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구 통계적 변인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3초

골퍼의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골프변인과 구매성향 (Golf Factor and Purchase Tendencies According to Golf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김주애;장정아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2-50
    • /
    • 2006
  •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to find out the golf factor comparison and purchase inclination according the golf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golf factor comparison according to the Gyeongnam golf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with cross analysis and $X^2$ verification, the purchase inclination with T verification and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Golfs' factor relation according to total income was performed with cross analysis and $x^2-test$. The golf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s. The participation purposes of playing golf for men were as a hobby, relations and business. And the participation purposes of playing golf for women were as a hobby and health. The higher age was, the more the golf career was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factor of marital status, unmarried people play for a hobby and married people play for better relations and business. In the factor of gross income, male golfers varied in the gold career and monthly playing times. Female golfers varied in the golf career. Regardless of gender, the higher the income was, the more the golf career was. In the comparison of buy behavior according to the golf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le golf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stentation and fashion according to the monthly purchase of golf-wear. The group that spends more on the monthly purchase of golf wear was higher than the group that spends less on the monthly purchase of golf wear. Unmarried golfers showed more ostentation tendency that married golfers.

  • PDF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노년 여성의 외모관심과 자신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earanc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Elderly Women Associated with Demographic Variables)

  • 이명희;이은실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72-1081
    • /
    • 199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clothing interest and body adornment) and self-confid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and allowance,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clothing interest and body adornment on self-confidence of elderly women.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amples of 215 elderly women (ages 60 to 70) in Seoul, Korea. The instrument was a questionnaire and the survey was done in face-to-face method.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adornment according to age. After age was controll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according to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interest and self- confidence according to allowance. 2. Education and allowance had a direct effect on clothing interest. Allowance, age, and edu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body adornment. Edu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allowance. 3. Clothing interest and allowance had a direct effect, and edu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self-confidence. Body adornment and allowance had a direct effect on self-confidence, education and age had an indirect effect on self-confidence. The present findings provide that appearance interest such as, clothing interest and body ador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confidence of elderly women. It appeare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body adornment and allowance was stronger than the connection between clothing interest and allowance. The causal relationship of clothing interest on self- confidence was stronger than the causal relationship of body adornment on self-confidence. The clothing interest was a variable that most affected on self-confidence of elderly women.

  • PDF

쇼핑성향과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초저가 화장품의 구매행동 (Purchasing Behaviors of Budget-priced Cosmetics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and Demographics)

  • 현정희;추태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624-6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of budget-priced cosmetics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Questionnaires used for this study were composed of 57 questions including 21 questions about cosmetic shopping orientation, 32 questions about budget-priced cosmetic purchasing behavior and four questions about demographic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20 to 49 aged 317 women who have shopping experience on budget-priced cosmetic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chi}^2$-test, correlation,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scheffe test utilizing SPSS/W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hopping orientation of cosmetics were classified into 5 factors: 'interest and impulsive purchasing tendency', 'price-oriented purchasing tendency', 'ration-oriented purchasing tendency', 'famous brand-oriented purchasing tendency' and 'brand royalty- oriented purchas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shopping orientation of cosmetics,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passive shopping group', 'rational shopping group', 'active shopping group', 'neutral shopping group'. Second, when comparing each group's purchasing behavior of budget-priced cosmetics with shopping orientation of cosmetic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one time purchasing cost and the number of shop visits. In case of demographic variables concerning purchasing behavior of budget-priced cosmetic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e time purchasing cost according to age, level of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The number of shop visits had also difference according to age, level of education and monthly family income. Based on these results, marketing strategie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arget market rather than the shopping orientation are needed.

사업체 급식서비스 품질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비교분석 (Analysis of Demographic Backgrounds on Factory Foodservice Quality for Employee Grouped by Working Types)

  • 김신자;김명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7권4호
    • /
    • pp.397-409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customer expectati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foodservice quality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n foodservice quality and finally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foodservice quality. A survey of 4 factory foodservices was undertaken and detailed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675 respondent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Male had higher scores than female in perceptions of foods and services,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nalysis of expectati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result of age, expectation and percep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ostly expectation and perception increased according as age increased. Expectation and perception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Married people had higher scores in expectation and perception of food and service than single. According to family type, respondents living alone showed lower scores in expectation and perception of food and service than those living with family or relatives. Conversely, living alone had high expectation on service. As analysis of work type, office workers showed higher scores of service expectation, food and service perception than production workers. As education level increased, food and service expectation and perception increased mostly. As analysis of work post, food and service expectation and perception increased as work post raised. Meanwhile, married people had higher scores in service quality of satisfaction than singl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nalysis of expectati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foodservice quality, the Quadrant of food and service quality expectation and perce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Expectati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scores of foodservice attributes according to work type. The distribution of attributes with satisfying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id.

  • PDF

웰빙 트렌드 로하스(LOHAS)에 관한 외식 소비자의 인식 차이가 메뉴 선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fferent Perspectives about Well-being Trend LOHAS on the Menu Selecting Behavior of Diners-out)

  • 조우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07-323
    • /
    • 2009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외식 행동 특성은 빈도(N)와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조사대 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에 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2$-검정을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메뉴 선택행동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메뉴 선택 요인과 일반적인 특성과의 차이(t-test & ANOVA)를 검정하였고, 건강지향도과 만족도와의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인들과 메뉴 선택 행동의 차이는 대체로 연령, 학력,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평균이 높게 나타나 웰빙 메뉴 선택 행동에 높은 관여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메뉴 선택 행동이 건강지향성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결과 식생활 습관성은 건강지향성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외식기업들은 이러한 집단을 마케팅 목표로 설정하여 그에 맞는 메뉴 개발 및 업체의 컨셉을 정하여 판매 촉진을 개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수트디자인 시각효과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Suit Design by Image Visual Effec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박순천
    • 복식
    • /
    • 제53권6호
    • /
    • pp.131-143
    • /
    • 2003
  • This treatise deals with the profitable suit image design of middle-aged men by examining visual effects in physical design. The sample of this study is people who lives in Kwangju, the Republic of Korea and 20-50 age's men and women. And it is very variety in each population statistics factors the differences of associate design visual effect which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sex and age group, numbers of button, a figure and material pattern. Firstly, look into the associate design visual effect by sex and button number. In men's group, the style with three buttons was the most attractive and that with two buttons was the least attractive. In 50's group, the style with two buttons was the least attractive and those with 1.3 and 4 buttons were a little attractive. Secondly, in the difference of associate design with sex and shape, men's group was considered that standard type was the most attractive shape, women's group was thought that lean and standard types were the most attractive shape. So we can know that the attractive shape is different with sex. In the difference of association design with age and shape, 20's considered that standard type was the most modernistic and fat type was the least modernistic. 30's considered that lean type was the most modernistic and 50's thought that fat type and standard type were the most modernistic. Thirdly, see the sex and material pattern. In familarity, men's group considered that stripe pattern was more familiar than checks and plain patterns. And they considered that striped pattern and plain was more manly than checks. In sex and material pattern, 20's thought that plain was the most attractive, stripe was the next, and checks was not attractive. 40's estimated that plain and stripe were more attractive than checks. 50's judged that stripe was the most attractive material. Thus. the attraction is different with ages and material patterns.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만족도와 의복관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ody Cathexis and Clothing Invovemen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구양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9-4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ody cathexis and clothing involvemen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in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athexis and clothing involvment. Five aspects of body cathexis(lower body, head/upper body, height, weight, torso) were assessed with 17 Likert type questionnaires adapted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and 24 items of clothing involvement were measured.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430 women in Taegu,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rcentage, frequency, factor analysis, ANOVA, Sceffe tes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body cathexis showed head/upper body, height, torso, lower body, weight in order of satisfaction level. Especially lower body and weight part were shown as the most unsatisfactory body parts. Age of 20s' showed the lowest body cathexis, and those who had th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income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bodies. 2. Five dimensions of clothing involvement were derived by factor analysis such as fashion, interest, pleasure, symbolism, and perceived buying risk. 3.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dimension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income level. Those who were younger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partially among fashion, interest and pleasure of clothing dimensions but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in total clothing involvement. Those who ha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income showed positive clothing involvement than married women and empolyed showed higher clothing involvement with symbolism and perceived buying risk than unemployed women partially but not in total clothing involvement with symbolism and perceived buying risk than unemployed women partially but not in total clothing involvement. 4.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body cathexis and interest, perceived buying risk of clothing involvement partially.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body cathexis and total clothing involvement was relatively low.

  • PDF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정신과 장애의 관련성 (A Relation betwee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ncer Patients on Radiotherapy and Psychiatric Disorders)

  • 김호찬;문창우;박시성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134-141
    • /
    • 1999
  • 연구목적 : 암환자에서는 암의 임상적 특성이나, 치료방법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인 문제들이 발생한다. 특히 방사선 치료는 다른 방법의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서 볼 수 없는 다른 심리적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정서적 고통과 갈등이 가중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치료중인 암환자들에게는 어떠한 정신과 장애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 정신과 질환이 암과 관련된 다양한 임상적 특성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방사선 치료를 위해 치료방사선과에 입원한 암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여. DSM-IV 진단기준에 따라 정신과 장애를 평가하고, 환자들의 인구학적 자료, 암의 부위, 이환기간, 재발횟수 등의 임상적 특성, 암환자의 암에 대한 인지여부,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 등의 요인과 정신과 장애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 1) 21 명(44.7%)의 환자가 정신과 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적응장애가 14명(66.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5명(23.8%)의 환자에서 동반된 주요 우울장애였다. 2)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종교 등의 인구학적 변인과 정선과적 장애와의 관련성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3) 암의 부위별로는 골반부에 위치하는 암이 22명(46.8%)으로 가장 많았으며, 암의 부위, 이환기간과 정신과 장애와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4) 암의 재발에 있어 재발의 증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재발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과 장애의 이환율이 높았다. 5) 암의 인지여부와 정신과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은 없었다. 6)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와 관련하여, 방사선 치료가 단지 보조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군이 방사선치료에 의해 완치될 것으로 생각하는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신과 장애의 이환율이 높았다.

  • PDF

공간척도 유형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의 민감도 분석 (Exploratory Sensitivity Analysis of Environmental Equity to Spatial to Measures)

  • 전병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08-521
    • /
    • 2006
  • 환경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어떤 분석방법이 적용되느냐에 따라 많이 다르다. 또한, 경험적 연구에서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정보와 자료도 흔히 불확실하고 부정확하다. 본 연구는 환경적 형평성 분석에 있어서 이러한 방법론적 일관성 결여와 자료의 불확실성을 다루기 위해서 민감도 분석이라는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근접성과 축척이라는 두 개의 공간척도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의 민감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두 가지의 실험이 환경적 형평성 분석에 대한 두 개의 공간척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통제 및 실험인자들을 사용하면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실험을 위해서 미국 조지아주 풀톤 가운티가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되었고,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연구지역의 1990년 인구센서스 자료와 유독물질 배출목록(TRI) 데이터베이스가 지리정보시스템으로 통합되었다. 독립표본 t-test와 편재계수를 이용한 통계분석이 연구지역에서 환경적 행평성을 결정하고 공간척도의 유형에 따른 인구의 사회경제적인 특성의 상대적 변이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지역에서 환경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TRI 시설들의 영향권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버퍼거리에 약간 민감하지만, 분석에 사용된 지리적 축척에는 민감하지 않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어떤 공간척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공간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통계적인 측면에서 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형태와 이용동기 그리고 인터넷 중독 가능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ng Korean College Students' Internet Use Patterns and Motivations, and Exploring Vulnerability of Internet Dependency)

  • 송종길;최용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16권
    • /
    • pp.71-107
    • /
    • 2001
  • 미국에서 이루어진 인터넷 중독 현상에 대한 초기 연구는 인터넷 중독을 알코올중독과 같은 개인의 정신적 질병으로 간주하는 의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나 사회현상으로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사회과학자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밝히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 인터넷 이용과 초고속 인터넷 망 보급속도에서 세계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우리의 경우에도 인터넷 이용에 따른 많은 부정적인 현상들이 나타남으로써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일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이들 연구들은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인터넷 중독정도를 측정하는 차원에 머물고 있다. 즉,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분석하는 차원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10대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연령층의 인터넷 이용특성을 파악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00년에 발표된 한국전산원 통계수치에서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집단으로 조사된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1) 이들의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밝히고 (2) 이들 변인들과 인터넷 중독과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며 (3) 인터넷 중독의 정도와 중독요인을 조사하고 (4) 마지막으로 인터넷 이용이 다른 미디어 이용과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0년 5월 8일부터 19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서울시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시간에 설문지를 배포하고 응답자가 설문지에 답하는 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556명의 설문지 가운데 유효한 512명의 설문지가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1) 인터넷 이용패턴 (2) 인터넷 이용 동기 (3) 인터넷 의존도 (4)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 이용정도 (5) 인터넷 이용 이후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정도 (6)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통계 분석 후 나타난 몇 가지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이용동기와 인터넷 이용과의 상호관련성 이용동기를 요인 분석한 결과, 6개의 이용동기가 나타났는데 오락이 가장 주요한 동기였으며 다음으로 교육/정보, 현실도피, 외로움, 쇼핑, 그리고 성적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동기들을 인터넷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성을 통계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성적 만족이 6가지 요인 가운데 가장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이용동기 분석에서 두 번째 높게 나타난 교육/정보 역시 성적 만족 다음으로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이 10대들의 인터넷 이용형태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행하지 못한 이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인터넷 이용동기와 인터넷 서비스와의 상호관련성 '오락은 게임, 토론그룹, 전자메일, 채팅과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보는 검색과 쇼핑, 현실도피는 게임과 토론그룹, 외로움은 토론그룹, 전자메일과 채팅, 쇼핑은 온라인 쇼핑과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성적 만족과 관련해서 게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주로 이용하지만 성적 만족을 위해 전자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인터넷을 이용한 후 응답자들의 전통적인 미디어(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편지, 전화) 이용이 감소되었으며 친구, 가족, 이성친구와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역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같은 감소가 인터넷 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터넷 중독 정도와 중독 요인 10대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인터넷 중독 현상이 대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응답자의 28.5%가 중독집단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가진 잠재적인 인터넷 의존자(Moderate Internet Dependent)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이용동기 가운데 오락, 외로움과 현실도피가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이용시간 역시 주요변인으로 분석되었다. 흥미 있는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인터넷 중독과 밀접한 관련 있는 인터넷 서비스로 조사된 게임과 채팅이 주요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이용동기와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 조사 결과에서처럼 전자메일서비스는 인터넷 중독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