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공신경망모형

Search Result 40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Panamax Second-hand Vessel Valuation Model (파나막스 중고선가치 추정모델 연구)

  • Lim, Sang-Seop;Lee, Ki-Hwan;Yang, Huck-Jun;Yun, Hee-S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1
    • /
    • pp.72-78
    • /
    • 2019
  • The second-hand ship market provides immediate access to the freight market for shipping investors. When introducing second-hand vessels, the precise estimate of the price is crucial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cause it directly affects the burden of capital cost to investors in the future. Previous studies on the second-hand market have mainly focused on the market efficiency.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stimation of second-hand vessel values is very limited. This study propos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hat has not been attempted in previous studies. Six factors, freight, new-building price, orderbook, scrap price, age and vessel size, that affect the second-hand ship price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employed data is 366 real trading records of Panamax second-hand vessels reported to Clarkson between January 2016 and December 2018. Statistical filtering was carried out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 parameters, which are freight, age and size, were selected. Ten-fold cross validation was used to estimate the hyper-parameters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is better than that of sim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application of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proces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differentiates this paper from other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 scientific model that satisfies both statistical rationality and accuracy of the results will make a contribution to real-life practices.

Domain Knowledge Incorporated Local Rule-based Explanation for ML-based Bankruptcy Prediction Model (머신러닝 기반 부도예측모형에서 로컬영역의 도메인 지식 통합 규칙 기반 설명 방법)

  • Soo Hyun Cho;Kyung-shik Shi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4 no.1
    • /
    • pp.105-123
    • /
    • 2022
  • Thanks to the remarkable succ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iques, a new possibility for its application on the real-world problem has begun. One of the prominent applications is the bankruptcy prediction model as it is often used as a basic knowledge base for credit scoring models in the financial industry. As a result, there has been extensive research on how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the model. However, despite its impressive performanc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machine learning (ML)-based models due to its intrinsic trait of obscurity, especially when the field requires or values an explanation about the result obtained by the model. The financial domain is one of the areas where explanation matters to stakeholders such as domain experts and customer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pproach to incorporate financial domain knowledge into local rule generation to provide explanations for the bankruptcy prediction model at instance level. The result shows the proposed method successfully selects and classifies the extracted rules based on the feasibility and information they convey to the users.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a Movie Using Bayesian Choice Model (베이지안 선택 모형을 이용한 영화흥행 예측)

  • Lee Gyeong-Jae;Jang U-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51-1856
    • /
    • 2006
  • 영화는 대표적인 경험재로 가치판단이 주관적이고 제품 수명주기가 매우 짧아 예측의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정량적인 방법으로 모형화하기는 쉽지 않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한 영화의 상업적 성공을 예측하는 것은 영화 제작자나 배급사, 극장 등 모든 주체에게 수익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다양한 통계 모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들 모형의 대부분은 영화흥행에는 영향을 미치나 측정할 수 없는 효과를 반영하지 못한다거나, 추정 모수의 효과가 모든 영화에 대해서 같다는 동일성 가정으로 인해 영화간 이질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정 모수의 사전분포를 모호사전분포로 정의함으로써 변수들의 불확실성을 반영할 수 있고, 영화간 이질성을 고려할 수 있는 베이지안 선택 모형을 제안하였다. 모수의 사후분포는 마코프체인 몬테카를로 기법인 깁스 샘플러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또한, 감독, 배우, 장르 등의 영화 별 속성 변수뿐만 아니라, 입소문에 의한 영화관람 결정 등의 구전효과와 경쟁영화의 개봉으로 인한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변수를 추가하여 모형의 정확성을 높였다. 2005년과 2006년 상반기에 상영된 영화를 바탕으로 모형을 구축하고 인공신경망 모형과 비교한 결과, 전체적인 예측 정확도에서는 인공신경망 모형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나 상업적으로 성공한 영화를 예측하는 데에는 베이지안 선택모형이 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봉 주의 경쟁심화 정도 및 개봉 첫 주의 스크린 수 등이 영화 흥행에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영화 개봉 전 그 영화에 대한 기대치가 높을수록 흥행 성적 또한 좋음을 알 수 있었다. 배우의 힘 및 계절성, 영화 평점 등은 이질성을 고려하지 않은 전체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룹 간 이질성을 반영한 모형에서는 어느 정도 흥행한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나타났다.렇지 않을 경우 적절한 벤치마킹 대상을 도출할 때까지 추가적인 분석과정을 반복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조직은 기술적 생산 가능성 외에도 다양한 조직 운영 관점에서 적절한 벤치마킹 대상을 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목표를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더 나아가 global efficiency 관점에서 효율적 조직이 되기 위하여 단계적인 벤치마킹 대상 선정과 이에 따른 목표를 수립하는데도 유용하리라 판단된다.$1.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t=2.170, P=0.042), 72시간에도 역시 남자($2.16{\pm}0.56L$)가 여자($1.50{\pm}0.47L$)보다 더

  • PDF

사례기반 추론에 의한 반도체 패키징 공장의 Cycle-time 예측 모형 개발

  • Kim, Gyu-Jin;Seo, Yong-M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11-616
    • /
    • 2007
  • 반도체 패키징 공장에서 싸이클타임(Cycle-time)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납기일 준수를 통해 고객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효율적인 스케쥴링을 가능하게 하여 공장 가동률을 높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반도체 패키징은 제품 종류가 다양하고 제품마다 특화된 기술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공정 순서나, WIP에 따라 싸이클타임이 크게 영향을 받아 그 정확한 예측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장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Fab공정의 경우 전문가를 도와 좀 더 정확한 예측에 도움을 주기 위해 그 동안 전통적 통계 기법 및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의사결정 모형이 많이 연구되었는데, 최근에는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기법을 사용한 연구가 눈에 띄고 있으며 기존의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직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례기반 추론을 사용하여 패키징 공정의 싸이클타임을 예측하고자 하였으며 그 성능을 인공신경망 모형, 의사결정나무 모형, 그리고 해당 분야 전문가의 예측치와 비교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사례기반추론 모형이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lood Forecasting Study using Neural Network Theory and Hydraulic Routing (신경망 이론과 수리학적 홍수추적에 의한 홍수예측에 관한 연구)

  • Jee, Hong Kee;Choo, Yeon M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2
    • /
    • pp.207-221
    • /
    • 2014
  •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has affected short time concentrated local rain and unexpected heavy rain which is increasingly causing life and property damage.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 of localized heavy rain and flash flood in Nakdong basin study area by applying Data Mining method to predict flood and constructing water level predicting model. For the verification neural network from Data Mining method and hydraulic flood routing was used for flood from July 1989 to September 1999 in Nakdong point and Iseon point was used to compare flood level change between observed water level and SAM (Slope Area Method). In this research,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cases in which each point's flood discharge, water level was considered to construct the model for hydraulic flood routing and neural network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can be made from simple input data used for comparison analysis and comparison evaluation according to actual water level and from the model.

A study on Forecasting The Operational Continuous Ability in Battalion Defensive Operation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대대전투간 작전지속능력 예측)

  • Shim, Hong-Gi;Kim, Sheung-Kow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3
    • /
    • pp.25-39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the operational continuous abilit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battalion defensive operation for the commander decision making support. The forecasting of the combat result is one of the most complex issue in military scien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formulate a mathematical model to evaluate the combat power of a battalion in defensive operation since there are so many parameters and high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among variables. So in this study, we used company combat power level data in Battalion Command in Battle Training as input data and used Feed-Forward Multilayer Perceptrons(MLP) and General Regression Neural Network (GRNN) to evaluate operational continuous ability. The results show 82.62%, 85.48% of forecasting ability in spite of non-linear interactions among variables. We think that GRNN is a suitable technique for real-time commander's decision making and evaluation of the commitment priority of troops in reserve.

  • PDF

Generation of Basin Scale Climate Change Scenario Using Statistical Down Scaling Techniques (통계적 축소기법을 이용한 유역단위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성)

  • Lee, Yong-Won;Kyoung, Min-Soo;Kim, Hung-Soo;Kim, By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50-1253
    • /
    • 2009
  •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주로 기후모형인 Global Climate Model (GCM)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후모형의 공간적 해상도는 $3^{\circ}{\sim}4^{\circ}$ 정도로 한반도의 경우 바다로 묘사되기도 한다. 따라서 GCM을 이용해서 기후변화가 유역단위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축소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축소기법이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모형으로는 SDSM(Statistical Down-Scaling Model)과 LARS-WG(The Long Ashton Research Station Weather Generator)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DSM, LARS-WG와 함께 최근에 축소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해서 CCCMA(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ing and Analysis)에서 일 단위로 모의한 CGCM3 A2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우포늪의 강우 및 온도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대상 지점인 우포늪은 경상남도 창녕군 우포늪(위도 $35^{\circ}$33', 경도 $128^{\circ}$25')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의 기간은 CASE1의 경우 현재, CASE2는 2050$^{\sim}$ 2080년, CASE3는 2080년$^{\sim}$2100년으로 각각 구분하여 축소기법을 적용하였다. 축소결과 축소기법에 따라 일정정도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강우와 온도 모두 증가하게 됨을 확인하였다.

  • PDF

Probabilistic Reservoir Inflow Forecast Using Nonparametric Methods (비모수적 기법에 의한 확률론적 저수지 유입량 예측)

  • Lee, Han-Goo;Kim, Sun-Gi;Cho, Yong-Hyon;Chong, Koo-Y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4-188
    • /
    • 2008
  • 추계학적 시계열 분석은 크게 수문자료의 장기간 합성과 실시간 예측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장기간 합성은 주로 수문자료의 추계적 특성을 반영한 수자원 시스템의 운영율 개발에 이용되어 왔다. 반면에 실시간 예측은 수자원 시스템의 순응적(adaptive) 관리에 적용되고 있다. 두 개념의 차이로 전자는 시계열 자료를 합성하여 발생 가능한 모든 수문조합을 얻고자 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전 시간의 수문량을 조건으로 하는 다음 시간의 값을 순응적으로 예측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수문자료의 합성과 예측에는 크게 결정론적, 확률론적 방법의 두 가지 대별될 수 있다. 결정론적 모델링 방법에는 인공신경망이나 Fuzzy 기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확률론적 방법에는 ARMAX 등의 모수적 기법과 k-NN(k-nearest neighbor bootstrap resampling), KDE(kernel density estimates), 추계학적 인공신경망 등의 비모수적 기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 비모수적 기법인 k-NN를 이용하여 충주댐을 대상으로 월 및 일 유입량 자료의 예측 정도를 살펴보았다. 전 시간 관측치를 조건으로 하는 다음 시간의 조건부 확률분포를 구하여 평균값을 계산한 후 관측치와 비교함으로써 모형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시간 저수지 운영에 이 기법의 활용성과 장단점도 살펴보았다. 모형개발 절차로 모형의 보정을 거쳐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월 및 일 유입량 예측에 k-NN 기법이 실무적으로 적용될 수 있었으며, 장점으로는 k-NN 기법이 다른 기법보다 모델링 절차가 비교적 쉬워 저수지 운영 최적화 등 타 시스템과의 연계에 수월함이 인식되었다.

  • PDF

Drought Forecasting Using the Multi Layer Perceptron (MLP)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다층 퍼셉트론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가뭄예측)

  • Lee, Joo-Heon;Kim, Jong-Suk;Jang, Ho-Won;Lee, Jang-C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12
    • /
    • pp.1249-1263
    • /
    • 2013
  •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s caused by long-term drought, appropriate drought management plans of the basin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drought forecasting technology. Further, in order to build reasonable adaptive measurement for future drought, the duration and severity of drought must be predicted quantitatively in advanc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forecast drought in Korea by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and drought index,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statistical approach most frequently used for hydrological time series forecasting.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for major weather stations in Korea, estimated using observed historical precipitation, was used as input variables to the MLP (Multi 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model. Data set from 1976 to 2000 was selected as the training period for the parameter calibration and data from 2001 to 2010 was set as the validation period for the drought forecast. The optimal model for drought forecast determined by training process was applied to drought forecast using SPI (3), SPI (6) and SPI (12) over different forecasting lead time (1 to 6 months). Drought forecast with SPI (3) shows good result only in case of 1 month forecast lead time, SPI (6) shows good accordance with observed data for 1-3 months forecast lead time and SPI (12) shows relatively good results in case of up to 1~5 months forecast lead time.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SPI (3) can be used for only 1-month short-term drought forecast. SPI (6) and SPI (12) have advantage over long-term drought forecast for 3~5 months lead time.

Long-term runoff simulation using rainfall LSTM-MLP artificial neural network ensemble (LSTM - MLP 인공신경망 앙상블을 이용한 장기 강우유출모의)

  • An, Sungwook;Kang, Dongho;Sung, Janghyun;Kim, Byung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2
    • /
    • pp.127-137
    • /
    • 2024
  • Physical models, which are often used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are difficult to build and operate with input data and may involve the subjective views of users. In recent years, research using data-driven models such as machine learning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in the field of water resources, and in this study,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used to simulate long-term rainfall runoff in the Osipcheon watershed in Samcheok-si, Gangwon-do. For this purpose, three input data groups (meteorological observations, daily precipitation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nd daily precipitation -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ere constructed from meteorological data, and the results of training the LSTM (Long Short-term Memory)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LSTM-Model 1 using only meteorological observations was the highest, and six LSTM-MLP ensemble models with MLP artificial neural networks were built to simulate long-term runoff in the Fifty Thousand Watershed. The comparison between the LSTM and LSTM-MLP models showed that both models had generally similar results, but the MAE, MSE, and RMSE of LSTM-MLP were reduced compared to LSTM, especially in the low-flow part. As the results of LSTM-MLP show an improvement in the low-flow part, it is judged that in the future, in addition to the LSTM-MLP model, various ensemble models such as CNN can be used to build physical models and create sulfur curves in large basins that take a long time to run and unmeasured basins that lack input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