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중에너지흡수계측법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8초

근위대퇴부 정면 영상을 이용한 골다공증 평가 시 방사선적 계측의 진단일치도 (Diagnostic Coincidence of Radiologic Measurement Methods of the Proximal Femur Anterior-posterior Projection for Assessment of Osteoporosis)

  • 강영한;조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53-360
    • /
    • 2012
  • 본 연구는 근위대퇴골 정면 영상에서 골다공증 측정을 위한 영상지표가 이중에너지흡수계측법(DEXA)으로 측정한 골밀도 결과와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112명을 대상으로 근위대퇴부 정면 영상을 촬영하였고, 영상 지표인 대퇴골관비(CCR)와 피질골 두께지표(CTI)를 측정하여 DEXA 골밀도 결과와 비교하였다. T-score를 이용하여 골다공증군과 비골다공증군으로 나누었고, 영상지표와 평균비교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진단일치도를 비교하였다. 영상계측에서 골다공증군의 골수강내 대퇴관과 골단 대퇴관 간격은 비골다공증군보다 유의하게 컸다. CCR은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r=-0.340)가 이었고, CTI는 양의 상관관계(r=0.624)가 있었다. 골다공증에 대한 CCR의 진단일치도는 63.4%이었고, kappa 값은 0.271이었다. CTI의 진단일치도는 67.0%이었고, kappa 값은 0.258 이었다. 결론적으로 근위대퇴골 영상에서 비골다공증군보다 골다공증군의 CCR이 더 크고, CTI는 더 좁게 나타났다. 이는 근위대퇴골 정면영상을 평가할 때 대퇴골의 골단간 피질의 두께가 얇은 환자는 골다공증에 대한 추가적인 검사를 추천할 수 있다.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폐경기 여성의 요추 및 근위 대퇴부의 골밀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BMD of Lumbar Spine and Proximal Femur in Post-Menopausal Women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윤한식;모은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2권2호
    • /
    • pp.41-46
    • /
    • 1999
  • Osteoporosis, which causes mainly fracture of the spine, proximal femur and distal radius by minimal trauma,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and its prevalence is steadily increas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care. There are reliable methods for diagnosis based on bone densitometry.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are important for reducing the incidence of fractures. A consensus definition of osteoporosis, based on bone density measurement, has been develop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In this study, bone mineral density(RMD)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at the proximal femur and lumbar spine in 132 post-menopausal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influential factors on the BMD of the proximal femur and the lumbar spine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BMD and the problematic factor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 1. Mean BMD score, T-score and Z-score of the proximal femur were $0.81(g/cm^2)$, -2.45(S.D.) and -2.09(S.D.) respectively and in the lumbar spine were $0.83(g/cm^2)$, -2.02(S.D.), -2.43(S.D.) respectively. 2. I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MD and many factor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0.467, 0.212, -0.321 and 0.241 in age, height, duration after menopause respectively. BMI and the residuals were comparatively small. 3. Correlation coefficients to age matched BMD, in height and body weight were 0.222 and 0.241, in age and duration after menopause were -0.268, -0.282. 4. The fracture threshold of proximal femur BMD to the 90th percentile was $0.845(g/cm^2)$. 5. At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 body weight, $BMI(kg/m^2)$ and duration after menopause described as significant variables.

  • PDF

대퇴 근위부 골절환자에서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계측법을 이용한 부위별 골밀도 비교 (A Comparison of Bone Mineral Density in Osteoporotic Facture of the Proximal Femur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이종석;김긍식;유병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3권2호
    • /
    • pp.13-19
    • /
    • 2000
  • There were some controversies about direct cause of hip fracture. We attempted to look at 40 osteoporotic proximal femur fractures in women over 50 years between March in 1999 and Febuary in 2000. The bone density of the fracture group and the healthy 85 control group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The result was compared using age matched paired T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femoral neck fractures were 14 cases and the trochanteric fractures were 26 cases. Mean age at a fracture was 67.1 years in neck fracture group and 76.5 years in trochanteric fracture. 2. In the control group, the bone density of both side of the proximal femur was measured and it showed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both sides in same person. 3. The bone density of 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P<0.05) and lumbar spine(P<0.001)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oximal femoral fracture group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4. The bone density of 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P<0.05)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oximal femoral neck fracture group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lumbar spine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5. The bone density of 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 and lumbar spine(P<0.001)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oximal femoral neck fracture group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We concluded that the bone mineral densities(BMD) of proximal femur and lumbar spine had decreased in hip fractures but that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T-score % of the proximal femur were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the lumbar spine. We suggest that measur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proximal femur may reflect the weakness of the proximal femur more precisely than measur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spine.

  • PDF

단순 영상에서 요추체의 음영이 감소된 성인 남성에서의 골다공증 유병률 (Prevalence of Osteoporosis among Male Adults with Apparently Radiolucent Lumbar Vertebral Bodies on the Plain Radiographs)

  • 김국종;임성준;김용민;이형기;김건중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491-497
    • /
    • 2021
  • 목적: 단순 방사선상 척추 추체의 골 음영이 감소된, 즉 골다공증이 의심된 남성에서 골밀도 검사를 통해 골다공증(또는 골감소증)의 유병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형외과 진료를 받은 남성 중 척추의 단순 방사선상 골다공증이 의심되었던 98명(이하 의심군)에서 실제 유병률을 확인하기 위해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 골밀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대조군 168명, 골다공증성 골절로 치료받은 환자군 113명(이하 골절군)과 비교하였다. 각 군마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방법(요추 평균 및 대퇴골 경부 골밀도 중 최하값)과, Hansen 방법(요추 1-4번 골밀도 중 최저값)의 두 가지 방법으로 골밀도 값의 평균, 표준편차를 비교하였고, 각 군별 골다공증, 골감소증의 유병률에 대해 확인하였다. 결과: 각 군별 골밀도 값의 평균(±표준편차) 통계 조사 결과, 의심군이 -1.4 (±1.2), 대조군이 -0.8 (±1.1), 골절군이 -2.4 (±1.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각 군별 골다공증의 유병률을 WHO 방법(요추 평균 및 대퇴골 경부 골밀도 중 최하값)으로 비교한 결과 의심군 17.3%, 대조군 8.3%, 골절군의 45.1%에서 골다공증이 진단되었고, 의심군의 40.8%에서 골감소증이 관찰되었다. Hansen 방법(요추 1-4번 골밀도 중 최저값)으로는 의심군 30.6%, 대조군 17.9%, 골절군 62.0%가 골다공증으로 진단되었다. 결론: 요추 단순 영상에서 골음영이 감소된 것으로 의심되어 골밀도 검사로 확인한 남성 환자들 중 17.4%에서 골다공증이, 40.8%에서 골감소증이 진단되었다. 대조군 또한 전체의 8%에서 골다공증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남성에서도 골다공증의 존재 가능성이 적지 않음을 일깨워 주는 것으로, 특히 단순 영상에서 골다공증이 의심될 경우 골밀도 검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함을 말해 준다.

대퇴 근위부의 골소주 패턴에 대한 복합적인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 예측 연구 (Prediction of Osteoporosis using Compositive Analysis of Trabecular Patterns on Proximal Femur)

  • 이주환;박성윤;정재훈;김성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2호
    • /
    • pp.99-1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측정 부위에서 도출된 골밀도와 골소주 패턴 간의 상관관계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여 측정부위에 따른 평가변수의 골다공증 예측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은 40대 이상의 폐경기 이후 여성 40명을 선정하였고, T-Score 분류법에 따라 각각 20명의 정상군 및 골다공증군으로 분류하였다. 실험대상의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통해 대퇴경부(Femoral Neck), 전자부(Trochanter) 및 워드 삼각부(Ward's Triangle)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각 측정부위에 $50{\times}50$ 픽셀 크기의 관심영역을 지정하고,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각 영역의 골소주 패턴을 추출하였다. 골다공증을 예측하기 위한 평가변수는 구조적 변수(평균 회색조,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격화 변수(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fractal dimension)으로 구분되는 총 8가지를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골면적, 골둘레, 골두께, 말단거리, 골개수, 골길이 및 프랙탈 차원이 골밀도를 유의하게 반영하였고(p<0.003), 평가변수의 분석을 통한 골다공증의 높은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엑스선골밀도측정기의 기술문서 작성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Guideline on Writing Technical Document for Electrical Medical Devices : Bone Absorptiometric X-ray System)

  • 이승열;김재량;김은림;이준호;이창형;박창원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2호
    • /
    • pp.263-271
    • /
    • 2016
  • 최근 인구 고령화에 따른 골다공증 환자의 증가 및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엑스선골밀도측정기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의료기기 허가 심사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의료기기 기술문서는 의료기기의 허가 심사 시 가장 기본이 되는 문서로 필수 제출 첨부자료 중 하나이다. 기술문서는 의료기기 관련 법령 및 고시에 그 근거를 두고 있으며, 의료기기 전반적인 항목을 기술해야하는 만큼 작성자의 전문성이 필요한 항목이다. 하지만 최근 부정확한 작성의 증가로 인한 심사자들의 업무부담이 증가되고 있어 민원 처리 효율이 저하되고 있다. 특히 엑스선골밀도측정기의 경우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규격이 없어, 의료기기 제조/수입업체 등에서 시험항목을 설정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제도가 반영된, 엑스선골밀도측정기 기술문서 작성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해 첫째, 개선된 제도 운영에 대한 조사, 품목별 의료기기의 제도 적용에 따른 문서 작성 방법 검토, 기 허가된 품목에 대한 허가 및 기술문서 검토를 완료하였다. 둘째, 품목별 시장현황 조사, 적용 가능한 국내 외 규격을 조사 분석하여 품목별 국제조화된 안전성 및 성능평가 시험기준 및 방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산 연 관 전문가협의체 논의를 거쳐 기술문서 작성 가이드라인(안)을 최종 도출하였다.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성인 남녀의 장골 및 경골의 골밀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ILIAC AND TIBIAL BO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조용석;김경원;이경호;박현진;서상수;오상엽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3호
    • /
    • pp.265-273
    • /
    • 2000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e mineral density of iliac and tibial bone which are frequently selected as autogenic bone graft donor sites, an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is method as a guideline for the selection of bone graft donor site.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61 male and 70 female volunteers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involved between Jan. 1998 to Sept. 1999. We measure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iliac and the tibial bone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We evaluated the data using the SAS system for Window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lumbar was used for control. Results : Ag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correlation matrix between physical and bone variables. Height and weight showed lower correlation of linear increment. In man, the change of bone density according to age demonstrated linear decrease irrespective of the lumbar, ilium, and tibia. In woman, the change of bone density according to age showed cubic form, which increased in the third and forth decade. So it had a peak bone mass on about 35 year-old, thereafter, the change of bone density slowly decreased until 50 year-old, but it rapidly decreased after 50 year-old and it slowly decreased again after 65 year-old. Both in all subjects and subject with osteoporosis,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ag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lumbar and tibia, but ilium was irrespective. Conclusion : In patients of aged or with osteoporosis, ilium demonstrated less tendency of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than tibia. So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ed that ilium seemed better donor site for autogenic bone graft than tibia.

  • PDF

골다공증 여성에서 요추골 밑 대퇴골 부위의 골밀도와 종골 음속 사이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of Lumbar and Femoral Bone Mineral Densities with Calcaneal Speed of Sound in Osteoporotic Woman)

  • 이강일;최민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42-547
    • /
    • 2009
  • 본 in vivo 연구에서는 36명의 골다공증 여성을 대상으로 요추골 및 대퇴골 부위의 골밀도와 종골 음속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2-4번 요추골 및 우측 대퇴골 경부의 단위면적당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우측 종골의 음속은 초음파 골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각 측정값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 (r) 및 유의수준 (p)이 이용되었다. 요추골 골밀도와 대퇴골 골밀도 사이에는 매우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r=0.81).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는 연령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52 및 r=-0.55). 종골 음속과 연령 사이에도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0.45). 종골 음속은 요추골 및 대퇴골 골밀도와 비교적 높은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요추골 골밀도보다 대퇴골 골밀도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0.54 및 r=0.62). 그러나 이는 종골 음속이 종골 골밀도와 갖는 상관관계에 비하여 낮으므로 종골 음속은 골절률이 가장 높은 요추골 및 대퇴골부위의 골밀도를 평가하기에 최적의 지표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요추골 및 대퇴골 부위의 골밀도를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위하여 이 부위의 음향특성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정량적 초음파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부분골밀도 측정을 통해 산출되는 체지방률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평가 (The Clinical Usefulness Measurement of the Whole Body Percent Fat Calculated by the Part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 강영은;김은혜;김호성;최종숙;최우준
    • 핵의학기술
    • /
    • 제15권1호
    • /
    • pp.3-9
    • /
    • 2011
  •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Dual-energy X-ray Apsorptiometry, DXA)은 일반적으로 골밀도를 통한 골다공증 평가 및 치료목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비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체지방검사 처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체지방 측정은 전신을 검사해야만 평가가 가능했지만 근래 DXA장비의 소프트웨어가 향상 되면서 요추와 대퇴부의 측정만으로도 전신체지방률을 추측 할 수 있게 되었다. 전신측정이 아닌 부분측정 값이 다른 검사방법으로 산출된 값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갖는지 생체전기저항측정법(Bioelectrical Impedence Analysis, BIA)과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와의 상관도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2010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수검자 중 40세 이상의 여성 90명을 대상으로 DXA와 BIA를 통해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BMI는 신체 계측기를 통해 측정된 신장과 체중을 수검자 정보에 기입하여 자동으로 산출되는 값을 활용하였다. 또한 체중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BMI를 기준으로 저체중, 정상, 비만의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에서 BMI와 BIA, DXA 간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저체중과 정상, 비만으로 나눈 세 그룹에서의 DXA와 BIA의 비교는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룹으로 나누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관분석결과 DXA로 측정된 체지방률은 BMI와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0.908, p<0.01) BIA와의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927, p<0.01). 부분 골밀도 측정으로부터 추정된 전신체지방률이 BIA 그리고 BMI와 비교해 뛰어난 상관관계를 보여 정보의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 추정된 전신체지방률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골밀도측정만으로 체지방평가를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골밀도검사를 통해 골다공증의 진단은 물론 체지방에 관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추후 전신골밀도검사로 측정된 체지방률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더 객관적이고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관심영역 변화에 따른 하악골 골밀도 측정에 대한 연구 (Study on Measurements of the Mandible BMD According to the ROI Variation)

  • 탁정남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2권3호
    • /
    • pp.271-276
    • /
    • 2009
  • 골밀도 측정은 주로 척추, 상완, 대퇴, 종골 부위에서 측정되고 있으며 이 부위를 측정하기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 및 통계자료는 잘 확립되어있지만 하악골에 대한 측정방법 및 정량적인 자료가 없어 Horner et al(1996)에 의해 제시된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을 이용한 하악골의 골다공증 측정법을 사용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성인남자 13명(26.5세), 성인여자 22명(24.4세)을 대상으로 GE Lunar Prodigy Advance를 이용하여 반 엎드린 자세(Semiprone)에서 두개부을 정측면 자세로 측정하였다. 이때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은 직사각형($30{\times}2.5\;mm^2$)을 사용하여 하악각(Mandibular angle)에서 하악결합(Mental symphysis) 사이의 중심에 놓고 측정하였으며, 직사각형 ROI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여 측정하였다. 남자의 평균 골밀도(g/$cm^3$)는 $1.320{\pm}0.358$이고 여자는 $1.152{\pm}0.340$이고, 위치를 변경하여 하악각 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남자 $1.201{\pm}0.361$, 여자 $1.025{\pm}0.377$, 하악결합 쪽으로 이동시켰을 때는 남자 $1.434{\pm}0.341$, 여자 $1.19{\pm}0.358$, 크기를 줄여서 측정할 때는 남자 $1.262{\pm}0.384$, 여자 $1.113{\pm}0.356$, 크기를 확대하였을 때는 남자 $1.320{\pm}0.357$, 여자 $1.129{\pm}0.340$로 나타났다. ROI 위치를 이동시켰을 때와 크기를 변화시켰을 때 모두에서 측정값 간에 차이가 있었다. 추적 검사 시 ROI 위치 값을 유지하여 세 번을 반복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하악골의 골밀도를 측정할 때 가능한 관심영역을 크게 하고 하악지와 하악결합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걸로 생각되고, 특히 추적 검사 시에는 이전 검사를 참고하여, 동일한 크기와 위치에 관심영역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연구에 의하면 하악골의 골밀도의 측정은 전체 골밀도를 나타내는 골밀도 측정값보다는 국소적인 하악골 골밀도 측정에 정확하다. 임플란트 및 하악골 부분의 뼈 이식 분야에서도 정량적인 측정값에 도움이 되며, 이러한 DEXA법으로 BMD 임계치를 한국 사람에 맞는 정량 값으로 구하여 본다면 좋을 것이다.

  • PDF