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공 치아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초

인공치아의 임플란트 탈착을 위한 유도가열장치 연구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Dental Implant Removal)

  • 이상명;서영;송창우;이승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40권5호
    • /
    • pp.305-311
    • /
    • 2016
  • 유도가열은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도체에 열을 가하는 방식이다. 유도가열은 열을 가하고자 하는 물체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고, 비접촉이며 안전하기 때문에 산업이나 의료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형상기억합금을 사용하여 열에 의해 인공치아가 임플란트에서 쉽게 빠질 수 있게 하는 임플란트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인공치아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유도가열 장치를 개발하였다. 먼저 전자장-열 구조 유한요소 연성 해석을 통해 다양한 입력 전류와 코일 형상에 대해 온도를 시뮬레이션 상으로 확인해보았다. 해석 결과를 토대로 유도가열장치 시작품을 제작하여 실험을 통해 86초에 인공 치아가 분리됨을 확인하였다.

기하학 기술을 이용한 인레이/온레이의 외면 모델링 (An External Surfaces Modeling of Inlay/onlay Using Geometric Techniques)

  • 유관희;하종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2A권6호
    • /
    • pp.515-52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부분적으로 파손된 치아의 수복에 사용되는 인레이/온레이 인공치아를 효과적으로 모델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인레이/온레이는 지대치에 부착되는 내면과 밖으로 들어나는 외면으로 구성된다. 내면은 지대치와의 밀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대치의 삭제된 표면의 확장된 부분으로 Minkowski sum을 이용하여 모델링된다. 외면을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표준치아 모델, 환자 치아 석고모형을 스캔한 메쉬 자료, 환자 치아교합을 측정한 FGP(functionally guided plane) 등 세 가지 정보와 DMFFD(direct manipulation free-form deformation)[19]과 MWD(multiple wires deformation)[17]의 3D 메쉬 변형 기술들을 이용한다. 표준치아 모델은 외면의 기본적인 형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반면 석고모형 데이터와 FGP는 환자 치아 인접면과 교합면마다 약간 다르지만 정확한 기능에 매우 중요한 고유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들을 입력으로 DMFFD 기법과 MWD 기법을 각각 적용하여 인레이/온레이 인접면과 교합면을 메쉬 자료로 자동으로 생성해낸다. 연구된 기법은 치과의사에 의한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생성된 메쉬 모델을 가시화하면서 보다 정확하게 인레이/온레이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구현되었다.

불소와 칼슘의 법랑질 재광화 효과에 대한 생체외 연구 (EFFECT OF FLUORIDE AND CALCIUM ON ENAMEL REMINERALIZATION IN VITRO)

  • 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24-629
    • /
    • 2004
  • 침식된 치아 법랑질의 효과적인 재광화 방법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0.1{\sim}1.0%$ 구연산 용액에서 60분간 탈회시킨 사람 소구치 법랑질을 인공타액, 100ppm 및 1000ppm 불소가 첨가된 인공타액, 1000ppm 칼슘이 첨가된 인공타액, 100ppm 불소와 1000ppm 칼슘이 첨가된 인공타액에 각각 넣고 재광화시키면서, 3시간과 6시간 경과시에 표면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불소나 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인공타액 및 불소 1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에서는 6시간 동안 유의한 재광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불소 10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에서는 3시간 후에 유의한 재광화가 관찰되었고 3시간부터 6시간 사이에는 유의한 재광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칼슘 10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 및 불소 100ppm과 칼슘 10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에서는 3시간 후와 6시간 후에 유의한 재광화가 관찰되었다(유의수준 P=0.05). 불소나 칼슘을 첨가하지 않은 인공타액 또는 불소 1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에 비해 불소 100ppm과 칼슘 1000ppm을 첨가한 인공타액의 재광화효과가 유의하게 더 컸으며, 불소를 100ppm 또는 1000ppm으로 첨가한 것, 불소 농도를 100ppm에서 1000ppm으로 증가시킨 것, 칼슘을 1000ppm으로 첨가한 것은 재광화효과를 유의하게 증가시키지 않았다.

  • PDF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를 이용한 초기 골치유시 알긴산의 효과 (Effect of Alginate on Early Bone Healing after Implantation of Particulate Dentin and Plaster of Paris Mixture)

  • 조경안;김수관;임성철;김생곤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218-22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을 혼합하여 이식한 후 초기 골 형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백서 30마리의 두개골에 8mm 직경의 골결손부를 형성한 후 인간의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을 혼합하여 이식한 후 대조군,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 그리고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에서 각각의 골 결손부 치유과정을 조직병리학적, 조직형태계측학적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통계학적으로 주간 변화(4주, 8주)는 유의하지 않았고, 각 그룹 간에 있어도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과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 간 모두(4주, 8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들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과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은 대조군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우수한 신생골 형성을 보였다. 비록 통계학적으로는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과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에서 보다 더 우수한 신생골 형성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신생골의 내용면에서도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군에서 좀더 많은 신생 직조골의 융합이나 골 소주형성이 관찰되어 신생골의 형성 및 성숙에 알긴산이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결론적으로 골결손부 치료 방법으로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처치군 또는 치아 회분말과 연석고 및 알긴산 혼합 처치로 결손부에 이식하는 것은 신생골 형성의 양적, 질적 개선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며, 알긴산을 이식재와 함께 처리한 경우에 신생골 형성의 양적, 질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1^{\circ}C$ 냉수로 세척하고 PETE tray로 포장하여 $4^{\circ}C$로 저장한 경우 깻잎 고유의 초록색과 향을 유지하고 있어 저온냉수 세척과 tray 포장이 세척 청경채의 선도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pendimethalin\;1.3{\sim}2.9%$ 및 $3.8{\sim}10.8%,\;ethoprophos\;0.6{\sim}2.7%$$0.1{\sim}0.3%$이었다. 인공강우실험 후 공약의 토심별 분포를 살펴 본 결과 alachlor와 ethopropho는 토심 $10{\sim}15cm$까지 이동하였고, ethalfluralin과 pendimethalin는 대부분 토심 5 cm 이내에 잔류하였다. 경사도 30%의 경우가 10%에 비하여 각 농약의 유실량이 $0.2{\sim}1.9$ 배 증가하였는데 유출수에 의한 농약의 유실량 차이는 유출수 중 농도 차이로 판단되며, 유실토양에 의한 농약 유실량 차이는 토양 유실량과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농약의 강우에 의한 유실은 복잡하게 작용하는 많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만 정교하게 구성된 환경 시나리오에 의하여 예측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고 도라지는 물에 우려 푹 삶았고, 감자, 송이 등은 잘게 썰어 쌀과 함께 밥을 조리하였다. 4. 약선 음식조리방법 약선음식의 재료는 평상시 식생활에 사용되고 있던 식품들의 기능성분과 약이성을 이용하여 만성적인 질병과 급성적인 복통 설사 등에 재료의 전처리를 통해 죽으로 많이 이용하였다. 특히 곡류 등은

지식기반 다중 템플릿을 이용한 치과용 디지털 X-ray 영상에서의 미세변화 검출에 관한 연구 (Bone Loss Detection in Dental Radiography by Domain Knowledge Based Multi-template)

  • 안용학;채옥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3호
    • /
    • pp.70-8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치과용 의료시스템(Dental PACS)에서 필요한 시계열 분석(Subtraction Radiography) 방법에 기반 하여 기존의 연구에서 갖지 못했던 영상정렬의 자동화 방안과 미세변화 검출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단일 템플릿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공치아 및 자연치아의 기하학적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치아에 대한 관심영역을 획득하고 획득된 관심영역을 기준으로 지식 기반(knowlege-based)의 다중 템플릿(multi-template) 방식의 정합을 통해 치아 주위에서 발생되는 미세변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치아 주위의 미세변화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였고,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공치아와 표면처리

  • 최한철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121
    • /
    • 2016
  • 치아는 인체중에서도 혹한 환경에서 부분으로 높은 하중과 타액과 같은 강 부식성 매체로 그 환경이 상상을 초월한다. 즉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응력)과 침식을 유발하는 타액과 음식물 등이다. 따라서 치아가 쉽게 파괴되거나 썩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사용되다가 치아의 역할을 다하게 되면 인공치아를 사용하게 되는데 그 재료가 바로 타이타늄(Ti)이다. 생체매식재로 사용되는 Ti는 반응성이 높아 산소와 쉽게 결합하여 표면에 TiO, $TiO_2$, 및 $Ti_2O_3$와 같은 산화피막을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뛰어난 부식저항성과 생체적합성을 가지며 생체에 독성이 없고 탄성계수가 골과 비슷하여 골과 임플란트 경계면에서 응력분산에 유리한 성질 등 물리적,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 외과용 임플란트 재료로 가장 좋은 재료이다. 금속 임플란트의 생체적합도는 임플란트 재료 자체보다는 생체 내 산화막이 화학적으로 불안정할 때 부식이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금속이온이 주위로 유리되어 조직반응을 일으키므로 금속의 표면을 덮고 있는 산화막에 의해 좌우된다. Ti는 생체불활성재료로서 매식재료로 사용할 경우 뼈와 잘 융합되는 골유착을 나타내나 골과 화학적결합은 하지 않고 골형성을 적극적으로 유도하지 못함으로 환자의 치유기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골조직내 임플란트의 접합을 개선하기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골과의 결합을 높이기 위해 골유착을 일으키는 Ti에 골성장을 유도하는 뼈성분인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HA)라는 물질을 플라즈마 코팅법을 사용하던가 아니면 Hanks' solution내에서 침적 후 HA도금을 하는 방법 등으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플라즈마 코팅법은 고온에서 처리를 행하고 Hanks' solution내에 침적할 경우 Ti표면에 밀착도가 저하되거나 합금의 상변화 등으로 인하여 표면처리 과정 중에서 내식성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코팅법을 통하여 골 유착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지만 임상적으로 사용 후 문제가 단시일에 발생되는 것도 아니고 수년이 지나야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코팅을 하게 되면 골과 잘 유착이 되어 자연차아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나노구조를 표면에 형성시켜 골유착을 쉽게 함으로써 이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강의에서는 임플란트의 문제와 사용되는 재료에 대하여 고찰하여 자연치아를 대체 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 PDF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의 치아우식예방 및 진행억제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s of fluoride releasing orthodontic sealants on the prevention and the progressive inhibition of enamel demiheralization in vitro)

  • 채승원;;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9-995
    • /
    • 1997
  • 고정성 교정장치 주변에 발생되는 백색반점은 임상적으로 쉽게 눈에 띄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잔치제거 후 심니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야기하는데, 이는 곧 교정치료의 실패를 의미한다.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고정성 교정장치가 구강내 세균환경을 변화시켜 세균집단의 증식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고정성 장치 부착 후, 법랑질 탈회의 발생빈도가 증가된다는 사실이 보고 되어 왔으며 장기간이 소요되는 교정치료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브라켓 또는 교정용 밴드 주변의 법랑질 탈회나 치아우식증을 예방 또는 억제시키기 위한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 왔다. 이는 환자에 대한 구강위생 교육이나 치아관리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불소가 유리되는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의 치아우식 예방 및 진행억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각각 7개의 편광현미경군(A군-G군)과 주사전자현미경군(A'군-G'군)으로 분류하였고 [1. A & A'군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지 않은 정상치아군, 2. B & B'군 :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 에 72시간 보관한 비처치군,3. C & C'군 :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 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군, 4. D &D'군 :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광중합형 교정용 전색제군, 5. E & E'군 표면에 아무처리 없이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후, 이를 다시 아무런 처치없이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비처치군, 6. F & F'군 : 표면에 아무런 처치없이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후,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를 도포하고 이를 다시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7. G & G'군 :표면에 아무런 처치없이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 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후, 광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를 도포하고 이를 다시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 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광중합형 교정용 전색제군], 이들을 편광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조직의 변성 여부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편광현미경적 연구에서 인공우식병 소의 깊이는 $A군(5.08{\mu}m),\;B군(47.82{\mu}m,\;C군(8.42{\mu}m),\;D군(7.20{\mu}m),\;E군(85.41{\mu}m),\;F군(60.38{\mu}m),\;G군(60.13{\mu}m)$,이었다. 2. 인공우식 병소의 깊이에 있어서, B군은 A군,C군,D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고(p<0.05), E군은 F군,G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는 법랑질탈회 예방효과가 있었다. 4.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는 법랑질탈회 진행억제효과가 있었다. 5.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표본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에서 인공우식용액의 시간 경과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6. 광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표본과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표본 사이의 차이는 편광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구별할 수 없었다.

  • PDF

안면부 CT 검사 시 치아 충전물에 의한 화질 저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Image Quality Decrease due to Tooth Restoration in Facial CT)

  • 김현주;윤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97-503
    • /
    • 2018
  • 안면부 CT검사 시 치아교정용 충전물과 주변 해부학적 구조와의 밀도차이에 의해 발생한 화질 저하 정도와 화질개선 방향을 실험을 통해 정량 및 정성적 분석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64-MDCT(Discovery 750 HD, GE HEALTH CARE, Milwaukee, USA)를 사용하여 치아 충전물로 교정한 치아를 스캔하였으며 관전압 변화, 실리콘 적용, MAR 알고리즘 적용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관전압 변화 시 140 kVp에서 10.36 % CT value가 감소하였으며, Silicon 물질 적용 시 약 5.81 %가 감소하여 감소율이 가장 적었다. 정성적 평가결과 MAR 알고리즘 적용 시 관찰자 10명 중 Equivalent가 7명, Acceptable로 3명이 평가하여 MAR 알고리즘 적용 시 상대적으로 가장 화질 개선 효과가 있다고 평가되었다. 따라서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 파라미터와 더불어 고밀도 인공물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스캔 한다면 방사선 피폭선량에 대한 불필요한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밀도 인공물을 감소시켜 영상 데이터의 소실을 줄여 보다 많은 영상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Fructan 생성 S. salivarius의 인공치태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FRUCTAN-PRODUCING S. SALIVARIUS ON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 박소영;박은혜;오종석;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2
    • /
    • 2003
  • 구강 질환으로 중요한 치아우식증은 구강 세균 중 Streptococcus mutans가 주 원인균이며, 치면에 부착, 증식 및 산생성 과정을 거쳐 치아우식을 유발한다. Streptococcus salivarius는 사람의 구강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구강으로 부터 분리된 9주의 S. salivarius의 특성과 S. mutans 및 Streptococcus oralis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S. mutans 배양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204.9 mg이었으나, S. mutans와 분리된 S. salivarius의 혼합 배양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1.9 mg에서 20.6 mg으로 S. mutans 단독 배양시와 큰 차이가 있었다(p<0.05). 배양 후 생균수 검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M17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분리균주의 배양 상청액을 가한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형성된 인공치태 무게는 평균 117.1 mg인데 반해, 5% 자당이 함유된 M17 액체배지에서 배양된 분리균주 배양 상청액을 가한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는 평균 47.7 mg이었다. 3. 분리된 S. salivarius의 배양 상청액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실시한 결과, 분리균주가 형성한 중합체는 프럭탄 (fructan)이었다. 4.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프럭탄의 일종인 inulin과 levan 모두 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프럭탄을 생성하는 S. salivarius는 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을 억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