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공신경망 기계번역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Parallel Corpus Filtering and Korean-Optimized Subword Tokenization for Machine Translation (병렬 코퍼스 필터링과 한국어에 최적화된 서브 워드 분절 기법을 이용한 기계번역)

  • Park, Chanjun;kim, Gyeongmin;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21-224
    • /
    • 2019
  • 딥러닝을 이용한 Neural Machine Translation(NMT)의 등장으로 기계번역 분야에서 기존의 규칙 기반,통계기반 방식을 압도하는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기계번역 모델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고품질의 학습데이터를 구성하는 일과 전처리라고 판단하여 이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인공신경망 기계번역 시스템의 학습데이터 즉 병렬 코퍼스를 구축할 때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양질의 데이터를 구하는 일은 저작권 확보의 문제, 병렬 말뭉치 구축의 어려움, 노이즈 등을 이유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은 고품질의 학습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하여 병렬 코퍼스 필터링 기법을 제시한다. 병렬 코퍼스 필터링이란 정제와 다르게 학습 데이터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며 소스, 타겟 쌍을 함께 삭제 시켜 버린다. 또한 기계번역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단계는 바로 Subword Tokenization 단계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한-영 기계번역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이는 Subword Tokenization 방법론을 제시한다. 오픈 된 한-영 병렬 말뭉치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병렬 코퍼스 필터링을 진행한 데이터로 만든 모델이 더 좋은 BLEU 점수를 보였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형태소 분석 단위 분리를 진행 후 Unigram이 반영된 SentencePiece 모델로 Subword Tokenization를 진행 하였을 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Neural Machine translation specialized for Coronavirus Disease-19(COVID-19) (Coronavirus Disease-19(COVID-19)에 특화된 인공신경망 기계번역기)

  • Park, Chan-Jun;Kim, Kyeong-Hee;Park, Ki-Nam;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9
    • /
    • pp.7-13
    • /
    • 2020
  • With the rec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claration of Pandemic for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COVID-19 is a global concern and many deaths continue. To overcome thi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sharing information between countries and countermeasures related to COVID-19. However, due to linguistic boundaries, smooth exchange and sharing of information has not been achiev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model specialized for the COVID-19 domain. Centering on English, a Transformer based bidirectional model was produced for French, Spanish, German, Italian, Russian, and Chinese. Based on the BLEU scor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significant high performance in all language pairs compared to the commercialization system.

Automatic Post Editing Research (기계번역 사후교정(Automatic Post Editing) 연구)

  • Park, Chan-Jun;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5
    • /
    • pp.1-8
    • /
    • 2020
  • Machine translation refers to a system where a computer translates a source sentence into a target sentence. There are various subfields of machine translation. APE (Automatic Post Editing) is a subfield of machine translation that produces better translations by editing the output of machine translation systems. In other words, it means the process of correcting errors included in the translations generated by the machine translation system to make proofreading. Rather than changing the machine translation model, this is a research field to improve the translation quality by correcting the result sentence of the machine translation system. Since 2015, APE has been selected for the WMT Shaed Task.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uses TER (Translation Error Rate). Due to this, various studies on the APE model have been published recently, and this paper deals with the latest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APE.

Implementation of Korean Honorific Converter Using OpenNMT (OpenNMT를 활용한 한글 존댓말 변환기의 구현)

  • Jeong, Jun-Nyeong;Kim, Sang-Yeong;Kim, Seong-Tae;Lee, Jeong-Jae;Jung, 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41-142
    • /
    • 2021
  • 최근 발전한 인공신경망 기반 기계 번역은 번역 시 더 자연스러운 번역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번역기법을 이용하여 반말 표현을 존댓말 표현으로 변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이를 위해 DCInside의 게시판을 크롤링하고 AI-HUB 데이터와 합쳐 약 20,000개의 자체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으며, 한글 전처리를 위한 4가지 기법 및 OpenNMT 프레임웍의 LSTM 및 Transformer 모듈을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반말 표현을 높임 표현으로 변환하는 최적조합을 확인하였으며, 검증시 BLUE점수로 최대 66.53를 획득하였다.

  • PDF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translation service system for Korean astronomical classics by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ed on system analysis and design step (천문 고문헌 특화 인공지능 자동번역 서비스 시스템 개발 연구 -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위주)

  • Seo, Yoon Kyung;Kim, Sang Hyuk;Ahn, Young Sook;Choi, Go-Eun;Choi, Young Sil;Baik, Hangi;Sun, Bo Min;Kim, Hyun Jin;Lee, Sahng Wo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62.2-62.2
    • /
    • 2019
  • 한국의 고천문 자료는 삼국시대 이후 근대 조선까지 다수가 존재하여 세계적으로 드문 기록 문화를 보유하고 있으나, 한문 번역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아 학술적 활용이 활발하지 못한 상태이다. 고문헌의 한문 문장 번역은 전문인력의 수작업에 의존하는 만큼 소요 시간이 길기에 투자대비 효율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이에 최근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는 인공지능의 적용을 대안으로 삼을 수 있으며, 초벌 번역 수준일지라도 자동번역기의 개발은 유용한 학술도구가 될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2019년도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에 한국고전번역원과 공동 참여하여 인공신경망 기계학습이 적용된 고문헌 자동번역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고천문 도메인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법으로 자동번역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서비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크게 4가지 개발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인공지능의 학습 데이터에 해당되는 '코퍼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고문헌의 한자 원문과 한글 번역문이 쌍을 이루도록 만들어 줌으로써 학습에 최적화한 데이터를 최소 6만 개 이상 추출하는 것이다. 둘째, 추출된 학습 데이터 코퍼스를 다양한 인공지능 기계학습 기법에 적용하여 천문 분야 특수고전 도메인에 특화된 자동번역 모델을 생성하는 것이다. 셋째, 클라우드 기반에서 참여 기관별로 소장한 고문헌을 자동 번역 모델에 기반하여 도메인 특화된 모델로 도출 및 활용할 수 있는 대기관 서비스 플랫폼 구축이다. 넷째, 개발된 자동 번역기의 대국민 개방을 위해 웹과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자동 번역 서비스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과 정의를 바탕으로 설계가 진행 또는 일부 완료되어 구현 중에 있다. 추후 이 연구의 성능 평가는 자동번역모델 평가와 응용시스템 시험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자동번역모델은 평가용 테스트셋에 의한 자동 평가와 전문가에 의한 휴먼 평가에 따라 모델의 품질을 수치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응용시스템 시험은 소프트웨어 방법론의 개발 단계별 테스트를 적용한다. 이 연구를 통해 고천문 분야가 인공지능 자동번역 확산 플랫폼 시범의 첫 케이스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클라우드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초기 비용을 투자하여 활용성이 높은 한문 문장 자동 번역기라는 연구 인프라를 확보하는 첫 적용 학문 분야이다. 향후 이를 활용한 고천문 분야 학술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을 기대해 볼 수 있다.

  • PDF

Research on Recent Quality Estimation (최신 기계번역 품질 예측 연구)

  • Eo, Sugyeong;Park, Chanjun;Moon, Hyeonseok;Seo, Jaehyung;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7
    • /
    • pp.37-44
    • /
    • 2021
  • Quality estimation (QE) can evaluate the quality of machine translation output even for those who do not know the target language, and its high utilization highlights the need for QE. QE shared task is held every year at Conference on Machine Translation (WMT), and recently, researches applying Pretrained Language Model (PLM) are mainly being conducted. In this paper, we conduct a survey on the QE task and research trends, and we summarize the features of PLM. In addition, we used a multilingual BART model that has not yet been utilized and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existing studies such as XLM, multilingual BERT, and XLM-RoBERT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e confirmed which PLM was most effective when applied to QE, and saw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multilingual BART model to the QE task.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translation service system for Korean astronomical classics by artificial intelligence - Focused on development results and test operation (천문 고문헌 특화 인공지능 자동번역 서비스 시스템 개발 연구 - 개발 결과 및 시험 운영 위주)

  • Seo, Yoon Kyung;Kim, Sang Hyuk;Ahn, Young Sook;Choi, Go-Eun;Choi, Young Sil;Baik, Hangi;Sun, Bo Min;Kim, Hyun Jin;Choi, Byung Sook;Lee, Sahng Woon;Park, Rae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5 no.1
    • /
    • pp.56.1-56.1
    • /
    • 2020
  • 한국의 고문헌 중에는 다양한 고천문 기록들이 한문 형태로 존재하며, 이를 학술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문 번역가 투입에 따른 많은 비용과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인공신경망 기계학습에 의한 인공지능 번역기를 개발하여 비록 초벌 번역 수준일지라도 문장 형태의 한문을 한글로 자동번역해 주는 학술 도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 자동번역기는 한국천문연구원이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2019년도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에 한국고전번역원과 공동 참여하여 개발 완료한 것이다. 이 연구는 고천문 도메인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계학습용 데이터인 천문 고전 코퍼스를 구축하여 이를 기반으로 천문 고전 특화 자동번역 모델을 개발하고 번역 서비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축되는 시스템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로그인이 필요 없이 누구나 웹 접속을 통해 사용이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의 고문헌 자동번역 대국민서비스 시스템이다. 둘째, 참여 기관별로 구축된 코퍼스와 도메인 특화된 번역 모델의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대기관 서비스 플랫폼 구축이다. 셋째, 개발된 자동번역 Applied Programmable Interface를 활용한 한국천문연구원 내 자체 서비스가 가능한 AITHA 시스템이다. 연구 결과로서 먼저 구축된 천문 고전 코퍼스 60,760건에 대한 샘플링 검수 결과는 품질 순도 99.9% 이상이다. 아울러 도출된 천문 고전 특화 번역 모델 총 20개 중 대표 모델에 대한 성능 평가 결과는 기계 번역 텍스트 품질 평가 알고리즘인 Bilingual Evaluation Understudy 평가에서 40.02점이며, 전문가에 의한 휴먼 평가에서 5.0 만점 중 4.05점이다. 이는 당초 연구 목표로 삼았던 초벌 번역 수준에 충분하며, 현재 개발된 시스템들은 자체 시험 운영 중이다. 이 연구는 특수 고문헌에 해당되는 고천문 기록들의 번역 장벽을 낮춰 관련 연구자들의 학술적 접근 및 다양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고천문 분야가 인공지능 자동번역 확산 플랫폼 시범의 첫 케이스로써 추후 타 학문 분야 참여 시 시너지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고문헌 자동번역기는 점차 더 많은 학습 데이터와 학습량이 쌓일수록 더 좋은 학술 도구로 진화할 것이다.

  • PDF

Efficient Subword Segmentation for Korean Language Classification (한국어 분류를 위한 효율적인 서브 워드 분절)

  • Hyunjin Seo;Jeongjae Nam;Minseok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35-540
    • /
    • 2022
  • Out of Vocabulary(OOV) 문제는 인공신경망 기계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에서 빈번히 제기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는 단어를 효율적인 압축할 수 있는 Byte Pair Encoding(BPE)[1]이 대표적으로 이용되었다. 하지만 BPE는 빈도수를 기반으로 토큰화가 진행되는 결정론적 특성을 취하고 있기에, 다양한 문장에 관한 일반화된 분절 능력을 함양하기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서브 워드를 정규화하는 방법(Subword Regularization)이 제안되었다. 서브 워드 정규화는 동일한 단어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분절 경우의 수를 고려하도록 설계되어 다수의 실험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그러나 분류 작업, 특히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분류에 있어서 서브 워드 정규화를 적용한 사례는 아직까지 확인된 바가 없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서브 워드 정규화를 대표하는 두 가지 방법인 유니그램 기반 서브 워드 정규화[2]와 BPE-Dropout[3]을 이용해 한국어 분류 문제에 대한 서브 워드 정규화의 효과성을 제안한다. NMT 뿐만 아니라 분류 문제 역시 단어의 구성성 및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각 문장이 속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데 유의미한 기여를 한다. 더불어 서브 워드 정규화는 한국어의 문장 구성 요소에 관해 폭넓은 인지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해당 방법은 본고에서 진행한 한국어 분류 과제 실험에서 기존 BPE 대비 최대 4.7% 높은 성능을 거두었다.

  • PDF

A Study on the History,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의 역사, 분류 그리고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Cho, Mi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2
    • /
    • pp.307-312
    • /
    • 2021
  • Artificial Intelligence has a long history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image recognition and automatic translation. Therefore, when we first encounter artificial intelligence, many terms, concepts and technologies often have difficulty in setting or implementing research direction. This study summarized important concept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ummarized the progress of the past 60 years to help researcher suffering from these difficulti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use of vast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establish the right direction for research.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corpus in Neural Machine Translation (인공신경망 기계번역에서 말뭉치 간의 균형성을 고려한 성능 향상 연구)

  • Park, Chanjun;Park, Kinam;Moon, Hyeonseok;Eo, Sugyeong;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5
    • /
    • pp.23-29
    • /
    • 2021
  • Recent deep learning-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tudies are conducting research to improve performance by training large amounts of data from various sources together.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ethodology of learning by combining data from various sources into one may prevent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e case of machine translation, data deviation occurs due to differences in translation(liberal, literal), style(colloquial, written, formal, etc.), domains, etc. Combining these corpora into one for learning can adversely affect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orpus Weight Balance(CWB) method that considers the balance between parallel corpora in machine transl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model trained with balanced corpus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model. In addition, we propose an additional corpus construction process that enables coexistence with the human translation market, which can build high-quality parallel corpus even with a monolingual corp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