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구 변천 과정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 seconds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천 추이와 결정요인

  • Jeong, Seong-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1-22
    • /
    • 2005
  •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천과 그 결정요인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출산력 감소의 속도와 인구변천 단계에서의 출산력 변화, 그리고 인구변천 후기에 출산력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지난 40년간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화 추이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변천 과정을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련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사회경제 지표들과 영아사망률 및 출산력과의 관계는 대부분 예상했던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관계의 통계적 유의성은 조사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표 중 문맹률은 조사 시기에 관계없이 모두 출산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고 있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출산력이 낮아진다는 일반적인 견해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화율과 소득이 각각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은 시기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성을 달리 하고 있다. 연구 모형에서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영아사망률은 출산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영아사망률을 통하여 출산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도 비교적 잘 드러나고 있다.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개발도상국의 인구변천 유형과 특징)

  • Chung, Sung-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9 no.2
    • /
    • pp.89-113
    • /
    • 2006
  • Over the past four decades reproductive behavior has changed rapidly in much of the developing countries. The average total fertility rate has fallen by half from six or more to near three today. Between 1960 and 2000 the largest fertility decline occurred in Asia and Latin America. The mortality rate has also decreased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attern and characteristic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t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regional fertility and mortality transition. Africa, the total fertility rate is still high, can be match to the second stage of demographic transition. Similar case is found in Southern West Asia areas. However, the fertility rate has therd stage of demographic transition. The same pattern is found in Latin America. The mortality rate has also decreased in most of developing countries. It is interesting to find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among developing countries. In terms of crude death rate, Latin American countries show the lowest rate. while African countries remain still high rate. About mortality, African countries show a high level in terms of both crude death rate and infant mortality rate. African countries also show the lowest level of life expectancy in the world. One of the reasons for low level of life expectancy in Africa is the widespread of AIDS in this areas.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include 'AIDS' in the study of mortality in African countries.

Aging and Population Policies in Korea, China and Japan (한.중.일 3국의 고령화와 인구정책)

  • Koo, Sung-Yeal;Park, Jong-Da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3
    • /
    • pp.1-31
    • /
    • 2007
  • Korea, China and Japan have been undergoing economic development, demographic transition and population aging, in a speed unparalleled in world history. This paper examines, for each of these countries, on (i) the trend and prospect of the effective dependency burden (EDB) in terms of stable population and (ii) the optimum fertility path which will lead to a stable population with the minimum level of EDB under the trend and prospect of decreasing age specific mortality rates. It then evaluates (iii) the transitory EDB costs of pro-natal policies during the adjustment process of stabilization and (iv) the effectiveness of other supplementary policies which influence EDB parameters.

The Labor Force Transformation in Korea: 1960~1980 (한국에 있어서 각 산업부문간 노동력의 변천과정)

  • Kim, Hang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9 no.2
    • /
    • pp.107-128
    • /
    • 198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력의 사회적 특성적인 면에 있어서 각기 다른 산업에 종사하는 노동력의 "누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가에 중점을 두면서 한국의 산업 각 부분간의 변천과정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는 1960, 1970, 1980년에 실시된 한국 센서스 자료가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1960년과 1980년 사이의 한국의 산업 구조적인 면에 있어서의 급속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한 변화들은 주로 경제발전 정책과 더불어 농촌지역에서 도시지역으로의 인구이동에 기인된다고 하겠다. 예를 들면 1960년에 65%의 노동력이 1차 산업에 종사한 반면에 1980년에는 38.5%로 감소했고 이와는 대조적으로 1960년에 오직 8.7%의 노동력이 2차산업에 종사하던 것이 1980년에는 27.6%로 증가하였다. 3차 산업 역시 1960년에 23.8%에서 1980년에 33.9%로 10%의 증가를 보였다. 경제.발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실업자들이나 잠재 실업자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었기 때문에 경제구조 자체가 예전에 비해 더 안정이 되고 생활수준도 향상이 되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결과는 부분적으로는 계속된 5개년 경제개발 계획에 기인된다고 할 수 있다. 경제발전 과정에서의 대도시로의 인구집중, 특히나 2차 산업과 3차 산업이 집중되어 있는 서울로의 인구집중은 주택, 교통, 범죄등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 동시에 도시지역에의 과잉 노동력의 존재와 농촌지역에는 특히나 농번기에 노동력 부족현상을 야기시키고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성노동력의 비율, 전문직과 사무직 종사자, 그리고 서비스분야 종사자들의 비율이 증가하였는 데 비해 대부분의 다른 국가에서 처럼 한국에 있어서도 자영인의 비율은 경제발전 과정에서 감소하였다. 경제발전과 더불어 보다 전문화되고 조직화된 시장중심의 생산체제가 가구와 지역사회 중심의 생산기능을 흡수하므로서 많은 노동력이 임금 노동자가 되었다. 특히나 단순노동을 통한 많은 젊은 여성들을 고용하는 제조산업 분야에서 여성들이 낮은 임금과 과로 그리고 나쁜 작업환경으로 인하여 그들의 건강을 해치고 직업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많다고 하겠다. 지난 20년에 걸친 급속한 정부 주도형의 경제발전은 노동력의 제 산업 간의 급속한 변천과 더불어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낳았다고 할 수 있겠다.측면을 모두 낳았다고 할 수 있겠다.

  • PDF

Internal Migration and Changes in the Gun's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인구이동과 지역단위별 농촌인구분포의 변화)

  • Kim, Nam-Il;Choi, So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1 no.1
    • /
    • pp.42-79
    • /
    • 1998
  • There was a rapid population change accompanied with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recently in Korea. The changes were nationwide though greater in rural, where the population decreased steeply, through the internal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There, in the structure of Gun's population, severely distorted features have been shown in the study. Also, the structure differ greatly by Gun. It indicated that the rural problems were much more serious than anticipated when analyzed generally. It tells u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problems related with different population structure in developing the programs for the rural.

  • PDF

Do Economic Variables Affect fertility\ulcorner A Critical Review on the Income Theory and Relative Economic Theory (출산력변동에 미치는 경제적변인에 관한 고찰)

  • Kuk, Min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1 no.1
    • /
    • pp.131-145
    • /
    • 1988
  • There was a rapid population change accompanied with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recently in Korea. The changes were nationwide though greater in rural, where the population decreased steeply, through the internal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There, in the structure of Gun's population, severely distorted features have been shown in the study. Also, the structure differ greatly by Gun. It indicated that the rural problems were much more serious than anticipated when analyzed generally. It tells u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problems related with different population structure in developing the programs for the rural.

  • PDF

The Pattern and Determinants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African Countries (아프리카의 인구변천 유형과 특성)

  • Chung, Sung-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1 no.1
    • /
    • pp.127-146
    • /
    • 2008
  • Over the past four decades reproductive behavior has changed slowly in much of the African countries. The average total fertility rate has fallen from six or more to near five today. Between 1960 and 2000 the largest fertility decline occurred in such Northern African countries as Algeria, Libya, and Morocco. The mortality rate has decreased in most African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attern of demographic transition in African countries. At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fertility transition. In Africa, the total fertility rate has decreased from 6.59 to 4.85 between 1960 and 2000. The mortality rate has also decreased in most of African countries. It is also interesting to find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among African countries. In terms of infant mortality rate, Libya shows the lowest rate(17), while Mali and Somalia remain still high rate(142 and 133, respectively). This study tests a path model in which infant mortality rate acts as an intermediate variable between three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 fertility rate.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bstantiate some of our hypotheses on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infant mortality rate, and fertility rate. The result also shows the indirect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on fertility rate via infant mortality.

The Regional Human Ecosystem and Cultural Adaptation in Rural Korea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

  • 류제현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spc
    • /
    • pp.697-707
    • /
    • 1998
  •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역사적 변천을 인구변화와 자원관리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기존 관점은 인구기초이론, 기술기초이론, 시장기초이론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관점은 어느 한가지 변수를 독립 변수로 가정하는 입장을 취하므로 흔히 '단일요소이론'이라고 불리며, 제각기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현실 세계의 복합성을 단지 부분적으로 설명하는데 그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실세계의 모든 사건은 개방된 체계 속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모든 사건은 단선적인 인과관계로 파악될 수 없을 만큼 서로 복합하게 얽혀 있다. 이에 대하여 문화생태이론은 단일요소이론의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현실세계의 복합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생태이론은 실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변천해 온 과정을 탐구하는데 적합한 개념과 방법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새로운 관점이라 할 수 있다. 문화생태이온은 인구, 기술, 시장, 제도 등 요소의 중요성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어떠한 요소라도 어느 한 장소와 시점에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한국 농촌의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탐구함에 있어서 활성되어야 할 문화생태이론의 기초적인 개념은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이다.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는 그 특성상 인구, 농업, 시장,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문화적 적응이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사회구성원들의 환경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행동양식을 새로이 선택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한국 농촌에서는 적응전략이란 농업의 집약화와 상업화 또는 산아제한과 인구이동이라는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생존, 기술, 취락형태, 토지이용, 무역이나 교역 등은 적응전략을 분석하는데 간접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The Welfare Systems in Sweden and Korea with a Focus on the Demographic Transition (인구변천 과정에서 본 한국과 스웨덴의 복지 상태 비교)

  • 김성이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8 no.2
    • /
    • pp.51-69
    • /
    • 1995
  • The Swedish welfare state has been the model for others to emulate the archetypical example of state intervention. The state intervention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legal acts. These social welfare act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transition theory. According to the Bogue's theory, the demographic transition in Sweden took place in four stages : the pre-transitional stage before 1810; the early transitional stage from 1810 to 1860; the mid-transitional stage from 1860 to 1930; the late transitional stage from 1930 to now. As we look into the social welfare acts in Sweden, the relief of the poor was the major concern of the early transitional stage, the care of workers was the major concerns of the mid-transitional stage and the care of the families was the major concerns in the late transitional stage. The Korea's transition period can be devided as follows; the pre-transitional stage before 1960; the early transitional stage from 1960 to 1969; the mid-transitional stage from 1970 to 1987; and the late transitional stage from 1987 to now. In Korea, the major concern of the early transitional stage was the care of the officials and the workers; in the mid-transitional stage the care of the aged and the handicapped were the major concerns. And in the late transitional stage the expanding of the welfare clients was the major concern. If we compare the results of both countries, the relief of the poor, the care of the workers and the care of the families will be the major concerns in Korea, because the social welfare acts in Korea are extended to specific groups and not to the whole population. The acts related to these social issues have been arranged in 120 years in Sweden. But Korea had to do the same work in 27 years. So the burden of making those social acts will be four times heavier. If we want to extend the benefits of the social system to the general population, we need to look at the design and approach of the swedish model. The reason why swedish social acts constitute an international model has more to do with the uniqueness of its design and approach. First of all, it is characteristic by its universalism, secondly by its emphasis on social services and thirdly by its productivitism. Also the swedish welfare state supported by a high-tax system called the earnings-related welfare system. In order to achieve an effective welfare state, we Korean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lief of the poor, the care of the worker and the families. We should also focus on a good system design and prepare appropriate budgets.

  • PDF

A study on the spatial evolution of the urban system in Korea, 1789-1975 (韓國都市의 地理的 變遷過程)

  • ;Kwon, Yong Wo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15
    • /
    • pp.57-73
    • /
    • 1977
  • 이 글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다루었다. 1. 한국도시성장단계의 시대구분, (1) 도시성장의 이론적 배경, (2) 도시성장요인의 지표변화, (3) 도시인구지표의 변화상, (4) 도시성장단계의 시대구분 2. 한국도시의 지리적 변천과정, (1) 제1시기(1789-1930), (2) 제2시기(1930-1945), (3) 제3시기(1945-1960), (4) 제4시기(1960-197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