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중 외팔보 시험편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128초

적층 각도를 가진 CFRP 접착 구조물의 파손 및 정적 파괴 특성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Damage and Static Fracture Characteristic of the Bonded CFRP structure with Laminate angle)

  • 이정호;김은도;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55-161
    • /
    • 2019
  • 복합소재는 기존의 일반적인 소재보다 내구성과 기계적 성질들이 뛰어난 경량 소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 복합소재에 주목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한 CFRP 접착구조물의 정적 파괴 특성을 조사하고자 했고 적층 각도를 변수로 한 CFRP 이중외팔보 시험편을 설계하여 정적 파괴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계된 CFRP 이중외팔보 시험편들의 적층각도들은 각각 $30^{\circ}$$45^{\circ}$, $60^{\circ}$이며, 연구 결과로서는 적층 각도 $45^{\circ}$인 시험편이 가장 $30^{\circ}$, $60^{\circ}$의 적층 각도를 가진 시험편들보다 더 좋은 내구성을 보였으며, $30^{\circ}$의 적층 각도를 가진 시험편이 모든 시험편 중에서 내구성이 가장 취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적층 각도 별 CFRP 접착구조물의 파손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은 접착 계면의 파손데이터를 활용함으로서 실생활에서의 기계나 구조물에 융합하여 그 미적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이종재료의 알루미늄 이중 외팔보 복합재의 충격 거동 (Impact Behavior at Composite Material of Aluminium Double Cantilever Beam with Two Kinds of Materials)

  • 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421-426
    • /
    • 2007
  • 본 연구는 이종재료의 이중외팔보 시험편들을 충격하중으로 실험한 결과들에 대하여 유한요소법으로 동적해석을 하였다. 충격 속도로서는 6.4 및 18.47 m/s를 적용하였고 그 실험 결과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로 상호 비교하였다. 크랙 에너지 해방율과 블록의 힘 및 변형을 컴퓨터로 수치 해석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해석된 시험편의 수치해석 데이터로 실험 데이터에 근접시키게 되는 검증을 함으로서 충격 실험에 대한 수치적 시뮬레이션을 하기에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찢김 하중에서 단일 재료 및 이종 접합 재료에 따른 이중외팔보 시험편의 접착제 파손 특성 (Adhesive Fracture Characteristic of DCB Specimen due to Single and Heterogeneous Materials under Tearing Load)

  • 김재원;조재웅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7-134
    • /
    • 2021
  • In this study, the adhesive fracturing characteristics of a DCB specimen due to single and heterogeneous bonding materials under tearing load was investigated.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racturing properties of the adhesive DCB specimen. As an experimental condition, a forced displacement of 3mm/min was applied to one side while the other side was fix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AL6061-T6 material was superior to the CFRP material in terms of maximum stress, specific strength, and energy release rate when compared to the adhesive fracturing property of a single material. We tested CFRP-AL, a heterogeneous bonding material, and compared its experimental results to the results from the single materials. Based on these results, CFRP-AL with a heterogeneous bonding material was observed to have the superior structural safety compared to single materials for the mode III fracture type.

CFRP와 결합된 이종재료들에서의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부의 파손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Fracture at Joint Using Adhesive at Inhomogeneous Materials Bonded with CFRP)

  • 김재원;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51-15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CFRP와 금속 또는 비금속을 접착제로 접합시켜 이 재료에 대한 파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해석 조건으로는 DCB 시험편을 이용하여 시험편의 상부에는 CFRP, 시험편의 하부에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로 지정하였고 두 상부와 하부 사이를 구조용 접착제로 부착하는 것을 묘사하였다. 이 해석 결과로는 알루미늄으로 접착된 시험편에서 가장 작은 등가응력 보였고 티타늄을 사용하였을 때 박리된 CFRP시험편에서의 최대 전단응력은 가장 낮음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티타늄을 사용하였을 때 시험편의 변형이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었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계면의 파손데이터를 실생활에 융합하여 그 미적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경사진 CFRP로 접합된 시험편에서의 Mode 1 형 파괴역학적 거동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Behavior of Fracture Mechanics as the Type of Mode I at Specimen Bonded with Tapered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 이정호;조재웅;전성식
    • Composites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85-8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 접합부의 파손거동 예측을 하는 데에 있다. CFRP를 TDCB 형태로 가공하고, 형상계수에 따른 Mode 1 정적해석을 수행하였다. 시험편은 2, 2.5, 3, 3.5의 형상계수(m)들을 가진다. 연구결과로서 시편의 접합면이 탈락이 일어나기까지의 변위는 거의 비슷하게 나왔으나 이때의 반력은 형상계수 m = 3.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 반력은 412 N으로 m = 2와 비교하면 약 14% 개선된 반력을 보여주고 있다. 접착계면의 탈락과 반력에 관한 데이터는 CFRP구조설계와 그 안전설계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