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직효과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83초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클라이언트 폭력 연구: 아동보호서비스 현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Client Violence Against Social Workers: in the Field of Child Protection Services)

  • 신준섭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7호
    • /
    • pp.37-68
    • /
    • 2008
  •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폭력이 궁극적으로는 사회복지활동의 효과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근거로 아동보호서비스 현장 종사자들에 대한 아동의 부모 및 보호자에 의한 클라이언트 폭력의 실태와 폭력의 부정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전국 43개 아동보호전문기관에 근무하는 207명의 종사자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는 2007년 한 해의 경우 아동의 부모와 보호자에 의한 폭력 경험 비율이 전체 응답자의 62.8%(n=130)로 나타나 다른 서비스 영역의 종사자와 유사한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클라이언트 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경험은 현장실무경력이 많고, 직급이 높은 종사자에게 좀 더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폭력을 경험한 종사자는 불쾌감, 지침, 소진, 당황 등과 같은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어려움은 여성 응답자에게서 좀 더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 폭력 경험은 응답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 같은 업무 관련 요인에도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학병원 간호사의 그릿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Grit on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volvement)

  • 정지영;서연숙;최정훈;김성희;이민숙;홍성화;최정숙;박다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81-190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437 nurses from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C city, Gyeongnam.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8 to 19, 2018,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22.0 program. A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ron and Kenny, and bootstrapping method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job involvement (r=.40, p<.001), grit and turnover intention (r=-.29, p<.001), and turnover intention and job involvement (r=-.52, p<.001). Job involvemen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Grit increased job involvement and lowered turnover intention. Therefore, to reduce nurses' turnover inten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and strategies to increase their grit.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관계: COVID-19 심리적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 Mediating Effect of COVID-19 Stress)

  • 이은주;천수연;이정화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2-3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tress of COVID-19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76 nurses working at three long-term care hospitals in Changwo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1 to 14, 2021,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23.0 software. A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ron and Kenny's test, and Sobel test. Results: Turnover inten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stress of COVID-19 stress (r=.23, p=.002)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r=-.44, p<.001). Psychological stress of COVID-19 stres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r=-.15, p=.045). Psychological stress of COVID-19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positive nursing work environment can help nurses reduce their Psychological stress of COVID-19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better work environments suitable for COVID-19 and to establish detailed strategies for reducing their physiological stress.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간호관리자의 리더십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Leadership Styles of Nursing Managers on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조윤정;정석희;김희선;김영만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79-49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ffect sizes of leadership styles of nursing managers on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Method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ISMA and MOOSE guidelines. Participants were nurses working in hospitals. The intervention involved nursing managers' leadership styles; the outcome assessed was nurses' turnover intention. This was an observational study design. Eleven databases were searched to obtain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or English. Of the 14,428 articles reviewed, 21 were included i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and R software programs were used. Results: The total effect size r (ESr) was - 0.25 (95% confidence interval: - 0.29 to - 0.20). Effect sizes of each leadership style on turnover intention were as follows: ethical leadership (ESr = - 0.34),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Sr = - 0.28), authentic leadership (ESr = - 0.23), transactional leadership (ESr = - 0.21), and passive avoidant leadership (ESr = 0.13). Ethical leadership was the most effective style in decreasing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Conclusion: Positive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effectively decreas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and negative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effectively increas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The ethical leadership style is the most effective in decreasing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however, it requires careful interpretation as its effects are reported by only two studies. This study contributes to addressing the high turnover rate of hospital nurses and developing positive leadership styles of nurse managers in hospital settings.

교대제 개선 시범사업이 간호사의 교대근무 적응, 일과 삶의 균형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혼합연구방법 (The Effects of a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on Nurses' Shift Adjustment,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A Mixed-Methods Study)

  • 최수정;김미순;전미경;최진주;손숙연;김은혜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3호
    • /
    • pp.223-23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 nurse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on nurses' shift adjustment,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nurse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pilot project. Methods: An explanatory sequential mixed-methods study was performed.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051 nurses both in participant and non-participant groups. For the qualitative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2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shift improvement pilot, including 12 staff nurses, 7 nurse managers, and 3 substitute nurse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key variables of nurses' shift adjustment, work-life bala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nurse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Based on the qualitative study, participants in the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indicated that it enabled nurses to recover their circadian rhythm, and achieve a better work-life balance, and they wanted to continue working as a nurse, and hoped expanded application of the pilot project. Conclusion: In order for expanded implementation of the pilot project and continued improvement in the shift system, we recommend establishing compensation standard, systematizing the use of substitute nurses, developing guidelines for shift schedules, and expanding the shift improvement pilot project to other departments such as the emergency room.

중소기업 청년인턴 취업자의 재직기간 분석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duration in the youth-intern project)

  • 박성익;류장수;김종한;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285-294
    • /
    • 2016
  • 취업자들이 재직기간이 경과하면서 이직 또는 실업 상태로 탈출확률 및 탈출요인 문제를 분석하는 것은 취업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취업자들의 이직 또는 실업으로의 탈출확률은 취업자의 개인특성뿐만 아니라, 직종 특성에도 영향을 받는 복수의 분석단위를 가지게 된다. 복수의 분석단위를 가지는 위계적 (hierarchical) 자료구조에서는 직종별로 공유되는 특성이 존재하게 되어, 동일 직종 집단 내의 상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취업자 개인특성 (1-수준)과 직종 특성 (2-수준)의 위계적 자료구조 하에서 콕스의 비례위험 모형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중소기업 청년인턴사업에 참여한 취업자들의 재직기간 중 실직 및 이직으로의 탈출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처리집단 (인턴집단)이 통제집단 (비인턴집단)에 비해서 탈출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자들이 여자들에 비해서 탈출할 확률이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탈출할 확률이 더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업규모가 클수록 탈출확률이 낮으며, 직종별로는 관리사무 관련직에 비해서 전문 서비스 관련직의 탈출확률이 더 낮게 나타났다.

소유와 유인가의 득과 실이 경쟁할 때 자기조절초점이 손실회피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elf-regulatory focus on loss aversion when gain and loss between possession and valence compete)

  • 이병관;이국희
    • 감성과학
    • /
    • 제17권4호
    • /
    • pp.101-108
    • /
    • 2014
  • 손실회피에 대한 연구는 많은 진보가 있었다. 특히 Brenner et al. (2007)은 소유손실회피 (possession loss aversion: PLA)와 유인가손실회피 (valence loss aversion: VLA)의 상황을 구분하면서 현금과 현물 (돈, 부동산)에 대한 손실 (PLA)과 잠재적으로 획득할 가치 (해외연수, 쿠폰)에 대한 손실 (VLA)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 어떻게 다른지 관찰하였다. 그러나 일상생활에서 소유와 유인가의 득과 실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경우는 드물고, 대부분 소유와 유인가의 득과 실 사이에 일장일단이 있어, 결국 사람들이 평소 가지고 있는 사고방식이나 주의의 초점이 의사결정에 반영되는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람들이 평소 어디에 주의를 기울이는지에 따라 손실회피의 반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자기초점을 촉진초점 또는 예방초점으로 점화한 후, 이직결정상황에서 소유와 유인가의 득실이 경쟁 (연봉증가 해외연수기간감소: P+V-, 연봉감소 해외연수기간 증가: P-V+)할 때, 이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촉진초점의 경우 소유인지 유인가 인지에 관계없이 잠정적으로 얻게 될 이익 (+)에 주의를 기울인 결과 이직하겠다는 응답이 증가한 반면, 예방초점의 경우 잠정적으로 감수할 손실 (-)에 주의를 기울인 결과 현재 회사에 머물겠다는 응답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 및 광고심리와 마케팅분야에 폭넓은 시사점을 가진다.

공항보안감독관의 개인태도가 검색장비 운영요인에 미치는 영향 (Airport security supervisor's individual attitude effets on the screening equipment factors)

  • 정주섭
    • 시큐리티연구
    • /
    • 제29호
    • /
    • pp.279-300
    • /
    • 2011
  • 세계 각국이 항공테러에 대한 심각성과 우려를 공동으로 인식하고 차단에 적극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세계적으로 항공테러는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공항보안의 핵심은 승객과 휴대 및 위탁수하물, 화물이 검색장비를 통과하는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결과에 따라 승패가 달려 있다. 공항에서 인적 및 물적 검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대화된 검색장비와 전문화된 보안요원의 확보, 그리고 이를 감독하는 공항보안감독관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보안감독관의 개인태도가 검색장비 운영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기위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항보안감독관의 직무관이 검색장비 운영요인의 전문성, 만족도, 신뢰성 및 교육훈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가관은 검색장비 운영요소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무환경은 교육훈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는 부의 인과관계가 있어 근무환경이 좋으면 이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높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공항보안감독관이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항보안감독관은 공항을 각종 테러 등 위해로부터 방호하기 위해서는 항공보안 각종 규정과 절차서 및 운영기준 등을 준수하고, 국가와 국민의 생명을 지킨다는 긍지와 자부심과 함께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올바른 처우개선을 위한 종합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조직문화와 이직 관계에 대한 실증적 고찰: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factors)

  • 안관영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0권44호
    • /
    • pp.343-356
    • /
    • 1997
  • Many empiric research findings have supported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 of Organization Culture(OC) is closely related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absenteeism, job satisfaction, cohesiveness and turnover etc.).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OC and turnover as a performance factor, and the second and primary purpose i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factors(sex, educational career, rank, occupation, marital status, job switching, age, company tenure and job tenure) between OC and turnover. For the analytical purpose of this article, OC type is categorized as Maintainable Culture(MC), Affiliation Culture(AC), Progressive Culture(PC) and Rational Culture(RC) based on Quinn(1985).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ings: Moderating effects are found in sex(with MC and RC), educational career(with MC, PC and RC), job switching(with MC and RC).

  • PDF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성취감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on Job Turnover, Occupational Turnove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Accomplishment)

  • 권혜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97-60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ress on child care teachers' with relation to job turnover, occupational turnover and the moderating role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e subjects were 153 child care teachers in Gyeonggi-Do. Data was analyz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s using the SPSS12.0. This study showed that work overload and administrative problems in child care cente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 teachers' intention to change their job. Also, the stresses of human relations such as with children or co-worke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 child care teachers' intention to change occupation. Personal accomplishment was suggested to reduce the negative results of work overload and str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