Tour Courses Using Telecommunications Data (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도보관광코스 유동인구 추정 및 분석)

  • Park, Ye Rim;Kang, Youngok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9 no.1
    • /
    • pp.181-195
    • /
    • 201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context by analyz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walking tour course and visualizing effectively using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constru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data.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refinement algorithm was developed for estimation flow population along the road and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for each walking tour courses was constructed. In order to adopt the algorithm for forming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the walking tour courses, the estimation of floating population considering the area of the road and the estimation of floating population considering the value of floating population around the road were compared. As a result, the estimation of floating population considering ambient the values of flow population was adopted, which is more appropriate to apply analysis method due to the relatively consistent data. Then, a datamining algorithm for walking tour course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the absence of missing values.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flow characteristics and spatial patterns of 18 walking trails in Seoul through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according to walking tour course. To do this, the kernel density analysis and the Getis-Ord $G^*_i$ statistical hotspot analysis were applied to visualiz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walking tour course.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사회인구학적 상관요인에 대한 공간분석

  • Jo, Dong-Gi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2 no.3
    • /
    • pp.1-20
    • /
    • 2009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지리적 가중 회귀(GWR)를 이용하여 건강 관련 삶의 질(HRQoL)의 사회인구학적 상관요인에 대한 공간분석을 시도한다. 관찰의 독립성과 오차의 동분산성을 가정하는 전통적 회귀분석과 달리,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은 속성정보뿐만 아니라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공간분석 기법이다. 분석모형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EQ-5D를 종속변수로 하고 지역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노령인구비율, 조이혼율, 병상수, 재정자주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구성하였다. 종속변수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지역사회건강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독립변수는 통계청 온라인 DB에 수록된 지역별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형을 추정해 본 결과 전반적으로 사회적 특성보다는 노령인구비율이나 조이혼율과 같은 인구학적 특성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변이를 고려하는 지역모형은 전역모형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중요한 유형을 보여주는데, 노령인구비율 변수와 조이혼율 변수의 지역별 추정치를 지도상으로 살펴본 결과 변수들의 효과가 공간적 위치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또한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이 전통적 회귀분석에 비해 공간적 자기상관의 문제를 극복하고 모형의 부합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Changes in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New Towns in Korea: Focused on Five New Tow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우리나라 신도시의 인구 및 주거특성 변화: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 Yoon, Jeong-Joong;Kim, Eun-Mi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5 no.4
    • /
    • pp.235-246
    • /
    • 2014
  • In the late 1980s, 5 new towns such as Bundang, Ilsan, Pyeongchon, Sanborn, Jungdong were constructed to solve housing problems and to disperse functions concentrated within Seoul. As the city got matured, it began to appear the initial signs of urban problems such as aging of high rise-density apartment sites, traffic congestion, lack of parking spaces and aging of infrastructure.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urban problems, it is very important to apprehend the process of urban growth, its change and the feature of physical/human elements.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housing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for past 20 years by use of Census data from 1995 to 2010. First, the new town's goal of population and housing plan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as analyzed how it was achieved, and it is close to the performance of the goal. And the trend of changes in the population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by every five year's data.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shows socio-demographic changes such as aged and elderly population growth, rapid increase in one generation's household and single person household, highly educated city, monthly rent household's increase and charter household's reduction.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be utilized to aforethought management of new towns. But it is required more sustained and systematic urban monitoring and data analysis because the one-off analysis of the city's characteristics alone is difficult enough to grasp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