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공지능프레임워크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volution of Behavioral Logic of Artificial Individuals Using Cell-level Evolution Framework (셀 수준의 진화 프레임워크를 통한 인공개체의 행동로직 진화)

  • Jung, Bo-Sun;Jung, Su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5 no.1
    • /
    • pp.22-28
    • /
    • 2015
  •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evolution of behavioral logic of artificial individuals using cell-level evolution framework. We first implemented cell-level evolution framework and then investigated the evolution of behavioral logic that artificial individuals ate foods on the framework. A logic frame for behavioral decisions of artificial individuals was devised and applied to the framework. From extensive tests, we found that most artificial individuals could evolve the behavioral logic that they could eat food in a short gener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most behavioral logics showed nearly same behaviors of artificial individuals in most tests. Our method has the differences from existing algorithms using evolutionary algorithms and evolvable hardwares in that it is a basically different approach. These results showed that our framework could be a good tool for investigating the evolution of artificial individuals in a cell-level.

Designing the Framework of Evaluation on Learner's Cognitive Skill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 인공지능교육을 통한 학습자의 인지적역량 평가 프레임워크 설계)

  • Shin, Seung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4 no.1
    • /
    • pp.59-6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framework of evaluation on learner's cognitive skill for artificial intelligence(AI) education through computational thinking. To design the rubric and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change of leaner's intrinsic thinking, the evaluation process was consisted of a sequential stage with a) agency that cognitive learning assistance for data collection, b) abstraction that recognizes the pattern of data and performs the categorization process by decomposing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data, and c) modeling that constructing algorithms based on refined data through abstraction. The evaluating framework was designed for not only the cognitive domain of learners' perceptions, learning, behaviors, and outcomes but also the areas of knowledge, competencies, and attitudes about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results of learners to evaluate the changes of inherent cognitive learning about AI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meaningful in that the evaluating framework for AI education was developed for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evaluation tool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t could be used as a standard in various areas of AI education in the future.

A Study of Chatbot Implementation and SNS Linkage using Google Open Source Chatbot Framework (Google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챗봇 구현 및 SNS 연동 연구)

  • Sung, Yeol-Woo;Park, Daeseung;Kim, Cheong-G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402-404
    • /
    • 2021
  •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일상에서 인공지능 기반 챗봇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챗봇 기술이 발전하면서, 챗봇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챗봇 프레임워크가 등장하였다. Google 의 Dialogflow 는 최소한의 코딩으로 챗봇을 설계하고, 생성하기 위한 오픈소스 챗봇 프레임워크로 Facebook Messenger, Telegram, Slack 등 여러 메신저 플랫폼과 연동이 된다. 본 논문은 Dialogflow 를 이용한 프로토타입 챗봇 구현을 통하여 Dialogflow 의 특징인 Dialog(대화)의 Flow(흐름)를 만들기만 하면 이를 통해 챗봇을 만들어 지는 용이성 검증을 시행하였다.

DAKS: A Korean Sentence Classification Framework with Efficient Parameter Learning based on Domain Adaptation (DAKS: 도메인 적응 기반 효율적인 매개변수 학습이 가능한 한국어 문장 분류 프레임워크)

  • Jaemin Kim;Dong-Kyu 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678-680
    • /
    • 2023
  • 본 논문은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한국어 문장 분류 기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최근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사전 학습된 언어 모델(Pre-trained Language Models, PLM)은 미세조정(fine-tuning)을 통해 문장 분류 하위 작업(downstream task)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미세조정은 하위 작업이 바뀔 때마다 사전 학습된 언어 모델의 전체 매개변수(model parameters)를 학습해야 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메인 적응기(domain adapter)를 활용한 한국어 문장 분류 프레임워크인 DAKS(Domain Adaptation-based Korean Sentence classification framework)를 제안한다. 해당 프레임워크는 학습되는 매개변수의 규모를 크게 줄임으로써 효율적인 성능을 보였다. 또한 문장 분류를 위한 특징(feature)으로써 한국어 사전학습 모델(KLUE-RoBERTa)의 다양한 은닉 계층 별 은닉 상태(hidden states)를 활용하였을 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은닉 계층을 제시한다.

A study on a multi-dimensional national technological-level evalua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se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국가 기술수준 다차원 평가 실증 연구)

  • Cho, Ilg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89-90
    • /
    • 2018
  • 최근 4차 산업혁명의 핵심분야로 부상한 인공지능 기술에 미국, 중국, 일본, EU 등 주요국가와 국내 인공지능 기술수준을 보다 신뢰성 높은 전문가, 특허, 논문 등 다차원 평가를 통해 객관적인 기술수준 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투자전략 수립 및 사업 추진에 대한 기본방향 설정에 대한 기술경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PDF

A Framework for Early Detection and Interpretation of Concept Drift (컨셉 드리프트를 고려한 조기탐지 및 해석 프레임워크)

  • Min-Jung Kang;Su-Bin Oh;Sang-Mi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701-704
    • /
    • 2023
  • 본 연구는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생산 가용 능력이 저하되는 시점을 조기 탐지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패턴의 불규칙한 변동이 잦은 환경에서 모델의 재학습 없이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온라인 학습 방식을 활용하였다. Augmented Dicky-Fuller test 를 통해 데이터의 정상성 여부를 검정하고, 데이터에 변화가 있을 경우 학습 모델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된다. 특히, 상한 재공재고는 생산량과 직결되는 주요 지표로써, 낮게 예측된 시점에서 주요 원인 변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정확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다른 모델 대비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던 제안 기법에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SHAP)을 적용하여 생산 저하 시 문제가 되는 원인 변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Model-Based Intelligent Framework Interface for UAV Autonomous Mission (무인기 자율임무를 위한 모델 기반 지능형 프레임워크 인터페이스)

  • Son Gun Joon;Lee Jaeho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13 no.3
    • /
    • pp.111-121
    • /
    • 2024
  • 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such as image recognition, research on unmanned aerial vehicl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related research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military drones, which costs a lot to foster professional pilot personnel, and one of them is the study of an intelligent framework for autonomous mission performance of reconnaissance drones. In this study, we tried to design an intelligent framework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sing the methodology of designing an intelligent framework for service robots. For the autonomous mission performance of unmanned aerial vehicles, the intelligent framework and unmanned aerial vehicle module must be smoothly linke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provide interworking for drones using periodic message protocols with model-based interfaces of intelligent frameworks for existing service robots. First, the message model lacked expressive power for periodic message protocols, followed by the problem that interoperability of asynchronous data exchange methods of periodic message protocols and intelligent frameworks was not provided.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message model extension method for message periodic description to secure the model's expressive power for the periodic message model, and proposes periodic and asynchronous data exchange methods using the extended model to provide interoperability of different data exchange methods.

Evidence Extraction Method for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Model using Recursive Neural Network Decoder (디코더를 활용한 기계독해 모델의 근거 추출 방법)

  • Kyubeen Han;Youngjin Jang;Harksoo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609-614
    • /
    • 2023
  • 최근 인공지능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전문 지식에 특화된 분야(질병 진단, 법률, 교육 등)에도 적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전문 지식 분야는 정확한 판단이 중요하다. 이로 인해 인공지능 모델의 결정에 대한 근거나 해석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를 위해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연구인 XAI가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착안해 본 논문에서는 기계독해 프레임워크에 순환 신경망 디코더를 활용하여 정답 뿐만 아니라 예측에 대한 근거를 추출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모델의 예측 답변이 근거 문장 내 등장하는지에 대한 실험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모델이 추론 과정에서 예측 근거 문장을 기반으로 정답을 추론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Intelligent Robot Vision Framework (지능형 로봇 비전 프레임워크: VisionNEO)

  • Jang, Se-In;Park, Choong-Shik;Woo, Young-Woon;Kim, Kwa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429-432
    • /
    • 2009
  • 오늘날 지능형 로봇은 국, 내외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이다. 지능형 로봇이란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여 자율적으로 동작을 하는 로봇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성화 됨에 따라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위한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환경에서 민감하게 반응하기 위해서는 시각센서를 이용하여야 하고, 자신의 행위를 적절히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주변 상황과 알맞은 행동을 추론하고 학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규칙처리 추론엔진을 토대로 한 NEO 시스템에 영상 처리 시스템을 올려 지능형 로봇을 제어하는 루틴을 추가한 VisionNEO를 개발하였다. 그리하여 주변 환경을 이해하고 알맞은 행동을 추론, 학습해 지식을 축적하는 지능형 로봇 비전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 PDF

Design of Computational Science SW Service Framework for Digital Convergence R&D Service Platform (디지털 융합 R&D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계산과학 SW 서비스 프레임워크 설계)

  • Jeon, Inho;Han, Sunggeun;Lee, J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693-695
    • /
    • 2022
  • 디지털 기술이 각 분야의 기술과 융합하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4차 산업혁명을 가속화 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클라우드·인공지능·데이터 관련 정책 수립과 디지털 댐 사업, 데이터 플랫폼 사업 등을 통해 산업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나, 소재·바이오 등 극히 일부 과학기술 분야 외에 클라우드, 데이터, 인공지능, 시뮬레이션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국가적 지원이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국가 R&D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디지털융합R&D 플랫폼 제공을 위해 계산과학 SW를 서비스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