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차주입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watering Filtrate Treatment with Center Well Depth of Secondary Clarifier in Small Sewage Treatment Plant (소규모하수처리시설의 이차침전조 내통길이 변화를 통한 탈수여액의 처리)

  • Choi, Jung-Su;Kim, Hyun-Gu;Lee, Dong-Ho;Joo, Hyun-J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10
    • /
    • pp.694-70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de-watering filtrate treatment and the possibility of securing biological treatment capacity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clarifier. Accordingly, the column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olymer in the de-watering filtrate on sludge sedimentation. Also, the characteristics of de-watering filtrate processing was evaluated through batch test and continuous processing ope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ludge settling velocity increased with higher polymer concentration, and that effluent SS concentration was found to decrease. Regarding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de-watering filtrate, the removal efficiency of TSS and TBOD5 increased as the length of secondary clarifier was longer. Also, comparing injections into anoxic tank and secondary clarifier, de-watering filtrate by continuous infusion treatment process showed stability in both conditions. Therefore, by modifying the structure of secondary clarifier, efficient processing of de-watering filtrate is expected to be possible and processing capacity of small sewage treatment plants is considered to be improved.

짧은 채널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온주입 변수의 조절

  • Yu, Jong-Seon;Kim, Yeo-Hwan
    • ETRI Journal
    • /
    • v.9 no.1
    • /
    • pp.97-103
    • /
    • 1987
  • 짧은 채널($L<1\mum$) MOSFET의 전기적 변수, 특히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분석적 문턱전압 모델을 개발하였다. 채널 영역에서의 붕소profile은 계단 (step) profile로 근사시켜 표면전하층과 기판전하층으로 구성하였다. 최대공핍층내에 있는 두 전하층의 각각에 대하여 기하학적으로 근사시킨 전하분배(charge sharing)모델을 적용하고 이차원적 분석을 이용하여 짧은 채널 효과를 계산하였다. 본 모델을 실험치와 비교하고 이온주입 공정의 최적조건을 이끌어내는 데 필요한 변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Preparation of Iron-Coated Sand and Arsenic Adsorption (철코팅 모래흡착제 제조 및 비소흡착)

  • Chang, Yoon-Young;Kim, Kwang-Sub;Jung, Jae-Hyun;Lee, Seung-Mok;Yang, Jae-Kyu;Park, Joon-K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7
    • /
    • pp.697-703
    • /
    • 2005
  • Iron-coated sand(ICS) was prepared with variation of particle size of Joomoonjin sand, primary and secondary coating temperature, coating time, and dosage of initial Fe(III). An optimum condition of the preparation ICS was selected from the coating efficiency, stability of coated Fe(III), and removal efficiency of As(V). Coated amount of Fe(III) increased as primary coating temperature increased with smaller particle size of sand. Coating efficiency was quite similar over the investigated secondary coating temperature and time, while adsorption efficiency of As(V) onto ICS was severely reduced with ICS prepared at higher secondary coating temperature. By considering these results, an optimum secondary coating temperature and time for the preparation of ICS was selected as $150^{\circ}C$ and 1-hr, respectively. Coating efficiency increased us the dosage of initial Fe(III) up to 0.8 Fe(III) mol/kg sand and then no distinct increase was noted. Maximum As(V) adsorption was observed at 0.8 Fe(III) mol/kg sand. Secondary coating temperature and time were important parameters affecting stability of ICS, showing decreased dissolution of Fe(III) from ICS prepared at higher coating temperature and at longer coating time. From anionic type adsorption of As(V) onto IC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ICS for the removal of As(V) contaminated in acidic water system.

Study of Flowfield of the Interaction of Secondary Sonic Jet into a Supersonic Nozzle (음속 이차유동 분출시 나타나는 초음속 노즐 내부 유동장에 관한 연구)

  • Ko, Hyun;Lee, Yeol;Yoon, Woong-Su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7 no.3
    • /
    • pp.45-52
    • /
    • 2003
  • Detailed flowfield resulting from the secondary sonic gas injection into a divergent section of supersonic conical nozzle has been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three-dimensional flowfield associated with the bow-shock/boundary-layer interaction inside the nozzle has been solved by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s with an algebraic and $\kappa$-$\varepsilon$ turbulence model. The numerical results have been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identical flow conditions, and it is shown that the comparison is satisfactory Effects of different injection pressures of the secondary jet on the shock/boundary-layer interactions and the overall flow structure inside the nozzle have been investigated. The vortex structures behind the shock interaction and wall pressure variations have also been studied.

Influence of gas mixing ration on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of MgO single crystal with different orientations and MgO protective layer

  • 임재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34-234
    • /
    • 1999
  • AC-PDP(Plasma Display Panel)에 사용하는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 방출계수(${\gamma}$)는 AC-PDP의 방전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 방출계수는 AC-PDP에 주입하는 기체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현재 AC-PDP에는 방전특성의 향상과 VUV 발생을 위하여 He, Ne, Ar, Xe 등의 비활성기체를 두가지 혹은 세가지로 혼합한 혼합기체가 사용되고 있다. 기체를 혼합할 경우 Penning 효과에 의해 더 좋은 방전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이때의 적절한 혼합비율을 찾는 것은 AC-PDP의 효율 개선에 매우 중요하다. 이번 실험에서는 (111), (100), (110) 각각의 방향으로 배향된 MgO Bulk Crystal과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방출계수를 He+Ne+Xe 삼원기체를 사용하였다. MgO 보호막은 실제 21inch 규격의 Panel을 사용하였으며, 혼합기체의 혼합비율의 Ne:Xe을 99:1, 98:2, 96:4, 93:7과 He+Ne+Xe의 삼원기체로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며 실험하였다.

  • PDF

Influence of N2 gas mixing ratio on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of MgO single crystal and MgO protective layer

  • 임재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201-201
    • /
    • 2000
  • AC-PDP(Plasma Display Panel)에 사용하는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 방출계수(${\gamma}$)는 AC-PDP의 방전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 방출계수는 AC-PDP에 주입하는 기체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현재 AC-PDP에는 방전특성의 향상과 VUV 발생을 위하여 He, Ne, Xe 등의 혼합기체가 사용되고 있으며, N 기체를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더 좋은 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100) 방향으로 배향된 MgO Bulk Crystal과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방출계수를 ${\gamma}$-FIB 장치로 N2 기체혼합비율에 따라 측정하였다. 혼합기체는 Ne=N2 이원기체를 여러 가지 혼합 비율로 변화시켜가며 실험하였다. MgO 보호막은 실제 21inch 규격의 Panel을 사용하였다.

  • PDF

Local Thermal Equilibrium 모델에 의한 이차이온 질량분석의 정량화 방법

  • Gwak, Byeong-Hwa;Gwon, O-Jun
    • ETRI Journal
    • /
    • v.10 no.2
    • /
    • pp.63-69
    • /
    • 1988
  • SIMS(Secondary Ion Mass Spectrometry) 분석 데이터의 정량화 방법으로 이온주입에 의한 실험적 접근법과 LTE(Local Thermal Equilibrium) 모델을 사용한 준이론적 접근법 2가지가 주로 논의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LTE 모델을 사용, SIMS data를 정량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아울러 BASIC language로 된 간단한 LTE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 PDF

Cellular Immune Response of the Grasshopper, 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 Following Injection of Bacillus subtilis (세균(Bacillus subtilis)에 대한 등검은메뚜기(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의 세포성 면역반응)

  • 장병수;문명진한성식여성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3
    • /
    • pp.383-394
    • /
    • 1992
  • 비병원성 세균인 고acirlus subtilis(ATCC6633)를 등검은메뚜기(Euprepocnemis shr'rakii Bolivar)의 성충 복강에 주입한 후, 혈구의 반응양상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균에 대한 혈구의 면역반응은 plasmatocyte와 granulocyte에 의한 식 세포작용(phagocytosis)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결절형꽁(nodule formation)은 일어나지 않았다. 식 세포작용의 초기 반응은 혈구의 세포질 돌기가 돌출되 면서 이물질을 둘러싼 후, 원형질막과의 융합에 의해 식포가 형성되었고, 식포의 주변부에서는 일차 리소조옴의 집적이 관찰되었으며, 이런 과정은 세균 주입후, 10분 이내에 완료되었다. 일차 리소조옴은 세균 주입 후 1시간 이내에 식포의 한계막과 융합하여 이차 리소조옴을 형성하였으며, 소화된 이물질은 9시간 이내에 exocytosis에 의해 배출 되었다.

  • PDF

1.2KV AlGaN/GaN Schottky Barrier Diode Employing As+ Ion Implantation on $SiO_2$ Passivation layer (항복전압 향상을 위해 As+ 이온을 주입한 AlGaN/GaN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 Kim, Min-Ki;Lim, Ji-Yong;Choi, Young-Hwan;Kim, Young-Shil;Seok, O-Gyun;Han, Min-K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1229_1230
    • /
    • 2009
  • $SiO_2$ 패시베이션 층에 As+ 이온을 주입한 1.2 kV급 AlGaN/GaN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Schottky Barrier Diode, SBD )를 제작하였다. 주입된 As+ 이온들은 역방향 바이어스에서 공핍 영역의 곡률을 변화 시켰고, 이로 인해 항복 전압이 증가하고 누설 전류가 감소하였다. 제안된 소자의 항복전압이 1204 V 이었고, 기존 소자의 항복전압은 604 V 이었다. 캐소드 전압이 100 V일 때 제안된 소자의 누설전류는 21.2 nA/mm 이었고, 같은 조건에서 제안된 소자는 $80.3{\mu}A/mm$ 이었다. 주입된 As+ 양이온은 이차원 전자 가스( Two-Dimensional Electron Gas, 2DEG )에 전자를 유도했고, 채널의 농도가 미세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순방향 전류가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