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화명충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현미(玄米)중 BHC의 잔류성(殘留性) 연구(硏究) (BHC Residues in Brown Rice Produced in Korea)

  • 김용화;송기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6-312
    • /
    • 1978
  • 한국산 현미(玄米)중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살충제인 BHC의 잔류량(殘留量)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각지에서 수집(蒐集)한 현미시료와 포장(圃場)실험에 의한 시료중 BHC 잔류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도별(各道別) 미곡생산량에 비례하여 수집한 1976년산 통일계통 현미시료 112점에 대한 총 BHC 잔류량 평균치(平均値)는 0.0061 ppm, 검출범위(檢出範圍)는 $0.0010{\sim}0.0762ppm$이었다. 2) 산지별(産地別)로는 전북(全北), 경남(慶南), 충남산(忠南産)이 전국평균치(全國平均値)보다 많았고 이성체별(異性體別)로는 ${\alpha}>{\gamma}>{\beta}>{\delta}$의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농도별(濃度別) 검출빈도(檢出頻度)는 0.01 ppm 이하 89.3%, $0.01{\sim}0.05\;ppm$ 9.8%, $0.05{\sim}0.10\;ppm$ 0.9%이었다. 3) 관행법(慣行法)에 의한 수도(水稻)재배중 살포한 BHC의 잔류량을 경기(京畿)지역과 전북(全北)지역에서 시험한 결과 이화명충 1화기에 살포(BHC 6% 입제(粒劑) 4 kg/10 a)한 경우의 현미에서는 무처리구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0.035 ppm을 초과하지는 아니하였다. 한편 이화명충 2화기에 살포(6% 입제(粒劑) 3 kg/10 a)한 경우의 현미에서는 $0.04{\sim}0.19\;ppm$ 범위로 잔류(殘留)하였다.

  • PDF

이화명나방 유충의 식이선호성에 있어서 수도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in Feeding Preference of the Striped Rice Borer Larvae (Chilo suppressalis W.))

  • 최승윤;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3-56
    • /
    • 1976
  • 이화병나방 유충의 식이선택성에 있어서 수도품종간 차이를 시험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종에 따라 유충의 식이선택성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도의 생육기에 따라 식이선택성에 변화가 있었는데 생육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높아지는 것(Rexoro, Suweon 240, Suweon 213-1, Yushin 및 Jinheung), 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낮아지는 것(Tetep, Suweon 242) 및 생육기에 따라 변화가 없는 것(TKM-6, IR-26)이 있었다. (2) 감수성 대조품종 Rexoro는 저항성 대조품종 TKM-6에 비하여 식이선택성이 언제나 높았다. Tongil(Suweon 213-1)은 Rexoro와 Jinheung에 비하여 유충의 식이선택성이 현저히 낮았고 TKM-6와 거의 대등한 정도의 식이선택성을 타나내었다. (3) 이화명충에 대한 수도의 저항성과 식이선택성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 같다.

  • PDF

이화명충에 대한 유기인살충제의 Cholinesterase 저해작용 및 살충력에 관하여 (Studies on the Cholinesterase Inhibition and Toxicity of Various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to the Hibernating Rice Stem Borer Larvae, Chilo suppressalis WALKER)

  • 김창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3-22
    • /
    • 1971
  • 이 실험은 이화명나방 월동 유충에 대한 유기인 살출제의 in vitro에 있어서의 ChE저해력과 약제의 화학 구조와의 관계, in vivo에 있어서의 국소 시용법에 의한, 살충제의 독성과 화학 子조와의 관계, 특히 ChE 저해력과 살충력(독성)과의 관계를 비교 연구할 목적으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Phosphate compounds는 thiophosphate compounds보다 in vitro에 있어서의 ChE 저해력은 강하다고 할 수 있으나 in vivo에 있어서의 독성은 비례적으로 반드시 강하다고 할 수 없다. 2. Alcoxy 즉 diethoxy는 dimethoxy보다 ChE 저해력과 독성이 비례적으로 반드시 강하다고 할 수 없다. 3. $(RO)_2PO(S)X$ 부분에 있어서 이 X부분이 달라짐에 따르는 ChE 저해력과 살충력에 대해서는 약제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나타나므로 언급할 수 없다. 4. ChE 저력이 강한 약제는 살충력도 비례적으로 강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화학 구조상 안정성이고 실용 농약인 Ethylparathion, Malathion, Let aycid, EPN, Sumithion 및 Diazinon 등에서 고찰할 때 반드시 비례적인 것은 아니나 어느 정도의 파행 관계가 있지 않은가 추찰된다.

  • PDF

살충제(gelatin capsule 입)의 수도근부처리에 의한 수도해충 방제효과 (Root-zone Application of Insecticides in Gelatin Capsules for the Control of Rice Insect Pests)

  • 최승윤;허문회;정규용;강양순;김학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7-153
    • /
    • 1975
  • 의약용 Capsuel에 넣은 입제형 살충제 BPMC, Carbofuran, Cartap, Chlorphenamidine-HCl, Cytrolane, Diazinon의 단일회 수도근부처리로서 수도 전생육기간에 걸친 이화멸충, 멸구, 매미충류 및 Virus 병의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포장시험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이화명충은 발생이 적었기 때문에 약제간에 큰 차이는 볼 수 없었지만 약제처리후 50일에서 이화명충 1화기 심고경율 Cartap 0, Carbofuran 0.1, Chlorphenamidine 0.4, Cytrolane 0.5, BPMC 1.8, Diazinon 2.2이었으며 2화기 백수율은 BPMC에서 $1.2\%$이었을 뿐 그밖에 약제처리구에서는 백수가 없었다. (2) 끝동매미충과 애멸구에 대해서는 BPMC와 Diazinon 처리구에서 비교적 낮은 밀도를 보였다. 벼멸구에 대해서는 BPMC와 Carbofuran에서 서식밀도가 현저히 낮아 그 방제효과가 좋았으나 Cartap, Chlorphenamidine, Cytrolane 및 Diazinon의 효과는 거의 기대할 수 없었다. (3) 오갈병의 발병주율은 Carbofuran이 $2.4\%$, Cytrolane $4.5\%$, Chlorphenamidine $7.9\%$, Diazinon $8.0\%$ BPMC$8.1\%$, Cartap $14.5\%$, Diazinon 입제수면 시용 $7.8\%$, 무처리 $13.1\%$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오갈병의 발병율이 가장 낮았다. 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은 전혀 없었는데 그 원인은 통일벼는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품종이기 때문인 것 같다. (4) 벼의 수량은 무처리 5,814kg/ha에 비하여 Carbofuran 6,649kg, Cytrolane 6,340kg, BPMC 6,315kg, Chlorphenamidine 6,265kg, Cartap 6,164kg, Diazinon 5,944kg, Diazinon 입제 수면시용 6,102kg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벼의 수량이 가장 높았다. (5) Carbofuran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을 보인 것은 Carbofuran 처리구에서 멸구, 매미충류의 밀도가 낮았고 오갈병의 발병율이 낮은데서 온 결과인 것 같다.

  • PDF

Carbofuran 수도근계처리의 해충방제효과 (Root-zone Placement of Carbofuran for Control of Rice Insect Pests)

  • 유재기;최승윤;이형래;송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7-220
    • /
    • 1977
  • IRRI에서 고안제작한 액상 주입기(Liquid applicator)에 의한 Carbofuran 액상근부주변 처리의 수도 해충 방제 효과에 대한 시험을 Capsule 근부처리, 입제, 수면처리와 비교 시험을 호남작물시험장 묘 포장에서 실시하였다. Carbofuran 액상근부 주변처리는 Carbofuran Capsule 근부 처리에 비하여 해충 방제효과가 낮었다. 그러나 Carbofuran, Diaainon입제 수면시용, 2내지 4회 처리와 대등내지는 상회하는 해충방제 효과가 있었다. 이들 해충 방제효과는 유신품종에 비하여 팔굉 품종에서 현저히 높였으며 액상 Carhofuran일회 근부처리는 수도 전 생유기에 걸친 이화명충, 애멸구와 줄무늬 잎마름병 및 끝동매미충 방제의 가능성이 엿 보였다.

  • PDF

한국에서의 벼밤나방(Sesamia inferens Walker)의 생태와 약제방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colgy and control for the purplish stem borer (Sesamia inferens Walker) in Korea)

  • 배상희;이정운;이병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7권
    • /
    • pp.27-32
    • /
    • 1969
  • 1. 한국에서는 벼 밤나방 (Sesamia inferens Walker)이 중남부지방에서 발생하여 이화명충과 유사한 가해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유충태로 주로 지하부 도경에서 월동하고 년 2-3회 발생하였다. 2, 각 충태별 코기는 난이 $0.645\pm0,037\times0.399\pm0.757mm$, 유충이 $18.32\pm3.72mm$, 용이 $15.8\pm2.0mm$ 성충자아가 $11.56\pm1.35mm$, 웅아는 $10.36\pm0.87mm$였다. 3. 각충태별 기간은 각 화기에 따라 차가 컸으나 7-9월경인 2화기가 가장 짧았으며 그 기간은 란기$6.37\pm0.49$일, 유충기 $32.13\pm4.16$일, 용기 $13.38\pm0.92$ 성충기 $4.76\pm2.09$일였다. 4. 방제약제로는 Pot 시험결과 무처리 피해경율 $62.6\%$에 대하여 m.Parathion G $12.0\%$, EPNec$22.9\%$, Diazinon G $24.7\%$, Labaycid G $27.3\%$의 순으로 양호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방사선 조사 이화명나방의 교미능력 및 경쟁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ating 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Radiation Irradiated Males of Rice Stem Borer (Chile suppressalis Walker))

  • 현재선;유준;정규회;권신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0
    • /
    • 1972
  • 방사선을 투사한 이화명나방의 교미능력 및 경쟁력 조사를 5-7령 번데기에 gamma선을 투사하여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사선 처리웅충과, 정상적인 수컷에 매일 새로운 미교미자충을 넣어 주었을 때 그들간에 교미 최고회수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2. 교미초일은 정상웅충의 경우 평소 1.5일이며 25.30Krad 처리웅충은 2.4일이었다. 교미 일 간격은 정상웅충이 1.3일인데 대하여 처리웅충은 3.0일이었으며 방사선 투사는 교미력에 영향이 있었다. 3. 정상웅충 1두에 정상자충 5두와 10두씩을 넣어서 정상웅충의 평균교미회수를 조사한 겨로가 1.2회와 2.5회이었다. 4. 교미경쟁력 실험에서 미교미자충 5두에 대하여 방사선 투사 웅충과 정상웅충의 비율을 1:0, 1:1, 2:1, 1:2, 5:1, 1:5, 0:1로 하였을 때 난부화 감소율은 5:1(30Krad)에서 최대의 감소를 보였으며 이때의 난부화율은 $26.6\%$이었다. 5. 방사선 투사는 교미능력에 다소의 영향을 미치나 처리웅충에 의한 산란수 감소의 영향을 고려한다면 이화명충에서 웅성불임 기술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에서 이화명나방(Chilo suppressalis Walker) 발생상의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Occurrence of the Rice Stem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in Korea)

  • 박창규;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7-268
    • /
    • 1990
  • 본 연구는 1965년부터 1988년까지 전국 39개 병해충발생예찰소에서 수집된 이화명나방의 유살성적을 이용하여 그의 지역간 발생상의 특성을 분석하고 대표적 생태종이 분포하고 있는 4개 지역에서 채집된 월동유충의 몇가지 생태학적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화명나방의 총유살량이 1969년 이후 전국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봄나방 유살량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여름나방외 그것은 큰 변동이 없어 1970년 이후 8월중순부터, 다음해 6월 상순까지의 환경조건이 크게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유살량의 지역간 차는 1960년대에는 컸으나 1970년대에는 크게 감소하였으며 최근 10년간에 다소 증가하고 있으며 그 변동상은 지역적으로 차가 있다. 전체적으로 50% 유살일은 화기와 관계없이 빨라지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 그 양상에는 차가 있다. 월동유충을 $25^{\circ}C$, tkdxotmqeh 90%에서 가온사육한 결과 지역별 사망율은 수원 21.07%, 이리 43.06%, 진주 63.51%, 광주 27.04%였다. 월동유충의 사망율은 체중에 따라 차가 있어서 39 mg 이하는 45.44%, 40 ~ 49 mg은 37.61%, 50 ~ 59 mg는 37.28%, 60 mg 이상은 30.17%였다. $25^{\circ}C$, 상대습도 90%에서 가온하였을 때, 휴면후 평균 유충발육기간은 수원지역은 17.0 $\pm$1.5일, 이리지역은 22.0$\pm$ 1.8일, 광주지역은 23.2 $\pm$ 2.5일, 진주지역은 20.8 $\pm$ 2.8일이 걸렸다. 체중별 후면후 유충발육기간은 39 mg 이하가 1806 $\pm$ 1.2일, 40 ~ 49 mg이 20.4 $\pm$ 3.3일, 50 ~ 59 mg이 21.4 $\pm$ 3.2일, 60 mg 이상이 21.8 $\pm$ 3.2일이 걸렸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1970년대 이후의 벼의 재배법의 변화는 이화명나방 발생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은 화기에 따라 차가 있었고 휴면상태에 특징을 갖고 있는 생태종의 분포에 따라 차가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PDF

이화명충에 대한 수도통일품종의 저항성 (The Nature of the Variety Tongil (Suweon 213-1) in Resistance to the Striped Rice Border, Chilo suppressalis W.)

  • 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14-214
    • /
    • 197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d the nature of the variety Tongil(Suweon 213-1) in resistance to the striped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Walker, comparing with those of Rexoro(susceptible check) and TKM-6(resistant check) selected at IRRI. 1. The striped rice borer moths much more preferred the variety Tongil for oviposition than the varieties Rexoro and TKM-6. The variety Tongil and more egg masses and number of eggs than the varieties Rexoro and TKM-6, while TKM-6 having more egg masses and more number of eggs than Rexoro. This reaction was consistent throughout the tes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tillers per hill. 2. In laboratory,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was studied with 5cm of stem pieces of the varieties. The results showed, in contrast to the case of ovipositional preference, that the striped rice borer larvae least preferred the stems of Tongil among the test varieties, while larvae much more preferred the stems of Rexoro than those of TKM-6. 3. The larval weights at 20 days later infested on the 40 day-old plants were the lowest on Tongil among the test varieties. On the variety Rexoro the larvae had heavier body weights(43.0mg), higher pupation(64.9%) and higher adult emergence(83.3%) than those on Tongil(larval weights 30.3mg, pupation 60%, adult emergence 60.7%) and TKM-6(larval weights 35.7mg, pupation 56.3%, adult emergence 51.9%). The pupal weights, however, were not consistent among the test varieties and/or sexes in comparison with the larval weights, pupation and adult emergence above mentioned. 4. Field experiments indicated that the incidence of dead hearts at 70 days after transplanting was relatively higher on the variety Tongil(11.1%) than those on Rexoro(8.9%) and TKM-6(8.4%), and the incidence of white heads at harvest was, in contrast to the dead hearts, lower on Tongil(9.8%) than those on Rexoro(27.4%) and TKM-6(13.9%). At harvest lower larval survival observed on Tongil (49 larvae/40 hills) than those on the susceptible variety Rexoro(104 larvae/40 hills) and on the resistant variety TKM-6(70 larvae/40 hills). The average larval weights collected from three test varieties at harvest were 80.5mg from Tongil, 83.7mg from TKM-6 and 99.6mg from Rexoro. 5. Increased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to the variety Tongil, the striped rice borer damage was increased. Also,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6. Any specific association between the plant characters and striped rice borer resistance could not be found. The variety Tongil even having large number of tillers, short plant height, large stem, broad leaf, etc, had still high preference of moths for oviposition, low preference of larvae for feeding, low damage, and relatively high antibiosis. 7. Resistance of the variety Tongil to the striped rice borers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the low feeding preference and the relatively high antibiosis, not associated directly with the ovipositional preference.

  • PDF

중부평야지 벼 유기재배 적정 품종 선정 (Selection of Suitable Varieties for Organic Rice Farming in the Central Plain Area of Korea)

  • 이채영;박재성;이정관;김은정;이희두;최예슬;김익제;홍성택;김정곤;우선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176-184
    • /
    • 2019
  • 추청벼는 중부평야지의 유기재배에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지만 최근 육성된 품종보다 쌀수량, 미질, 병해충 저항성이 약하기 때문에 유기재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유기재배에 적합한 벼 품종을 선정하고자 삼광, 진수미 등 고품질 15 품종을 충북 청주시에 소재한 유기재배 인증 농가포장에서 3년간 시험하여 검토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연구포장은 수년간 유기재배를 하여 지력이 좋았기 때문에 관행재배보다 생육이 왕성하여 간장 및 수수가 증가되었다. 대보, 친농과 현품은 등숙비율이 추청벼보다 낮았으나 10 a 당 쌀수량은 9~18% 증수되었다. 2. 3년간 병해충 피해가 많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품종별 차이가 있었다. 추청벼와 비교하여 우수한 품종은 이화명충(2 기)은 하이아미, 수광, 대보, 미광, 현품, 친농, 칠보와 진수미, 잎집무늬마름병은 하이아미, 대보, 현품, 칠보와 진수미, 이삭도열병은 청남, 수광, 대보, 미광, 친농, 칠보, 황금누리, 수려진미와 진수미, 벼 키다리병은 하이아미, 미광, 도복은 대보, 미광, 청해진미, 현품, 친농, 칠보, 호평과 황금누리가 강하였다. 3. 단백질함량이 추청벼보다 낮은 품종은 청남, 수광, 대보, 삼광, 현품, 친농, 칠보, 호평, 황금누리, 수려진미와 진수미로 7% 미만이었고, 특히 수광과 삼광은 6% 미만으로 우수하였다. 백도는 수광, 대보, 삼광, 진수미가 40 이상으로 추청벼보다 높았다. 기계적 식미치는 대보, 수광, 삼광과 진수미가 우수하였고, 완전미율은 현품, 수광, 삼광, 대보와 진수미가 높았다. 4. 최고 및 최종점도는 삼광, 미광과 칠보가 높았고, 치반점도는 현품이 가장 높았다. 수려진미, 청남, 삼광, 대보와 수광은 -20 이상이기 때문에 저장 시 노화가 더디게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었고, 호화온도는 수광, 대보, 삼광과 진수미가 가장 낮았다. 5. 이상의 결과 중부평야지 유기재배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추청벼를 대체하기 위한 품종은 수량성, 식미특성 및 병해충저항성을 고려해 볼 때 '삼광', '진수미', '대보'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