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간 배아줄기세포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전뇌 허혈성 뇌졸중 (Global Ischemia) 동물 모델 Mongolian Gerbil에 대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효과

  • 김광수;심인섭;김은영;정길생;이원돈;박세필;임진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69-269
    • /
    • 2004
  • 배아줄기 세포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수단으로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풍 동물모델에서 수중미로 학습을 이용하여 중풍 치료제로서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인지 및 기억력 장애에 대한 기능 회복의 효능을 검토하였고,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해마내의 세포사멸을 측정하였으며, 인지 및 기억증진의 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중략)

  • PDF

2005 전남대학교 줄기세포 심포지움 개최 후기

  • 한호재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1 no.10
    • /
    • pp.918-928
    • /
    • 2005
  • 체세포 핵이식을 통한 정상인과 환자 체세포 유래의 다능성 인간배아 줄기세포주 확립 및 응용 - 체세포 핵이식을 통한 다능성 인간 배아 줄기세포주 확립의 기술적 측면 - 인간배아줄기세포의 분화 : 발생생물학적 접근 및 세포치료에 대한 전망 - 마우스 배아줄기세포 기능들의 호르몬 조절 - 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골조직 공학 - 조혈모세포의 재생 - 제대혈 유래 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 - 난치성 혈액종양질환에서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세포면역치료법 확립

  • PDF

생명을 살리는 성체줄기세포

  • Gang, Gyeong-Seon
    • Health and Mission
    • /
    • s.4
    • /
    • pp.20-25
    • /
    • 2005
  • 배아는 잠재적인 인간이므로 윤리적 문제를 피할 수 없다. 과연 배아줄기 세포만이 난치병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일까? 하나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다른 생명을 파괴해야 하는 배아줄기세포의 대안으로 성체줄기세포가 사용 될 수 있으며 그 활용도는 매우 다양하다.

  • PDF

인간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 난자핵 추출에 비결 있었다

  • Lee, Eun-Jeo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no.4 s.419
    • /
    • pp.24-27
    • /
    • 2004
  •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사람의 체세포와 난자를 이용해 인간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연구책임자인 황우석(서울대 수의대), 문신용(서울대 의대) 교수는 세계적인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의 초청으로 지난 2월 미국 시애틀에서 국제기자회견을 가졌다. 한국 과학자가 뉴욕타임스, BBC, 워싱턴포스트 등 세계 유수의 언론사를 대상으로 대규모 기자회견을 가진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이 연구는 전세계 언론에 대서특필되면서 세계 생명공학계에‘태극기를 휘날린’대단한 사건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황 교수팀의 배아줄기세포연구를 간단히 요약하면‘사람의 난자에 사람의 체세포핵을 넣어 복제배아를 만들고 배양을 통해 인간배아 줄기세포로 분화시킨 것’이다. 그런데 왜 이 문장 하나에 수많은 사람들이 놀라고 열광하는 것일까. 귀국 이후 쏟아지는 인터뷰 요청을 사양하고 다시 실 험실로 돌아가 연구에 몰두하고 있는 황 교수를 어렵게 만났다. 인간배아줄기세포 생산 성공까지의 중요한 과정들을 황 교수와 문답으로 다시 풀어본다.

  • PDF

중대 뇌동맥 폐색 뇌졸중 (Focal Ischemia) 동물 모델 쥐에 대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 효과

  • 윤지연;심인섭;김은영;정길생;이원돈;박세필;임진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70-270
    • /
    • 2004
  • 이 연구는 Ⅰ) 혈관 폐색에 의한 인지 및 기억장애 동물모델에서 뇌졸중 치료제로써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작용기간을 밝히며, Ⅱ) 행동 약리학적 연구를 통해 기억력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밝히고 혈관 폐색에 의한 동물모델에서의 기억기능 증진 및 세포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중대 뇌동맥 폐색에 의한 쥐의 동물모델은 Sprague Dawley계 흰 쥐(260∼300 g)의 국소 중대뇌동맥을 일시적으로 폐색시켜 만들었다. 본 연구(미국 국립보건원에 등록된 MB03세포)에 사용된 인간배아줄기세포는 3×10⁴ cells/㎠ 밀도의 배양접시 내에서 4일 동안 embryoid bodies(EBs)의 형성을 위해 집합체를 이루도록 유도하였다. (중략)

  • PDF

TGF-$\alpha$로 분화 유도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에 따른 파킨슨 동물 모델 생쥐의 행동 개선

  • 이금실;김용식;신현아;조황윤;김은영;이원돈;박세필;임진호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71-271
    • /
    • 2004
  • 본 실험은 TGF-a를 처리하여 분화가 유도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파킨슨 동물모델에 이식하여 숙주세포에서의 생존 및 이식효과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TGF-a로 분화된 세포의 이식효과를 판정하고자 배양시 TGF-a처리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화를 유도한 인간배아 줄기세포를 hoechst33342로 표지 하여 병변 유발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측 선조체내에 4×10⁴개/2ul가 되도록 이식하고(이식 위치: AP 0.7, ML 2.0, DV3.4) 이식 후 2, 4주에서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4주에 동물을 희생시켜 4% PFA를 이용하여 뇌 조직을 고정하고 뇌 조직은 40㎛ 두께로 동결 절편을 만들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신경세포로의 분화 및 TH 발현 여부를 관찰하였고 분화의 표지물질로 nestin, NF200, GFAP, TH를 사용하여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중략)

  • PDF

Transduction of eGFP Gene to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d Their Characterization (인간 배아줄기세포로의 eGFP 유전자 도입 및 특성 분석)

  • Kim, Yoon-Young;Ku, Seung-Yup;Park, Yong-Bin;Oh, Sun-Kyung;Moon, Shin-Yong;Choi, Young-M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6 no.4
    • /
    • pp.283-292
    • /
    • 2009
  • Objective: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can proliferate indefinitely and differentiate into all kinds of cell types in vitro. Therefore, hESCs can be used as a cell source for cell-based therapy. Transduction of foreign genes to hESCs could be useful for tracing differentiation processes of hESCs and elucidation of gene function. Thus, we tried to introduce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 gene to hESCs, XX and XY cell lines in this study. Methods: Lentivirus containing eGFP was packaged in 293T cells and applied to hESCs to transduce eGFP. Expression of transduced eGFP was evaluated under the fluorescence microscope and eGFP positive population was analyzed by FACS. Expression of undifferentiation state markers such as Oct4, Nanog, SSEA4 and Tra-1-81 was examined by RT-PCR and/or immunofluorescence in eGFP-hESCs after transduction. In addition, the ability of eGFP-hESCs to form embryoid bodies (EBs) was tested. Results: eGFP was successfully transduced to hESCs by lentivirus. eGFP expression was stably maintained up to more than 40 passages. eGFP-hESCs retained expression patterns of undifferentiation state markers after transduction. Interestingly, disappearance of transduced eGFP was notably observed during spontaneous differentiation of eGFP-hESCs. Conclusion: We established eGFP expressing hESC lines using lentivirus and showed the maintenance of undifferentia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eGFP-hESCs. This reporter-containing hESCs could be useful for tracing the processes of differentiation of hESCs and other studies.

Efficient Culture Method for Early Passage hESCs after Thawing (초기 계대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해동 후 효율적인 배양 방법)

  • Baek, Jin-Ah;Kim, Hee-Sun;Seol, Hye-Won;Seo, Jin;Jung, Ju-Won;Yoon, Bo-Ae;Park, Yong-Bin;Oh, Sun-Kyung;Ku, Seung-Yup;Kim, Seok-Hyun;Choi, Young-Min;Moon, Shin-Y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6 no.4
    • /
    • pp.311-319
    • /
    • 2009
  • Objective: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have the capacity to differentiate into all of the cell types and therefore hold promise for cell therapeutic applications. In order to utilize this important potential of hESCs, enhancement of currently used technologies for handling and manipulating the cells is required. The cryopreservation of hESC colonies was successfully performed using the vitrification and slow freezing-rapid thawing method. However, most of the hESC colonies were showed extremely spontaneous differentiation after freezing and thawing. In this study, we were performed to rapidly collect of early passage hESCs, which was thawed and had high rate of spontaneously differentiation of SNUhES11 cell line. Methods: Four days after plating, partially spontaneously differentiated parts of hESC colony were cut off using finely drawn-out dissecting pipette, which is mechanical separation method. Results: After separating of spontaneously differentiated cells, we observed that removed parts were recovered by undifferentiated cells. Furthermore, mechanical separation method was more efficient for hESCs expansion after thawing when we repeated this method. The recovery rate after removing differentiated parts of hESC colonies were 55.0%, 74.5%, and 71.1% when we have applied this method to three passages. Conclusion: Mechanical separation method is highly effective for rapidly collecting and large volumes of undifferentiated cells after thawing of cryopreserved early passage hESCs.

Human Embryonic Stem Cell-derived Neuroectodermal Spheres Revealing Neural Precursor Cell Properties (인간 배아줄기세포 유래 신경전구세포의 특성 분석)

  • Han, Hyo-Won;Kim, Jang-Hwan;Kang, Man-Jong;Moon, Seong-Ju;Kang, Yong-Kook;Koo, Deog-Bon;Cho, Yee-Sook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2 no.1
    • /
    • pp.87-95
    • /
    • 2008
  • Neural stem/precursor derived from pluripotent human embryonic stem cells (hESCs) has considerable therapeutic potential due to their ability to generate various neural cells which can be used in cell-replacement therapie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However, production of neural cells from hESCs remains technically very difficult. Understanding neural-tube like rosette characteristic neural precursor cells from hESC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ESC neural differentiation. Generally, neural rosettes were derived from differentiating hEBs in attached culture system, however this is time-consuming and complicated. Here, we examined if neural rosettes could be formed in suspension culture system by bypassing attachment requirement. First, we tested whether the size of hESC clumps affected the formation of human embryonic bodies (hEBs) and neural differentiation. We confirmed that hEBs derived from $500{\times}500\;{\mu}m$ square sized hESC clumps were effectively differentiated into neural lineage than those of the other sizes. To induce the rosette formation, regular size hEBs were derived by incubation of hESC clumps($500{\times}500\;{\mu}m$) in EB medium for 1 wk in a suspended condition on low attachment culture dish and further incubated for additional $1{\sim}2$ wks in neuroectodermal sphere(NES)-culture medium. We observed the neural tube-like rosette structure from hEBs after $7{\sim}10$ days of differentiation. Their identity as a neural precursor cells was assessed by measuring their expressions of neural precursor markers(Vimentin, Nestin, MSI1, MSI2, Prominin-1, Pax6, Sox1, N-cadherin, Otx2, and Tuj1) by RT-PCR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e also confirmed that neural rosettes could be terminally differentiated into mature neural cell types by additional incubation for $2{\sim}6$ wks with NES medium without growth factors. Neuronal(Tuj1, MAP2, GABA) and glial($S100{\beta}$ and GFAP) markers were highly expressed after $2{\sim}3$ and 4 wks of incubation, respectively. Expression of oligodendrocyte markers O1 and CNP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5{\sim}6$ wks of incubat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rosette forming neural precursor cells could be successfully derived from suspension culture system and that will not only help us understand the neural differentiation process of hESCs but also simplify the derivation process of neural precursors from hESCs.

  • PDF

Isolation and Culture of Human Embryonic Stem-like Cells from Abnormal Blastocysts (비정상 포배기 배아에서 인간 배아줄기 유사 세포의 분리 및 배양에 관한 연구)

  • Lim, Chun-Kyu;Sung, Ji-Hye;Park, Jong-Hyuk;Kim, Sun-Jong;Yoon, Hyun-Soo;Koong, Mi-Kyoung;Jun, Jin-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0 no.4
    • /
    • pp.293-298
    • /
    • 2003
  • 목 적: 인간의 배아줄기세포는 전분화능과 영속성을 가지고 있어 발생 및 분화에 관련된 기초 연구 뿐 만 아니라 재생의학, 약물검색 등에서도 매우 유용한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유전체의 변형이 배아줄기세포주의 확립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비정상적인 포배기 배아에서 내세포괴를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연구 방법: 인간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공여 받은1개 또는3개의 전핵이 관찰되는 비정상 수정란 (n=20)과 착상전 유전진단에서 이수성이 확인된 배아 (n=27)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immunosurgery 방법으로 영양배엽세포들을 제거하고 내세포괴를 분리한 후 PMEF 혹은 STO feeder 세포위에서 배양하였다. 배아줄기세포의 배양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서 이미 확립된 Miz-hES1 cell line을 동시에 같은 조건 하에서 계대배양하였다. 결 과: 비정상 수정란에서 발생된 포배기 배아에서 분리한 1개의 내세포괴가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colony를 형성하였으나, 계대배양에는 실패하였다. 이수성 배아에서 발생된 포배기 배아의 내세포괴 배양에서는 두개의 colony가 계대배양 중에 영양배엽세포의 형태로 분화되어 미분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동일한 시기와 조건 하에서 계대배양된 Miz-hES1 cell line이 미분화상태로 유지됨을 karyotyping (46, XY)과 immunophenotyping (positive in SSEA-3 and -4)으로 확인하였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비정상 수정란과 이수성 배아에서 발생된 포배기 배아에서 유래한 내세포괴는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및 미분화 상태 유지 능력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인간의 배아줄기세포주를 확립하는데 있어 배아의 정상여부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