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중지수평활법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기초자치단체의 학생수 추계를 위한 알고리즘 (The proposed algorithm for the student numbers in local government)

  • 김종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6호
    • /
    • pp.1167-117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자치단체인 시 군의 장래 학생수 추계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는데 있다. 인구추계를 위하여 시계열 방법의 이중지수평활법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2044년까지 고등학교 3학년 학생수의 경우에는 칠곡, 구미, 경산, 안동, 포항, 김천은 40%-70% 정도 줄고, 나머지 시 군은 70%-95%이상 학생이 줄며, 심지어 군위, 청송, 성주, 울릉, 의성, 영양 등 6개 군은 26년 후인 2036년에는 고등3학년 학생이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초등1학년의 경우는 2044년까지 칠곡, 구미, 안동, 경산까지는 약 50%-70% 사이까지 줄어들고, 나머지 시 군은 70%-100% 줄어든다. 특히 군위, 의성, 성주, 청송, 청도, 울진, 고령은 2044년까지 순차적으로 초등1학년 학생이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버스정보기반 통행속도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vel Speed Estimation Using Bus Information)

  • 빈미영;문주백;임승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는 버스정보가 도로의 통행속도 정보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이다. 도로통행속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치된 지점검지기, 구간검지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와 경기도에서 수집되는 버스정보를 속도정보로 가공하여 비교하였다. 버스정보가 교통정보 검지기의 기능을 할 수 있다면, 통행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로구간의 교통류에 대한 패턴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접근방법보다는 기존에 검증된 방법을 중심으로 버스정보를 이용한 교통류 패턴 인식 방법을 적용하여 버스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버스정보를 이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는데, 단순이동, 지수평활법과 이중이동, 이중지수평활법, ARIMA(p,d,q)모형을 적용하였다. 이 모형들은 평가지표인 100-MAPE, MAE, EC로 비교한 결과 상호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단순평균이동법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로서 버스정보를 구간의 통행속도로 이용할 경우, 모형의 추정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정 시간대 전력수요예측 시계열모형 (Electricity forecasting model using specific time zone)

  • 신이레;윤상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2호
    • /
    • pp.275-284
    • /
    • 2016
  • 정확한 전력수요 예측은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전력수급의 불균형을 방지한다. 본 연구는 외부요인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특정 시간대의 일 단위 전력 수요량을 참조선 (reference line)으로 한 시계열모형을 세우고자 한다. 고려된 시계열모형은 슬라이딩 창을 이용한 이중 계절성 Holt-Winters 모형과 TBATS 모형이다. 시계열모형의 모수는 2009년 1월 4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되었으며, 2012년 1월 1일부터 2012년 12월 29일까지의 각 모형의 전력수요량을 예측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RMSE와 MAPE를 통해 예측 성능을 비교한 결과 TBATS 모형의 성능이 우수하였다.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 DB를 이용한 건강보험 재정추계 (Financial Projection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using NHIS Sample Cohort Data Base)

  • 박유성;박혜민;권태연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4호
    • /
    • pp.663-683
    • /
    • 2015
  • 저출산과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의 변화는 미래 건강보험 재정의 안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 DB를 이용하여 유병율 및 진료비에 대한 통계적 모형을 추정하고 인구구조와 경제상황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미래 가정들을 반영하여 건강보험 재정의 연도별 수입과 지출을 2060년까지 추계하였다. 지출 추계에는 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 DB를 이용하여 유병율 및 진료비를 추계하였다. 유병율 모형은 VECM-LC모형을 그리고 1인당 공단 부담 진료비에 대한 추계는 이중지수평활법에 근거 하였다. 두 모형 모두를 의료기관별, 질병별, 성별, 연령별로 적합하고 경제상황의 변화에 대한 국회와 정부의 여러 가정들을 반영하여 최종 추계치를 산출하였다. 수입 추계는 고령화 속도에 대한 두 개의 다른 가정에 근거한 두 개의 미래 인구구조를 반영한 두 개의 피부양률 가정에 근거하고, 지출 추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제 상황의 변화에 대한 여러 가지 가정을 반영하여 최종 추계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건강보험 재정적자는 2015년 불변가격으로 2030년에는 2030조 원, 2060년에는 4070조 원이 될 것으로 추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